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5 16:36:29

Arturia

아투리아에서 넘어옴
파일:Arturia 로고.png

1. 개요2. 역사3. 제품 목록4. 사용 뮤지션

1. 개요

공식 사이트

1999년 프랑스에서 설립된 신디사이저, 미디 컨트롤러 회사. 아투리아라고 읽는다.

2. 역사

1999년 프랑스 그르노블에서 소프트웨어 신디사이저 회사로 성립되었다.

2003년 로버트 무그와 협력하여 자사의 기술인 True Analog Emulation(TAE)으로 1960년대 Moog modular synthesizer를 섬세하게 가상악기화 시킨 Modular V으로 뮤지션들 사이에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으며, 이후에도 ARP 2600, Minimoog SCI Prophet 5등 1960년대 - 70년대 - 80년대 시대를 풍미했던 빈티지 신디사이저들을 복각한 가상악기 플러그인을 계속 출시하여 명실상부한 독보적인 빈티지 신디사이저 복각 가상악기 회사로 우뚝 선다.

현재까지도 이 가상악기들은 개별 구매하거나 묶음 팩인 V Collection으로 저렴하게 구입할수 있으며, 오리지널 악기들의 기술적 문제로 구현이 불가능했던 기능들이 추가로 들어가기도 한다. 예를 들어 실물은 동시에 여러 음을 낼 수 없는 모노포니였는데 소프트웨어에서는 폴리포니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 다만 이러한 추가적인 면들 때문에 기존 오리지널 악기의 색채가 덜 묻어나온다는 평 또한 존재한다.

이렇게 한동안 소프트웨어 신디사이저 개발에만 집중하다가, 2012년 기존 Arturia가 쌓아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MiniBrute라는 모노포닉 아날로그 신디사이저를 발표하면서 하드웨어 신디사이저를 생산하기 시작한다.

이 악기는 아날로그 신디사이저 시장에 굉장한 파란을 일으켰는데, 디지털 시대가 개막하고 나서 한참 뒤였던 2010년대 초, 아날로그 신디사이저는 moogDave Smith Instruments 같이 역사가 깊은 회사들 말고는 드물었으며, 이마저도 매우 비싸서 컬렉터가 아니면 잘 선호하지 않던 분야였다. 그러나 MiniBrute은 499달러라는 굉장히 저렴한 가격으로 출시 되었으며, 디지털 기술이 미첨가된 순수 아날로그 신디사이저 였기에 주목을 받았으며, 이후 기존 디지털 신디사이저 회사인 KORGMS-20 mini, RolandBoutique 시리즈 같은 저렴한 복각, 신제품 아날로그 신디사이저를 생산할 정도로 신디사이저계에 아날로그 새 바람을 일으켰다.

이후 현재까지 MatrixBrute, PolyBrute 등 아날로그 신디사이저 시리즈인 Brute시리즈와 MicroFreak, MiniFreak 같은 디지털 오실레이터 - 아날로그 필터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신디사이저 시리즈인 Freak시리즈를 출시하는등 여러 기종도 발표하며, 아날로그 신디사이저 붐을 타고 돌아온 기존의 강자들과 경쟁 중이다. 더불어 가상악기로 복각한 V Collection도 계속 출시중이며, Arturia 자체 웨이브테이블 신스 가상악기인 Pigments는 현재 Serum과 더불어 많이 쓰이는 웨이브테이블 가상악기이다.

특유의 깔끔하고 미려한 디자인이 좋은 평을 받으며, 다른 신디사이저 회사들보다 비교적 신생 기업임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구분 없이 moog, Sequential, Roland, KORG등 더 오래전 부터 꾸준히 신디사이저를 출시했던 회사들 수준으로 올라온 대표적인 신디사이저 메이커로 우뚝 섰다.

3. 제품 목록

3.1. 신디사이저

3.1.1. 소프트웨어 신디사이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rturia/소프트웨어 신디사이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rturia/소프트웨어 신디사이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rturia/소프트웨어 신디사이저#|]][[Arturia/소프트웨어 신디사이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미디 컨트롤러

  • Keystep
  • Keystep Pro
  • Beatstep
  • Beatstep Pro
  • MiniLab MK II
  • KeyLab Essential 49
  • KeyLab Essential 61
  • KeyLab 49
  • KeyLab 61
  • KeyLab 88 - 키베드는 유명하고 비싼 파타 건반을 써서 좋다. 단일채널 애프터터치가 된다. 노브 슬라이더 등 컨트롤 기능도 좋다. 4X4 패드가 안 좋다. 일정 압력 이하로 누르는 것은 인식을 못 하고, 눌렀다 떨어질 때 고무패드가 붙었다 떨어지면서 쩍쩍 소리가 난다.
  • KeyLab 25

3.3. 드럼머신

  • DrumBrute
  • DrumBrute Impact
  • Spark
  • SparkLE

3.4. 오디오 인터페이스

  • Audiofuse 시리즈
출시 전 발표에서는 굉장히 혁신적인 세상에 없던 새로운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만들 거라며 언플을 찰지게 했고, 실제로 혁신적인 제품이었는가에 대해서는 아직도 의견이 갈리지만 도시락이 생각나는 작은 크기에 미려한 디자인, 각종 단자와 노브를 정말 온갖 종류[1]로 다 갖추고 있고, AD, DA, 마이크 프리, 그리고 레이턴시까지 모두 굉장히 훌륭한 편이라는 게 밝혀져 매니아층이 생길정도로 잘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소프트웨어가 한번씩 말을 듣지 않는다던지, 루프백 기능은 없다던지 하는 아쉬운 점이 분명히 있으며, 안정성이 가장 중요한 시장이 오디오 시장이다보니 성능대비 그렇게 많은 사람들을 끌어오지는 못했다라는 평가를 받는다. 이후 Studio, 8Pre 등의 확장 모델도 나오고 audiofuse의 2세대 모델들도 나오고 있으며 첫 제품보다는 단점들을 수정, 보완 해가고 있다. Studio, 8Pre 제품은 루프백이 제대로 들어가 있다.
  • Minifuse 시리즈
2020년대 들어 인터넷 방송용 겸 입문용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유행하자 오디오퓨즈에 없던 루프백 기능을 넣어서 2021년 11월 출시한 새로운 오디오 인터페이스 제품군이다. 현재 미니퓨즈 1, 2가 출시되어 있으며 미니퓨즈 4는 2022년 안에 출시 예정이다. 미니퓨즈 제품들의 가성비, 루프백 지원, 깔끔하고 예쁜 디자인을 세일즈 포인트로 삼고 있다. 다만 미니퓨즈 1 제품은 2022년 7월 25일 드라이버와 컨트롤 센터 업데이트로 버그가 해결되기 전까진 루프백 세팅이 매우 까다로워서 쓰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렇게 루프백 버그가 해결이 되나 싶었는데 이번에는 예상치 못한 곳에서 미니퓨즈 제품군 전체의 문제점이 드러났다. ASIO를 지원하는 리듬게임에서 미니퓨즈 ASIO 드라이버를 통해 나오는 사운드는 미니퓨즈 시리즈의 루프백에서 전혀 인식하지 못한다. 즉 ASIO로 제공되는 사운드는 루프백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정확히는 루프백 재생 장치로만 보내지는 소리만 루프백이 인식할 수 있는데, ASIO 드라이버에서 보내지는 소리는 루프백 재생 장치로 보내지지 않기 때문이다. 2022년 10월 19일, 미니퓨즈 마지막 제품군인 미니퓨즈 4가 출시되었다. 2022년 11월 1일에 미니퓨즈 4가 국내에 정식 발매되면서 모든 라인업이 정발되었다.

4. 사용 뮤지션

※ ㄱ-ㅎ/A-Z 순서로 작성
항목이 있는 악기들은 각 해당 문서 참고.
[1] 4 아날로그 입력, 4 아날로그 출력, 2 프리앰프, 2 인서트, ADAT, S/PDIF, Word, MIDI, 3포트 USB 허브, 토크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