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3 01:20:03

도리짓고 땡

도리짓고땡에서 넘어옴
1. 개요2. 역사3. 베팅룰
3.1. 포커식 베팅 방식3.2. 전통 방식
3.2.1. 예시
4. 카드 조합의 경우
4.1. 짓기4.2. 짓고 승패겨루기4.3. 춘추땡

1. 개요

화투로 하는 카드 게임의 하나. 줄여서 '짓고땡'이라고도 부른다.

5장의 화투패를 받아, 그중 3장의 합으로 10의 배수인 10,20,30 중에 한 가지를 만들고, 나머지 두장으로 승패를 가른다. 비와 똥을 빼고 1월~10월까지만 사용하는데, 피 20장을 빼고 20장으로 할 수도 있으며, 피도 모두 포함하여 40장으로 진행하기도 있다. 많이 하면 덧셈이 빨라진다고 한다.

2. 역사

원래는 일본에서 화투가 들어오기 전 조선시대부터 투전판에서 하던 노름의 한 종류였다. 투전패의 개수가 10개인 관계로 화투패와는 개수가 맞지 않아 화투패에서는 11, 12월을 빼고 한다.

3. 베팅룰

3.1. 포커식 베팅 방식

과거의 60·70년대의 도리짓고 땡에서는 전통 방식대로 베팅을 하였으나, 전통 방식은 밸런스가 많이 깨지고 룰이 복잡해서, 21세기에 들어와서부터는 대부분의 도리짓고 땡 게임이 간단하게 포커식의 베팅 방식을 취하게 되었다. 물론 이것은 도리짓고 땡 자체의 인기가 예전보다 많이 하락한 요인도 크다.

5장을 받은 뒤 패를 상대에게 보이게 하지 않고, 금액을 거는 절차인 '베팅'을 시작한다. 선부터 베팅을 시작하며, 선은 금액을 베팅하지 않고 차례를 넘기는 '체크'를 할 수 있다. 참가자들은 차례대로 금액을 베팅하는 '베트·레이즈'[1]를 하거나, 상대의 선언을 받는 '콜'을 하거나, 게임을 포기하는 '폴드'를 할지를 정한다. 이후 모든 사람이 베팅이 끝나면 패를 공개한 뒤 승패를 확인하여 황을 제외하고 가장 강한 카드 조합을 가지고 있는 참가자가 승리하여 베팅된 판돈을 모두 차지한다.
  • 앤티(Ante): 게임을 시작하면서 의무적으로 베팅하는 기본금으로, 일종의 게임 참가비라고도 볼 수 있다.
  • 체크(Check): 판돈을 추가하지 않고 차례를 넘기겠다는 선언. 카드가 돌아가고 처음으로 베팅하는 사람이 쓸 수 있다. 단, 이후 다른 사람이 체크를 받아들이지 않고 판돈을 올렸다면 체크를 한 사람도 콜을 하든 레이즈를 하든 받아야 한다.
  • 베트(Bet): 한 베팅 라운드에서 최초로 판돈을 올리겠다는 선언. 만약 아무도 베트를 선언하지 않으면 참가자 전원이 이번 라운드에선 모두 판돈을 올릴 의사가 없다고 간주되어 추가베팅 없이 다음 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베트를 선언한 사람은 그만큼의 베팅액을 올려야 하며, 다른 참가자들은 콜 혹은 레이즈를 선언해야만 계속해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 콜(Call): 앞의 플레이어가 '체크'를 하거나 또는 판돈을 올린 것(베트·레이즈)을 받아들인다는 의미.
  • 레이즈(Raise): 앞의 플레이어가 판돈을 올린 것을 받아들이고, 거기에 추가적으로 더 베팅을 하는 것. 레이즈는 한 베팅 라운드에 최대 3번까지만 나올 수 있고, 한번에 걸 수 있는 최대 금액 역시 제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폴드(Fold): 경기를 포기하는 것. 포기하기 전까지 베팅한 판돈은 잃게 된다. 게임에서 승산이 없다고 판단될 시, 포기할 건 포기하고 추가적인 손실을 막기 위해 사용된다. '다이(Die)'라는 명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 올인(All in): 상대의 콜을 받기엔 현재 가지고 있는 돈이 부족해 '일반적인 콜'을 할 수 없을 경우에, 대신 자신이 지금 보유한 전 재산을 걸어 콜을 받는 행위. 다만 올인을 하고 게임에서 이길 경우에는 각각의 플레이어들에게서 자신이 베팅한 금액을 초과하는 금액은 받을 수 없다. 언제 선언하든 올인한 사람은 카드 오픈까지 추가베팅 없이 게임할 수 있다.

A : 8 8 2 3 5 -> 2 3 5 짓고 8땡
B : 1 2 3 4 8 -> 황 (짓지 못함)
C : 10 10 10 9 9 -> 10 10 10 짓고 9땡
D : 4 4 2 5 4 -> 4 4 2 짓고 갑오(아홉끗)

네 사람이 모두 베팅을 완료했다면, C가 이긴다. 물론 패를 보여주지 않고 돈을 걸게 되므로, 잘 지르면 못 짓고도 장땡을 밟을 수도 있다. 실제로도 섯다보다 조건이 까다로워서 패가 잘 안뜬다. 20장으로 주로 치므로 4인 이내에서만 가능하다. 40장이면 8인까지 가능하지만, 8명이나 되는 인원으로 하면 한 번 하는 데 카드 분배가 너무 길어져서 도리짓고 땡은 잘 안하고 보통은 섯다를 한다.

3.2. 전통 방식

옛부터 전해지는 방식은 일본에서 카부후다(株札, 주찰)로 하는 오이쵸카부(オイチョカブ)와 비슷하다. 많은 사람이 동시에 참여가 가능하다.

1. 참가자들은 각자 돈을 가지고 온다.[2]
2. 참가자 중 한명을 오야(혹은 선)으로 정한다.
3. 오야는 게임이 시작하기 전에 놋돈을 올려 놓는다.(놋돈은 자기 마음대로. 돈이 적으면 오야를 포기할 수도 있다.)
4. 오야는 1장은 뒤집어서 자기가 가지고, 3장을 공개한 채로 1장씩 따로 놓는다.
5. 오야를 제외한 참가자들은 공개된 3장의 패 중 하나에 돈을 건다 (참가자들은 놋돈보다 많이 걸 수는 없다. 즉, 놋돈 = 참가자들의 베트의 합이다.)
6 .오야는 한장씩 돌려서 한쪽이 5장이 되면 자기 패를 공개한다.
7. 오야패와 비교해서 약하면 돈을 뺏기고 오야패보다 강하면 건 금액만큼 딴다.
8. 오야와 일반 참가자의 패가 비길 경우에는 오야가 승리한다.
9. 오야의 패가 아무리 황이라도 일반 참가자가 황이면 오야가 승리한다.
10. 4~9를 반복하여 오야의 놋돈이 모두 소실하거나, 놋돈의 4배를 따면 오야를 넘긴다.

위의 룰들을 보면 알겠지만, 아무리 공정하게 게임을 하더라도 오야를 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특히 오야와 일반 참가자가 동시에 황이 나왔을 때 그 사기성이 드러나는데, 도리짓고 땡은 구조상 짓는 것을 성공할 확률이 높지 않다. 그래서 오야가 황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참가자가 황이라고 해서 판돈을 가져가는 것은 한쪽에게 기울어진 공정성이 떨어지는 불공평한 규칙이다.

글로 읽으려면 상당히 어려운데 허영만타짜 2부를 보면 잘 나와있다.

3.2.1. 예시

선이 패 하나를 내려놓고, 세 장을 뒤집어 놓았다.

선 : ㅁ
-------------------
A : 1
B : 3
C : 2

사람들이 돈을 다 걸자 선은 화투패를 각각 4장씩 돌린 후, 패를 다 보여준다.

선 : 5 7 8 10 10 - 578 짓고 장땡
-------------------
A : 1 1 4 5 9 - 145 짓고 망통
B : 3 3 7 8 9 - 389 짓고 망통
C : 2 4 4 6 6 - 244 짓고 6땡

선이 판을 다 쓸어간다(...).

4. 카드 조합의 경우

4.1. 짓기

5장중 3장으로 10의 배수를 만들면 되는데 다음과 같은 22가지 방법이 있다. 10의 배수를 만드는 것을 '짓는다'고 한다.
1-1-8 1-2-7 1-3-6 1-4-5 1-9-10
2-2-6 2-3-5 2-8-10
3-3-4 3-7-10 3-8-9
4-4-2 4-6-10 4-7-9
5-5-10 5-6-9 5-7-8
6-6-8
7-7-6
8-8-4
9-9-2
10-10-10[3]

외우면 편하긴 한데 딱히 외우지 않아도 된다.[4]

만약 5장 중 어느 조합으로도 짓는 것이 실패하면 '황'이라고 부르며, 다른 조건에 상관없이 무조건 진다.

참고로, 수학적으로 랜덤하게 5장을 고른다고 할 때,
20장 게임에서 지을 확률은 약 71.5%, 못지을 확률은 28.5% 이다. 그리고, 땡으로 지을 확룰은 약 5.2% 이다.
40장 게임에서 지을 확률은 약 67.7%, 못지을 확률은 32.3% 이다. 그리고, 땡으로 지을 확률은 약 6.8% 이다.

4.2. 짓고 승패겨루기

일단 짓는데 성공하면 승패는 나머지 2장으로 겨룬다. 원칙적으로 땡과 끗 이외에 다른 족보는 없다.
  • 짓는 것에 실패하면 '황'이라고 부르며, 다른 조건에 상관없이 무조건 진다. 단, 모든 사람이 황이면 무승부이다.
  • 짓고 남은 두 장의 숫자가 서로 다르면 두 수를 더한 후 10으로 나눈 나머지를 '끗'이라고 부른다. 끗 중에서는 가장 높은 것이 9이며, 이를 '갑오'라고 부른다. 가장 낮은 것은 0이며, 이는 '망통'이라고 부른다.
  • 만약, 2장이 서로 같은 숫자일 경우는 '땡'이라고 부르며, 땡은 무조건 끗보다 높다. 땡중에서 가장 높은 것은 10-10으로 '장땡'이라 부른다. 다른 족보는 없기에 장땡은 무조건 승리하는 최강의 패이다. 다만, 40장을 쓰는 경기에서는 장땡끼리 비기는 경우가 나올 수는 있다.

원칙적으로 도리짓고 땡에서는 땡과 끗외에 다른 족보는 없지만, 섯다의 영향으로 섯다 족보를 인정하는 것으로 거의 바뀌었다.
  • 도리짓고 땡에서는 원래 '광땡'도 없지만 대부분 인정한다. 또한 섯다와 마찬가지로 광땡이 장땡보다 높다.
  • 섯다의 족보인 알리, 독사, 구삥, 장삥, 장사, 세륙 등을 인정하는 규칙으로 대부분 바뀌었다.
  • 섯다의 특수 족보인 구사, 멍텅구리 구사, 땡잡이 등도 인정된다.

4.3. 춘추땡

2가지 이상의 방법으로 짓는 것이 가능한 조합이 존재한다. 이 경우 짓는 방법에 따라 끗수가 달라지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예를 들어 1, 3, 6, 7, 7은 776 짓고 4끗(1+3) 혹은 136 짓고 7땡이 될 수도 있다. 당연히 높은 쪽을 택하면 된다.

그런데, 그중에서도 특히 짓는 방법이 두 가지인데, 두 가지 모두 땡인 경우도 있다. 이 경우를 특별히 춘추땡이라고 부르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장땡보다 높은 족보로 인정하기도 한다. 다음과 같은 5가지 경우가 있다.
  • 1,1,8,6,6 : 118 짓고 6땡 + 668 짓고 1땡
  • 2,2,6,7,7 : 226 짓고 7땡 + 776 짓고 2땡
  • 3,3,4,8,8 : 334 짓고 8땡 + 884 짓고 3땡
  • 4,4,2,9,9 : 442 짓고 9땡 + 992 짓고 4땡
  • 5,5,10,10,10 [5] : 5,5,10 짓고 장땡 + 10,10,10 짓고 5땡

광땡까지 인정하면 다음과 같은 2가지 춘추땡이 더 추가된다. 참고로 13광땡만 가능하며, 38광땡이나, 18광땡은 춘추땡이 성립될 수 없다.
  • 1광,3광,6,2,2 : 136 짓고 2땡 + 226 짓고 13광땡
  • 1광,3광,6,7,7 : 136 짓고 7땡 + 776 짓고 13광땡

40장의 경우에는 같은 숫자가 3장이나 4장이 모이면서 1,1,1,1,8 같은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짓는 방법을 엄밀히 계산하면 6가지(4C2=6)가 존재하지만, 어떻게 짓더라도 그 결과는 1땡으로 같기 때문에 별도로 취급하진 않는다.


[1] 최초로 판돈을 올리는 것은 베트, 아니라면 레이즈이다.[2] 참가자 수에는 제한이 없다. 카이지에 나온 친치로처럼.[3] 20장 게임에서는 볼 수 없다[4] 이 게임을 오래하면 이걸 외워서 암산을 빠르게 할 수 있다는 설도 있다.하지만 현실은 주차된 차량 번호판만봐도 뇌내에서 자동으로 짓고땡 근데 번호판은 6자 아니냐? 12가 3456이라서 됨.[5] 40장으로 하는 경우 한정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