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데몬(유희왕) #!if top2 != null
, [[데몬(유희왕 러시 듀얼)]][[]]
#!if top3 != null
, [[]][[]]
#!if top4 != null
, [[]][[]]
#!if top5 != null
, [[]][[]]
#!if top6 != null
, [[]][[]]
유희왕 의 상급 융합 몬스터 카드.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데몬 현현, 일어판명칭=デーモンの<ruby>顕現<rp>(</rp><rt>けんげん</rt><rp>)</rp></ruby>, 영어판명칭=Archfiend's Manifestation, 속성=어둠, 레벨=6, 공격력=2500, 수비력=1200, 종족=악마족, 소재="데몬 소환" + 어둠 속성 몬스터, 효과1=①: 이 카드는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카드명을 "데몬 소환"으로 취급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데몬 소환"의 공격력은 500 올린다., 효과3=③: 융합 소환한 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덱 / 묘지에서 "데몬 소환" 1장을 골라 특수 소환한다.)]데몬 강림 에 이어 등장한, 데몬 소환 의 융합 몬스터 버전 리메이크. 융합 소재로 데몬 소환 을 지정하고 있어, 각종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 로 융합 준비 나 융합 징병 등을 쓸 수 있다. 반대로 나머지 소재는 어둠 속성 몬스터로 소재가 느슨해서 융합 소환은 비교적 쉽다. 악마족 융합 몬스터라 다크 퓨전 으로도 융합 소환할 수 있고, 초융합 을 써서 상대 필드의 어둠 속성 몬스터를 소재로 이 카드를 융합 소환할 수도 있다. 또한 상대 필드에 어둠 속성 몬스터들인 비셔스 클로의 이블 토큰 , 나이트메어 데몬 토큰 , 리바이벌 기프트 , 토치 골렘 을 특수 소환한 다음, 초융합을 발동시켜 이 카드를 불러내는 것 역시 가능하다. ①③의 효과는 리메이크 "데몬 소환"의 공통 효과. 필드에서 "데몬 소환"으로 취급해 마의 안개비 등의 관련 서포트를 받을 수 있고, 상대에 의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패 / 덱 / 묘지에서 "데몬 소환"을 특수 소환할 수 있는 효과. 단, 묘지로 못 가거나 융합 소환 이 아닌 방법으로 특수 소환했을 때도 발동하지 않으니 주의. ②의 효과는 필드의 "데몬 소환"의 공격력 500을 올리는 효과. 이 카드도 "데몬 소환"으로 취급하기에 사실상 이 카드의 공격력은 3000이다. 이름의 유래는 "데몬 소환"의 "소환(召喚, 나타나다)"과 뜻이 비슷한 "명백하게 나타나거나 나타냄"의 의미를 가진 현현(顕現). 수록 시리즈 2018-06-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8SP-JP201 | SPECIAL PACK 20th ANNIVERSARY EDITION Vol.2 2019-08-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14-KRA31 | 프리미엄 팩 Vol.14 1st WAVE 2019-08-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FIGA-EN032 | FISTS OF THE GADGETS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퓨전=, 효과=, 한글판명칭=데몬 현현 (미발매), 일어판명칭=デーモンの<ruby>顕現<rp>(</rp><rt>けんげん</rt><rp>)</rp></ruby>, 영어판명칭=Archfiend's Manifestation (미발매), 속성=어둠, 레벨=6, 공격력=2500, 수비력=1200, 종족=악마족, 소재="데몬 소환" + 몬스터(어둠 속성), 조건=없음, 지속 효과=이 카드의 카드명은 "데몬 소환"이 된다.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데몬 소환"의 공격력은 500 올린다.)] 유발 효과가 없는 러시 듀얼의 특성 상 원본의 ③번 효과는 잘렸다. 일러스트가 OCG에 비해 커지면서 손의 이펙트가 융합이였다는 것도 밝혀졌다. 단일의 효과의 어드밴티지가 크지 않은 대신 소재가 널널한 것이 특징인 퓨전 몬스터. 효과를 쓴 기성체 데스터클 등의 하급을 통해 메테오플레어 퓨전 등의 패의 카드도 대응하는 데몬 퓨전 카드로 패의 레벨 7 데몬을 치우면서 공격력 3000의 데몬으로 바꿀 수 있다. 그외에도 가이아 의 퓨전 유발 카드인 력전의 커스 오브 드래곤도 어둠 속성이기에 그쪽에서 용병삼아 쓸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수록 시리즈 2025-02-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20-JP048 | 悠久のギャラクティカ
3. 관련 카드 러시 듀얼 버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데몬 소환(유희왕 러시 듀얼) 문서#!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데몬 소환(유희왕 러시 듀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데몬 소환(유희왕 러시 듀얼)#|]][[데몬 소환(유희왕 러시 듀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