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문민정부
[clearfix]
1. 개요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군사독재 시대의 잔재를 청산하고 한국 민주주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이 가장 먼저 꼽힌다. 우선 취임 11일 만에 육군 내 사조직 하나회를 일거에 숙청함으로써 잠재적인 군사 쿠데타의 가능성을 뿌리뽑았고, 금융실명제 실시로 정경유착과 지하 경제를 완화해 한국 사회의 투명성 향상에 기여했다. 또한 역사바로세우기를 내걸고 5.18 특별법을 제정해 5.18 민주화운동을 민주화 운동으로 재평가했으며, 전두환, 노태우 등 내란 세력을 심판대에 세웠다. 뿐만 아니라 일제강점기라는 한민족의 가장 어두운 역사를 청산하기 위해 구 조선총독부 청사를 철거하는 결단을 내렸다. 노태우 정부 시기 부활한 지방자치를 확대한 것도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부정적인 측면도 상당히 짙다. 아무런 공식 직함조차 없이 일명 '소통령'(小統領)으로 군림했던 차남 김현철은 한보 사태를 일으켜 대통령 친인척으로서는 헌정 사상 처음으로 구속되면서 김영삼의 대통령으로서의 레임덕의 신호탄이 됐다. 집권 5년 동안 성수대교 붕괴 사고,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등의 대형 사고도 빈발하면서 '사고 공화국'이라는 오명을 썼고, 결정적으로 임기 막판에 터진 1997년 외환 위기의 책임에서도 자유롭지 못하다. 또한 집권을 위해서 3당 합당으로 군사독재 세력과 손잡고 영남 지역주의를 부추겨 호남이 고립되는 기울어진 정치 지형을 만들었다는 점, 1996년 노동법 날치기로 왜곡된 노사 관계를 만들었다는 점에 대해서도 비판받는다.
민주당계 정당에서 30년 넘게 활동하다가 보수정당으로 옮겨 대통령에 등극한 인물이었다는 특징 때문에 민주당계 진영에서 김대중, 노무현이 받는 그것, 보수 진영에서 박정희가 받는 그것과는 사뭇 다른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민주당계 진영에서는 기본적으로 민주화 운동 공적은 인정하나 3당 합당으로 지역주의를 조장하고 군사독재 세력의 정치적 생명을 연장해줬다고 비판하기도 하는 한편, 보수 진영에서는 주로 박정희와 산업화 시대를 띄우는 경향이 있어 그의 정적이었을 뿐만 아니라 외환 위기라는 치명적인 결함을 가진 김영삼에게는 비교적 무관심한 편이었으며 친박 계열의 일부 극우 세력은 좌파의 숙주 정도로 폄하하기도 한다.
생전 민주화 진영의 양대 산맥 중 하나이자 PK 지역의 맹주, 5.16 군사정변 이후 32년 만에 처음 등장한 문민 대통령이었던 김영삼의 영향력을 생각하면 전직 대통령 선호도에서도 자신이 정계에 스카웃했던 노무현, 필생의 숙적이었던 박정희, 반독재 투쟁 동지이자 정치적 라이벌이었던 김대중에 비해서 많이 초라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2015년 11월 22일 서거 이후 김영삼의 긍정적인 측면이 재조명됨과 동시에 실책 또한 온전히 김영삼의 책임은 아니라는 주장이 힘을 얻으면서 대중적 평가가 점차 좋아지는 추세에 있다. 예를 들어 2023년 11월 5주 한국갤럽 조사에 의하면 김영삼에 대한 평가는 긍정 40%, 부정 30%로 나타났으며, 보수 진영 대통령 중에서는 박정희와 함께 긍정이 더 우세한 둘 뿐인 대통령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