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2 17:48:41

모두 당신 탓입니다.

스베아나에서 넘어옴
닉네임 全てあなたの所為です。
채널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경계곡 관련4. 투고곡 및 해석5. 음반
5.1. . .. ...5.2. 表 / 裏 (겉/속)5.3. 名の無い星が空に堕ちたら (이름없는 별이 하늘에 떨어진다면)5.4. CXXXII

[clearfix]

1. 개요

일본작곡가이다.

2. 상세

오늘은 (멜로디1)[1]에 접속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정말로 죄송하지만, 이 영상은 업로드자가 (멜로디2)[2]한 이유로
열람하실 수 없게 되었습니다. 정말로 죄송합니다.
다음 접속을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 "교육" 이후에 사용되는 인트로 메시지.

UTAU를 보컬로 사용하며[3], 칩튠 계열에 J-POP의 분위기와 난해한 가사를 가진 곡을 주로 만든다. 매 영상 앞부분에 나오는, 니코동 삭제 메세지를 따라한 인트로 메세지가 트레이드 마크.

활동명인 모두 당신 탓입니다.(全てあなたの所為です。)는 본인의 곡인 ., .., ...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가사이기도 하며, 길기 때문에 줄여서 스베아나(すべあな)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코론바와 비슷한 스타일의 곡을 내놓아서 화제가 되었으나, 과거 니코니코 프로필에 과거 트위터 ID를 기재해둔 덕에 롱게(ロン毛)라는 syamu 음계MAD 관련 투고자였음이 첫 곡(.) 투고 시점에서 이미 밝혀졌다. 두번째 곡(..)부터 일부를 검은 네모 처리한걸 보아선 노이즈 마케팅으로 보인다. 니코니코 계정을 지우고 유튜브 활동을 시작한 세번째 곡(교육)부터는 대놓고 특유의 인트로에 닉네임을 기재하고 있어 유튜브만 보는 시청자들은 여기서 밝혀진 것으로 아는 이들도 많다.

본래 니코니코 동화에서 활동하다가.과 ..의 두 개의 작품을 투고한 뒤 유튜브로 활동지를 이전하였다.[4]

名の無い星が空に堕ちたら(이름없는 별이 하늘에 떨어진다면)요네즈 켄시パプリカ의 음악의 표절곡 아니냐는 의혹[5]이 있던 이후로 한동안 모습을 보이지 않다가, 2020년 6월 28일 약 8개월 만에 음반 CXXXII를 출시하였다.

공개된 타이틀곡 エヌ(N)의 최초 공개 영상 시청자만 약 4천 명에 달했고, 일본 한국 영어권 팬들의 '돌아와줘서 고맙다', '슈퍼 채팅 기능 활성화 해 달라' 등 다양한 응원의 대화가 오갔다.

그 후 또 한동안 소식이 없다가 2022년 11월 11일, 약 2년 만에 새로운 곡 K²와 함께 동명의 음반을 공개/출시하였다. 해당 곡 역시 유튜브 최초 공개 기능을 이용해 공개되었으며 시청자 약 4천 명을 기록했다. 슈퍼 채팅 기능이 드디어 활성화되어 신난 팬들은 덤.

노래에 숨겨진 의미를 담는 것이 취미인 듯 하다. 후술할 노래 상세 및 가사를 참고해 보자.

3. 경계곡 관련

이전 이후 음원을 유료배포하거나 롱게 시절의 트위터로 어그로를 끌고[6] 삭제하는 등 노이즈 마케팅 및 상업화 성향을 적극적으로 보여 과거부터 코론바와 2호 곡의 팬이었던 사람들 중에는 안티들이 상당수 생겼다. Apple Music Japan에서 노래를 들을 수 있다.

다만 이들도 곡이 좋다는 것에는 반박할 수 없는 듯 하고, 2018~2019년에 코론바의 재조명 및 리스펙트 작곡가의 대량 발생을 주도한 게 이 사람인 것도 사실. 물론 유튜브만 보는 저연령층이 코론바나 다른 헌정곡 투고자들에게 이쪽의 이야기를 적거나 코론바의 헌정/리스펙트 크리에이터보다도 이쪽의 리스펙트가 늘어나는 등 역효과도 많아 안티층이 엷어질 기세는 보이지 않는다. 특히 스베아나 리스펙트 크리에이터는 '니코동 삭제 인트로 & 비슷해도 너무 비슷비슷한 작풍 & 후렴 마지막에 등장하는 모두 XX의 탓입니다'로 고정되어 질리기 쉬운 점도 한몫한다.

2차 창작 시에는 앞부분의 삭제 인트로 메세지는 필수로 들어가며, 위 각주에서의 DSC_0001.AVI나 ◘을 패러디한 영상도 종종 있다. 곡마다 모스부호나 깨진 가사를 삽입하는 것은 이쪽이 오리지널인데, 어째 2호코론바 관련 2차 창작에 준 필수요소처럼 자리잡게 되었다.

4. 투고곡 및 해석

문서가 너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리되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모두 당신 탓입니다./투고곡 및 해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음반

5.1. . .. ...

파일:모두 당신 탓입니다_앨범(. .. ...).jpg
2018년 12월 30일 발매
공식 사이트
트랙 곡명
01 <colbgcolor=#ffffff,#1f2023> .
02 ..
03 ...

5.2. 表 / 裏 (겉/속)

파일:600px-Omote-ura-subeteanatanoseidesu.jpg
2019년 4월 17일 발매
공식 사이트
트랙 곡명
01
02

5.3. 名の無い星が空に堕ちたら (이름없는 별이 하늘에 떨어진다면)

파일:268x0__w.jpg
2019년 9월 28일 발매
공식 사이트
트랙 곡명
01 名の無い星が空に堕ちたら

5.4. CXXXII

파일:itew657326.webp
2020년 6월 28일 발매
공식 사이트
트랙 곡명
01 エヌ
02 アブジェ
03 教育
04 アブジェ - Bonus Track
05 教育 - Bonus Track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니코니코 동화라는 단어 대신 해당 단어의 악센트를 멜로디를 표현한 음이 나온다. 화면에서는 음의 높낮이 표시가 나온다.[2] 삭제라는 단어 대신 해당 단어의 악센트를 멜로디를 표현한 음이 나온다. 화면에서는 음의 높낮이 표시가 나온다.[3] 보컬이 누구인지는 밝히지는 않았지만 데포코(우타네 우타)를 사용했거나, 윳쿠리 레이무버전 TTS을 사용했을 수도 있다. 이 둘의 목소리는 거의 겹칠 정도로 비슷해서 누가 보컬인지는 쉽게 구별하기 어렵다.[4] 니코동에서의 활동 히스토리를 살펴보면 상당히 기행적이다. 우선 "."의 short버전을 니코동 계정에 올린 후 떡밥 영상으로 DSC_0001.AVI이라는 기이한 영상을 올렸으며[7], 해당 영상의 QR코드를 통해 유튜브 채널로 들어가게끔 하여 라는 영상을 소개했다. 이 모든 게 "."의 풀버전을 올리기에 앞선 떡밥 작업. 유튜브 채널은 이 과정에서 통과하게 되는 채널일 뿐이었고 당시엔 니코동 채널이 본진이었으나, 현재는 아예 바뀌어서 니코동 계정은 삭제, 유튜브 채널이 본진이 되었다.[5] 두 음악의 BPM이 같고 하이라이트의 코드 진행이 비슷했었다.[6] 이 유튜브 채널의 링크를 올렸다가 삭제한 전력이 있으며, 해당 유튜버 역시 작곡가이고 비슷한 성향의 곡을 만들어 동일 인물이라는 설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