狐 여우 호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犬,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8획 | ||||
미배정 | 1급 | ||||||
- | |||||||
일본어 음독 | コ | ||||||
일본어 훈독 | きつね | ||||||
- | |||||||
표준 중국어 | hú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狐는 '여우 호'라는 한자로, '여우'를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72D0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KHHVO(大竹竹女人)로 입력한다.훈을 나타내는 犬(개 견)과 음을 나타내는 瓜(외 과)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자형
갑골문 |
4. 용례
4.1. 단어
- 가위지호(假威之狐)
- 가호지호(假虎之狐)
- 구미호(九尾狐)
- 납호간(臘狐肝)
- 노호(老狐)
- 단호(短狐)
- 동호(董狐)
- 백호(白狐)
- 성호(城狐)
- 소호(小狐)
- 수호(水狐)
- 시호(豺狐)
- 야호(野狐)
- 여우꼬리차조(狐尾粘粟)
- 여우오줌풀(狐溺草)
- 여의오줌(狐矣尿)
- 영호(令狐)
- 요호(妖狐)
- 은호(銀狐)
- 적호피(赤狐皮)
- 천우지력 부족가어호서지두(千牛之力 不足加於狐鼠之頭)
- 호구(狐裘)
- 호구(狐丘)
- 호귀(狐鬼)
- 호려(狐黎)
- 호리정(狐狸精)
- 호망(狐網)
- 호매(狐邁)
- 호백구(狐白裘)
- 호번(狐蹯)
- 호산(狐疝)
- 호선(狐仙)
- 호수(狐綏)
- 호유미(狐濡尾)
- 호정(狐精)
- 호조기(狐臊氣)
- 호취(狐臭)
- 호표수구산(狐豹首丘山)
- 호학수구(狐貉首丘)
- 호혈(狐穴)
- 훈호(訓狐)
4.2. 고사성어/숙어
- 가호위호(假虎威狐)
- 동호지필(董狐之筆)
- 동호직필(董狐直筆)
- 성호사서(城狐社鼠)
- 양각야호(兩脚野狐)
- 여호모피(與狐謨皮/與狐謀皮)
- 일호지액(一狐之腋)
- 차호위호(借虎威狐)
- 토사호비(兔死狐悲)
- 호가호위(狐假虎威)
- 호구지계(狐丘之戒)
- 호리(狐狸)
- 호미(狐媚)
- 호불이웅(狐不二雄)
- 호사수구(狐死首丘)
- 호사토비(狐死兔悲)
- 호사토읍(狐死兔泣)
- 호서배(狐鼠輩)
- 호의(狐疑)
4.3. 인명
- 나키기츠네 쿠니요(鳴狐 くによ)
- 미케츠카미 소우시(御狐神 双熾)
- 순호(純狐)
- 영호덕분(令狐德棻)
- 코사카 와카모(狐坂 ワカモ)
- 코시바 라이카(狐芝 ライカ)
- 코코(狐子)
- 키츠네가사키 아마이로(狐ヶ崎 甘色)
- 키츠네가사키 킷카(狐ケ崎 きっか)
- 키츠네즈카 콘노카미(狐塚 コーン守)
- 텐코 시부키(天狐 紫吹)
- 호록고(狐鹿姑)
- 호언(狐偃)
4.4. 지명
- 경기도 시흥시 호현로(狐峴路)
-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호포로(狐浦路)
- 광주광역시 북구 호동로(狐洞路)
- 대구광역시 달서구 호림동(狐林洞)
-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호두리(狐頭里)
-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금호리(金狐里)
- 키츠네가사키역(狐ヶ崎駅)
- 호도(狐島)
- 호아(狐兒)
- 호포(狐浦)
4.5. 창작물
4.6. 기타
5. 유의자
- 𧳂[⿰豸伏](여우 휴/복)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𥑔[⿰石瓜](작은돌 갈)
- 䱄(가자미 개)[1]
- 蛌(땅강아지 고)[2]
- 柧(모 고, 욋가지 외)
- 觚/𨠋[⿰酉瓜](술잔 고)
- 泒(옛물이름 고)
- 孤(외로울 고)
- 呱(울 고)
- 鈲(철고 고, 갈이박 벽)
- 胍(큰배 고)
- 軱(큰뼈 고)
- 𩢍[⿰馬瓜](공골말 과/와)
- 㧓(끌 과)
- 𧿼[⿰𧾷瓜](발바닥에진잔금 과)
- 𠇗[⿰亻瓜](비뚤 과)
- 坬(산비탈 과)
- 𡜁[⿰女瓜](여자이름 과)
- 𦧔[⿰舌瓜](하눌타리 괄)
- 𤜶(천할 소)
- 畖(땅이름 와)
- 㼌(약할 유)
- 𧲲[⿰豸瓜]/𦍳[⿰羊瓜](여우 호)[3]
- 弧(활 호)
- 𨸯[⿰⻖瓜]
- 𱞌[⿰忄瓜]
- 𥄼[⿰目瓜]
- 𧙆[⿰衤瓜]
- 𮕟[⿰血瓜]
- 𰩽[⿰竺瓜]
- 𧦼[⿰言瓜]
- 𧵟[⿰貝瓜]
- 𩈕[⿰面瓜]
- 𩛃[⿰𩙿瓜]
- 𬷊[⿰鳥瓜]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𦱄[⿱艹狐](풀많은모양 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