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12:21:06

세르메르소크

셈메소크에서 넘어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방자치단체
파일:아반나타.png
아반나타
파일:쿠얄레크.png
쿠야흘레크
파일:케케르탈리크 문장1.jpg
케케르탈리크
파일:켁카타.png
케카타
파일:세르메르소크 문장.svg
세르메르소크
국립공원
북동 그린란드 국립공원 }}}}}}}}}
그린란드의 주
세르메르소크
Sermersooq
파일:세르메르소크 문장.svg
문장
<colbgcolor=#d00c33><colcolor=#fff> 국가
[[그린란드|]][[틀:국기|]][[틀:국기|]]
중심 도시 누크(Nuuk)
면적 531,900km2
인구 23,123명 (2020년 기준)
인구 밀도 0.043명/km2 (2020년 기준)
시간대 UTC-02:00
UTC-01:00[1]
파일:셈메소크 지도.png
세르메르소크의 위치

1. 개요2. 전신3. 하위 행정구역

[clearfix]

1. 개요

세르메르소크는 2009년 그린란드 행정구역이 대규모로 개편됨에 따라 설치된 지방자치체이다. 그린란드 중서부와 동부를 아우르는 광대한 행정구역으로서, 중심도시는 수도인 누크이다.

명칭인 세르메르소크(Sermersooq)는 그린란드어로 '빙하(sermeq[2])가 많은(-sooq[3]) 곳'이라는 뜻이다.

문장은 얼음 낀 바다와 이눅숙[4], 태양을 형상화한 것으로, 이눅숙은 사람들의 협력을 상징하고 나머지는 일대의 기후를 표현한 것이다.

2. 전신

2009년 당시 그린란드의 행정구역 개편은 종래의 18개 자치구로 구성된 행정 체계를 4개의 지자체로 통합하는 데 주안점이 있었다. 종래의 자치구들은 이후 각 주의 지구(地區)로 남았다.

당시 세르메르소크 주로 통합된 지자체는 다음과 같다.

3. 하위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12px 0; display: inline-table"<tablebgcolor=#d00c33><tablebordercolor=#d00c33> 파일:세르메르소크 문장.svg 세르메르소크 주
행정구역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12px 0px; display: inline-table"<tablewidth=100%><tablebgcolor=#d00c33> 파일:누크 문장.png 누크 구
Nuuk Distrikt
}}} ||
<colbgcolor=#f5f5f5,#fff><colcolor=#d00c33> 누크
정착촌 카피시흘리트 케케르타르수아치아트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12px 0px; display: inline-table"<tablewidth=100%><tablebgcolor=#d00c33> 파일:tasiilaq_coa.png 암마살리크 구
Ammassalik Distrikt
}}} ||
<colbgcolor=#f5f5f5,#fff><colcolor=#d00c33> 타실라크
정착촌 쿰미트 쿨루수크 틸레릴라크
세르밀리가크 이소르토크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12px 0px; display: inline-table"<tablewidth=100%><tablebgcolor=#d00c33> 파일:잇통콕톰밋 문장.png 이토코르토르미트 구
Ittoqqortoormiit Distrikt
}}} ||
<colbgcolor=#f5f5f5,#fff><colcolor=#d00c33> 이토코르토르미트
{{{#!wiki style="margin: -12px 0px; display: inline-table" 파일:Paamiut_coa.png 파미우트 구
Paamiut Distrikt
}}} ||
파미우트
정착촌 아르수크
}}}}}}}}} ||

취소선이 그어진 이름은 폐쇄된 행정구역으로, 당해 행정구역의 발족(2009년 1월) 이전에 폐쇄된 행정구역은 표기하지 않는다.

세르메르소크주에는 누크 지구에 한하여 목축지(Fåreholdersted)가 소재하고 있다. 목축지란 행정구역의 일종으로서, 주로 목축이 이루어지며 인구규모가 극히 작은 촌락이다. 행정적으로는 정착촌(Nunaqarfik)이나 도시(Illoqarfik)에 속한 지구로 간주되기 때문에, 아래의 목록에서는 두 단계 들여쓰기하여 표기되어 있다.


[1] 이토코르토르미트 등 동부 일부 지역[2] 얼음(ice)이라 번역되곤 하나, 그중에서도 특히 빙하나 빙상 등 거대한 규모의 얼음을 일컫는다.[3] -tooq의 이형태.[4] 돌무더기. 형태는 제각각이지만 북극의 여러 민족이 대동소이하게 설치하는 구조물로, 전통적으로 일종의 이정표 구실을 하였다.[5] 이 시점에서 이비투트 자치구는 캉일링우이트의 군사기지를 제외하면 사람이 살지 않는 것이나 다름없는 상태로서 법적으로만 존재했고, 세르메르소크주에 통합되었다.[6] 지구 자체는 존재하지만 현재 이곳에 거주하는 인구 혹은 기능하는 시설이 전무하여 유명무실한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