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09 07:16:09

달러 지수

달러지수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코나미의 비마니 시리즈 수록곡에 대한 내용은 DXY!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U.S. Dollar Index(USDX)
미국 달러 지수
달러 인덱스
티커: DXY[1]

1. 개요2. 상세3. 산출 공식4. 문제점5. 2007년 이후 DXY 변화

1. 개요

세계 주요 6개 통화인 유로, 일본 엔, 영국 파운드 스털링, 캐나다 달러, 스웨덴 크로나, 스위스 프랑의 가치에 경제규모에 따라 비중을 달리하여 산출한 값을 미국 달러와 비교한 지표이다.
1973년 3월의 값을 100으로 하여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FRB)에서 작성·발표한다.

1944년 브레튼우즈 체제 성립 이후로 달러의 가치는 금 1온스에 35달러로 고정되어 왔으나 1971년 8월 15일 미국의 금본위제도 포기 선언으로 브레튼우즈 체제가 무너진 후 달러의 가치는 더 이상 고정되지 않고 수시로 변하게 되면서 달러의 가치 등락을 평가할 필요성 생겼고 이를 위해 1973년 부터 미국의 연방준비제도가 달러 지수를 만들었다.

2. 상세

현재 전세계 주요국 외환시장에서는 달러가 주식처럼 매일매일 거래되고 있다. 그런데 어떤 나라에서는 그 나라 통화에 비해 달러의 환율이 오를 수도 있고, 또 다른 나라에서는 달러의 환율이 내릴 수도 있다. 즉, 달러 환율은 국가마다 서로 다르기 때문에 달러의 가치가 전반적으로 올랐는지 내렸는지 파악하기 쉽지 않다. 예를 들어 오늘 외환시장을 살펴보니 유로화에 비해 달러가 10%하락했는데 엔화에 비해서는 달러가 5% 상승했다고 가정해보자. 그렇다면 오늘 달러의 가치는 상승한 것일까? 아니면 하락한 것일까? 즉, 달러지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미국 달러의 평균적인 가치가 상승했는지 하락했는지를 쉽게 파악하기 위함이다. 달러 가치가 하락했다는 말은 따라서 주요 6개국의 통화와 비교했을 때 그 가치가 하락했다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달러의 절대적 가치, 달러의 '전투력' 정도로 볼 수 있다.

1973년 3월을 기준 100으로 하여 세계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미국 달러의 평균 가치를 비율로 산정해 지수화한 지표로서 미국연방준비제도에서 작성하고 발표한다. 기준이 되는 통화의 비중은 그 국가의 경제 규모에 따라 결정되는데 유럽의 유로화가 57.65%, 일본의 엔화가 13.6%, 영국의 파운드화가 11.9%, 캐나다의 달러가 9.1%, 스웨덴의 크로나가 4.2%, 스위스의 프랑이 3.6%이다.

1985년부터는 대륙간거래소(ICE)가 연방준비제도의 달러 지수에 기반한 선물 거래 중개를 시작하면서 달러지수가 대중화되었다. 현재 달러지수

역사적으로 달러 지수가 가장 낮았던 시기는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가 발생했던 2008년 3월 16일이며(70.698), 가장 높았던 시기는 볼커 쿠데타의 여파로 라틴아메리카에 경제위기가 발생했던 1985년 2월(164.720)이다.
파일:US_Dollar_Index_from_Stooq_dot_com.png

3. 산출 공식

달러 지수는 다른 나라들 통화와 미국달러의 교환 비율들을 각 나라와의 무역 비중에 따른 가중치가 주어진 가중기하 평균이다. 처음에는 10개국 통화(독일 마르크화, 프랑스 프랑화, 이탈리아 리라화, 네덜란드 길더화, 벨기에 프랑화 포함)에 대해 계산됐으나 유로존 통합 이후 6개 통화로 좁혀졌다. 이들 나라들은 미국과의 국제거래에 대부분을 차지하며 외환시장이 잘 발달된 나라들이다.

[math(\text{DXY} = 50.14348112 \times \text{EURUSD}^{-0.576} \times \text{USDJPY}^{0.136} \times \text{GBPUSD}^{-0.119} \times \text{USDCAD}^{0.091} \times \text{USDSEK}^{0.042} \times \text{USDCHF}^{0.036} )]
  • EUR: 유로, JPY: 일본 엔, GBP: 영국 파운드 CAD: 캐나다 달러, SEK: 스웨덴 크로나, CHF: 스위스 프랑
  • 달러지수 계산 공식 맨 앞의 상수인 50.14348112는 1973년 달러지수가 처음 산출될 때 100이 되도록 만들기 위해 정해진 역사적 수치이다.
  • 각 통화들에 대한 가중치들의 합은 100%이다.(57.65%+13.6%+11.9%+9.1%+4.2%+3.6%=100%)
  • 일본 엔, 캐나다 달러, 스웨덴 크로나, 스위스 프랑의 경우 1달러 당 얼마얼마식으로 환율을 표기, 즉 달러를 기준통화(Base Currency)로 표기하는 반면(한국 원화도 그렇다.) 영국 파운드와 유로의 경우는 관례적으로 1파운드 혹은 1유로 당 얼마얼마의 달러 식으로 환율을 쓰는, 즉 자국 통화를 기준통화로 표기하고 달러를 상대통화(Counter Currency, Quote Currency) 표기하기 때문에 영국 파운드와 유로의 경우에는 공식에서 음의 지수를 사용한다.[2]

미국 달러는 기축통화(基軸通貨, key currency), 나머지 6개국 통화는 준기축통화라고 한다. 유로화가 절반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달러 대비 유로화의 가치가 상승하면 달러 지수는 하락하는 구조다.

4. 문제점

기사1
기사2
  • 모종의 사유으로 일본 엔스위스 프랑 등의 가치가 급등했을때 그 변동폭이 달러 지수로는 제대로 설명되지 않으며 반영조차가 미비할때도 있다.
  • 달러지수에 스웨덴, 스위스는 포함된 반면 현재 미국의 주요 교역국들인 중국, 멕시코, 한국, 브라질, 호주, 뉴질랜드, 싱가포르 등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있다는 점[3]
  •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와 유로간 거래 비율이 13.3% 수준인데 반해 달러 지수에서 유로가 차지하는 비중은 58%나 되는 점도 문제
  • 기술적 지표, 경제지표, 사건사고, 자연재해 등에 따라 변동폭이 심할 경우 유로/달러 환율 변동폭에 비해 미국달러/엔, 미국 달러·스위스 프랑 환율 변동폭이 훨씬 큰데도 불구하고 엔과 스위스 프랑이 달러 지수에서 차지하는 가중치는 유로에 비해 낮다.
  • 달러 지수 바스켓 통화들의 대달러 환율 변동폭이 큰 차이가 보인다.
  • 1973년부터 산출된 달러 지수를 구성하는 해외 통화의 구성비는 1999년 독일 마르크 등이 유로화로 대체될 때 단 한 번 변화했을 뿐 1973년 당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5. 2007년 이후 DXY 변화

  • 2007: 12월 31일 달러지수는 76.70
  • 2008: 투자은행인 베어스턴스(Bear Sterns)에 대한 구제금융(bailout)이 서브프라임 모기지 위기로 인한 피해임을 시사한 직후 달러는 4월 21일 71.33으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투자자들은 이것이 미국에만 영향을 미칠거라 생각하고 유로화를 사들였고 그 결과 달러 가치가 급락했다. 미 연준(벤 버냉키)은 연방기금 금리를 일곱 차례 인하하였고 11월 25일에는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 QE)를 시작했다. 연말쯤에는, 2008년 경제 위기가 전 세계적 위기임이 명확해졌다. 투자자들은 안전한 피난처로서 달러로 몰려들었고 이에 따라 연말까지 달러지수는 80.90까지 치솟았다.
  • 2009: 77.86으로 한 해를 마감했다. 유럽중앙은행은 위기에 대응하고 있다는 신호로 금리를 인하했다. 유로화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가 높아지면서 달러는 하락했다.
  • 2010: 6월 10일에 87.51로 상승하여 그 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 연준이 11월 3일에 2차 양적완화(QE2)를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연말까지 79.03으로 떨어졌다.
  • 2011: DXY는 미국 부채 위기로 인해 5월 3일에 73.03으로 떨어졌다. 투자자들은 유로존 위기 이후 달러 투자로 돌아섰고 DXY는 80.17로 그 해를 마감했다.
  • 2012: 미 연준은 9월13일 3차 양적완화(QE3)를 12월9일에는 4차 양적완화(QE4)를 발표했다. DXY는 79.77에 접근했다.
  • 2013: 오바마케어를 위한 세금 인상이 시작되어 한계 세율이 2000년 이후 최고점을 찍었다. 벤 버냉키의 미 연준은 6월 19일, 양적완화 축소를 시사하였고 이에 투자자들은 패닉 상태에서 채권을 매도하였고, 이에 따라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급등하였다. 미 연준은 테이퍼링을 12월까지 연기하였고 DXY는 80.04로 그 해를 마감했다.
  • 2014: 달러는 처음 6개월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7월 10일 80.12를 기록했다. 우크라이나 위기와 그리스 부채 위기는 투자자들을 유로화에서 빠져나와 안전한 투자처로 생각되는 달러로 몰려가도록 하였다. 미 연준(벤 버냉키)은 10월에 양적완화를 종료했고 2015년에 연방기금 금리를 인상하겠다고 발표했다. 달러지수는 15%가 상승하여 12월29일에는 90.19를 기록했다.
  • 2015: 유럽중앙은행이 양적완화를 시작하여 3월12일에 유로화는 1.05달러까지 하락했다. 이에 따라 달러지수는 3월12일에 이 해 최고치인 100.33까지 상승했다. 새 연준의장인 재닛 옐런의 연준은 12월17일에 기준금리를 0.5%로 인상했고 달러지수는 98.63까지 떨어졌다.
  • 2016: 5월1일, 달러지수는 2016년 최저치인 92.63까지 하락했다. 12월, 미 연준(재닛 옐런)은 기준금리를 0.75%로 인상하였다. 고용시장 개선과 물가상승 전망, 소비심리 개선, 기업인 출신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에 따른 경제성장의 기대감 등이 반영된 예고된 결과였고 달러지수는 연말에 102.39를 찍었다.
  • 2017: 유럽 경제가 개선되어 유로화가 강세를 보였다. 유럽중앙은행은 양적완화를 종료할 수도 있다는 신호는 보냈다. 헤지펀드들이 달러를 매도하기 시작했다. 미 연준은 3월, 6월, 12월 세 차례에 걸쳐 금리를 인상해 1.5%에 도달했다. 9월7일, 달러지수는 이 해 최저치인 91.33까지 떨어고 연말에 92.12로 마감했다.
  • 2018: 달러지수는 2월15일 이 해 최저치인 88.59까지 떨어졌다. 투자자들은 유럽 경제가 계속해서 강세를 보이면서 달러 투자를 줄이고 있었다. 그러나 미국 경제는 개선된 반면 다른 나라들 경제는 주춤했다. 미 연준(제롬 파월)은 4차례에 걸쳐 2.5%로 금리를 인상했다. 달러 지수는 11월12일, 2018년 최고치인 97.54를 찍었고 96.17로 그 해를 마감했다.
  • 2019: 달러지수는 4월24일, 98.20까지 피크를 쳤다가 하락하여 6월23일에는 그 해 최저치인 95.98를 찍었고 그리고는 미 연준이 다시 금리를 내리기 시작하자 다시 상승하여 7월에는 그해 최고점인 98.52를 찍었다. 8월과 10월 사이의 기간 동안 금리는 2.25%에서 1.75%로 하락했다. 그 해 달러지수는 96.39로 마감했다.
  • 2020: 3월19일까지 달러지수는 상승하여 102.82로 피크를 찍었다. 투자자들이 COVID-19 팬데믹에 대응하여 안전자산인 달러로 몰려들었기 때문이다. 미 연준은 3월, 기준금리를 제로로 낮췄다. 미국에서의 코로나 바이러스 발생이 점차 악화되어 가자 12월30일, 달러지수는 그 해 최저치인 89.63까지 하락했다. 그해 달러지수는 89.94로 마감했다.


[1] 블룸버그에서 쓰는 티커인데 Dixie라고 부르기도 한다.[2] 국제 표준은 기준통화(Base Currency) 단위가 앞에 오고 슬래시 기호를 쓴 후 상대통화(Counter Currency)(=호가 통화, Quote Currency)를 뒤에 쓰는 것이다. 슬래시 왼쪽의 기준통화는 항상 값이 1이다. 즉, 기준통화 1 단위를 매수 혹은 매도하기 위해 상대통화 혹은 호가통화로 지불해야하는 금액을 알려주는 것이 환율이다. 그러므로 USD/KRW은 달러/원 환율이라고 쓰고 읽는 것이 국제표준이다. 예를 들자면 'USD/KRW = 1200'식으로 표기한다. 참고로 슬래시를 생략하거나 슬래시를 대쉬로 바꿔 쓰는 경우도 많다. 즉 USD-KRW이나 USDKRW으로 쓴다.[3] 블룸버그 달러지수가 달러 지수에 미반영된 국가들을 포함하지만 거래 수수료가 장난아니게 높기에 사용량이 아에 없거나 적은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