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폐쇄된 교통 시설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五三站
Wusan Station[1]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우산역 | ||
| 1호선 (101) (폐역) | 쓰후이둥 방면 푸서우링1.8 km → |
바퉁선 직통 ▶ | ||
주소 | ||
베이징시 스징산구 가오징자 32호 北京市石景山区高井甲32号 | ||
역 운영기관 | ||
1호선 |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3] | |
개업일 | ||
미개업 |
우산역 승강장으로 추정되는 사진. 그러나 추가 자료가 부족하여 이곳이 우산역인지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대충 우산역의 분위기가 이렇다는 정도로만 이해하면 된다.
[clearfix]
1. 개요
중국 베이징시 스징산구에 위치한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의 역이다. 베이징 군구 관할 지역이므로 일반인 통제구역이라서 정확한 정보는 알 수 없다. 기밀에 부쳐진 군 시설인 만큼 민간인이 출입할 수 없으며, 앞으로도 역을 개업할 예정은 없는 모양. 본래 역명은 가오징이었으나 최근에 현재 이름으로 바뀌었고, 일부 자료에선 53호역이라는 명칭으로 소개되기도 한다.
이 역을 개방하는 움직임이 아예 없던 것은 아니었는데, 오래 전부터 스징산구 푸서우링 일대 주민들의 개방 요구가 있었다. 1982년 제5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제5차 회의에서도 주민들의 편의와 국가 에너지 절약을 목적으로 이 역과 푸서우링역 개방 요구가 있었고, 1983년 베이징 지하철 계획에도 포함되었다. 그러나 개방이 최종적으로 무산되었다.
그래도, 나름대로 역이라고 지어놓고 2007년 전까지 2회 정도는 열차가 이곳에 정차했다고 한다. 핑궈위안역에서 승객을 모두 내리고, 푸서우링역과 이 역에서는 관계자만 취급하는 형식이었다.
2021년 푸서우링역 개방 확정 이후 이 역도 개방이 추진되고 있다. 2021년 스징산구 인민정부에서 발표한 <스징산구 2022년 공작계획>에 1호선 가오징역 시동 초기 연구가 포함되었다. # 그러나 현재까지 후속 절차가 아직 착수되지 않은 상태이며, 푸서우링역처럼 이 역도 개방되기까지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자세한 설명은 이곳을 참조하자.
2. 역 및 승강장
구조는 지하에 위치한 섬식 승강장이나, 실질적으로 상행선 승강장만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하행선인 쓰후이둥 방면 선로는 얼마 안 가서 끊겨 있다고 한다. 순수히 관계자만을 위해 지어진 역이라, 푸서우링역과 마찬가지로 내부는 콘크리트 이외의 마감재 없이 전등 몇 개만 있는 음산한 분위기가 난다고 한다.또한, 헤이스터우역 방면으로는 단선으로 이어져 있으며[4], 역에서 얼마 안 가서 지상으로 나가게 된다고 한다. 중국어 위키백과에 따르면 이 선로도 지상으로 나있는 터널 입구를 철문으로 막아놓고 있다고 한다. 군사 목적이나 차량 반입/반출 때만 잠깐 여는 듯 하다.
종착역[헤이스터우역] | |||
ㅣ | X | 昇 | ㅣ |
↓ 푸서우링 |
X | | | |
昇 | 昇 | 푸서우링 방면 |
[1] 역이 위치한 곳의 지명인 가오징(高井)역으로도 불린다.[헤이스터우역] 상선 방향으로 헤이스터우역이 있기는 하나 정식 역이 아니다.[3] 실질적 운영은 중국 인민해방군 중부전구에서 담당하고 있다.[4] 헤이스터우역은 싼자뎬역과 이어지는 직선 상에 있는 역은 아니고 살짝 빠져나온 단선에 있다고 한다. 그래서 그 분기되는 단선을 타지 않을 경우 싼자뎬역으로 바로 간다. 싼자뎬역과 바로 연결된 단선은 국철 선로로도 직결된다고 하는데, 1호선에서 뛰는 차량들을 가져오는데 쓴 연결선로인 듯 하다.[헤이스터우역] 상선 방향으로 헤이스터우역이 있긴하나 정식 역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