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ffffff> 워 호스피탈 War Hospital | |
| |
<colbgcolor=#1E201F> 개발 | Brave Lamb Studio S.A. |
유통 | 나콘 |
플랫폼 | Windows | PlayStation 5 | Xbox Series X|S |
ESD | PC: Steam | 에픽게임즈 스토어 | GOG.com 콘솔: PlayStation Network | Microsoft Store |
장르 | 시뮬레이션, 전략 |
출시 | 2024년 1월 11일 |
한국어 지원 | 자막 지원 |
심의 등급 | |
상점 페이지 |
1. 개요
Brave Lamb Studio에서 만든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제1차 세계 대전의 야전 병원을 경영하는 게임이다.
2. 시놉시스
때는 1918년. 당신은 은퇴한 영국 전투 의무병 헨리 웰스 소령으로 변신하여 제1차 세계 대전의 악몽 속에서 야전 병원을 책임지기 위해 다시 징집됩니다. 이 병원은 인력과 공급이 부족하지만 서부 전선의 수많은 병사들에게는 마지막 희망의 보루입니다.
당신의 주요 임무는 팀의 사기를 유지하고 치료한 병사들과 함께 전쟁 병력을 지원하는 것입니다.그러려면 병원을 관리하여 전투가 끝날 때마다 홍수처럼 쏟아져 들어오는 부상병을 치료해야 합니다. 환자를 치료하거나, 수술 일정을 잡거나, 상해를 입은 채로 두어 운명에 맡기기를 결정하려면 우선순위에 따라 환자를 입원시켜야 하죠...
끊임없이 불어나는 요구 사항에도 불구하고 자원은 한정적입니다. 때로는 도덕적으로 어려운 결정을 내리며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어떤 시설을 개선할지 결정하고 군사 의료에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진보한 기술을 사용하세요.
당신의 주요 임무는 팀의 사기를 유지하고 치료한 병사들과 함께 전쟁 병력을 지원하는 것입니다.그러려면 병원을 관리하여 전투가 끝날 때마다 홍수처럼 쏟아져 들어오는 부상병을 치료해야 합니다. 환자를 치료하거나, 수술 일정을 잡거나, 상해를 입은 채로 두어 운명에 맡기기를 결정하려면 우선순위에 따라 환자를 입원시켜야 하죠...
끊임없이 불어나는 요구 사항에도 불구하고 자원은 한정적입니다. 때로는 도덕적으로 어려운 결정을 내리며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어떤 시설을 개선할지 결정하고 군사 의료에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진보한 기술을 사용하세요.
3. 시스템 요구 사항
시스템 요구 사항 | ||
구분 | 최소 사양 | 권장 사양 |
<colbgcolor=#1E201F><colcolor=#fff> 운영체제 | Windows 10 | |
프로세서 | Intel Core i7-3770 AMD Ryzen 5 1500X | Intel Core i5 1500X AMD Ryzen 5 2600X |
메모리 | 8 GB RAM | |
그래픽 카드 | NVIDIA GeForce GTX 750 (2 GB) AMD Radeon R7 360 (2 GB) | NVIDIA GeForce GTX 970 (4 GB) AMD Radeon R9 290X (4 GB) |
API | DirectX 11 | DirectX 12 |
저장 공간 | 30 GB |
4. 공략
병사를 치료하는데 있어 손익분기점이 있다.
대개 모든 약품에서 이등병은 3개, 상병은 5개, 병장은 8개 이상의 약품이 든다면 살려도 손해다.[1] 이 손해나는 병사를 살리려고 하면 약품이 부족하여 이익나는 병사를 치료하지 못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업그레이드를 못하여 지속적으로 병사가 더 많이 죽는 악순환이 발생하므로 죽일 병사는 깔끔하게 포기를 해야만 클리어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자원이 빡빡하기 때문에 누굴 살리고 누굴 죽일지를 생각해서 냉철하게 판단한다면 위기없이 클리어가 가능하지만, 정에 이끌려서 살릴 가능성이 낮거나 살려도 별 도움이 안되는 병사를 포기하지 못하면 병원이 마비되고 우수한 병사와 VIP가 죽어 전선이 밀리고 게임이 오버되니 어느정도 냉혹한 결단이 필요하다.
전투력이 우수한 병장은 참호로 보내고, 이등병과 상병은 가급적 본부를 통해 다른 전선으로 짬처리를 하는게 좋다. 참호로 보낸 병장이 부상을 입어 다시 병원으로 와서 치료함으로서 전선의 병사의 질을 끌어올려 양을 줄일 수 있고 환자의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최고등급으로 올렸다면 병장도 알짤없이 본부로 보내 자원으로 바꿔먹고 병원을 업그레이드 해야한다.
잡동사니는 사질 못하지만, 의약품을 평판으로 사들이고 공병으로 의약품을 만들지 않는 방식으로 잡동사니를 확보할 수 있다. 테크를 빠르게 올려 많은 의사와 치료율을 올리면 병사가 치료받다 죽는 일이 적어지므로 수익성이 계속 개선된다. 병사가 치료실에 들어갔다가 죽는 것이 수익성에 가장 큰 손해를 입히기 때문이다.
챕터 2까지 병원 업그레이드는 거의 완성시켜두어야 한다. 의사도 이미 모두 고용해 레벨도 올려놨어야한다. 챕터 3에서는 대공세가 발생하면서 더이상 가성비와 관련없이 모든 병사를 살려야만 하는데 몇명을 살리냐가 엔딩에 직결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번역오류인지 창고 트럭 숫자를 늘리면 앰뷸런스가 늘어난다. 전선의 병사를 빠르게 운송하기 위해선 엠뷸런스가 필수이니 창고트럭 업그레이드는 생산탭에서 최우선시하자.
5. 평가
마치 프로스트펑크처럼 극한 상황을 한정된 자원으로 극복하기 위해 최선의 선택을 해야하는 경영/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전쟁 한복판의 야전 병영이라는 상황을 묘사하는 아트와 분위기는 호평을 받지만 출시 초기 유닛 끼임버그, 세이브파일 손상버그 등 게임 진행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버그가 산재해 스팀 기준으로 추천과 비추천이 거의 동률을 이루는 '복합적' 평가를 받는 것으로 시작해 몇차례의 패치로 버그를 개선한 이후에도 게임적으로 불호 요소가 남아있어 복합적 평가를 유지하고 있다.혹평받는 요소를 종합해보면 변별력없는 업그레이드와 이벤트 시스템, 굴곡이 심한 레벨 디자인이 다양성 없는 단조로운 게임플레이를 유발해 장르에 익숙하지 않은 유저에게는 초반을 넘기지 못하는 지나치게 어려운 게임으로 다가오고 초반을 넘기고 게임을 클리어한 유저에게는 반복적이고 루즈한 플레이만 남는다는 평이 주를 이룬다.
극한 상황에서 결단을 끊임없이 강요하며 어떤 선택을 해도 찝찝함이 남는 게임 진행은 이러한 분위기를 즐기는 마니아층과 스트레스로 받아들이는 유저층 사이에서 호불호가 갈리는데, 게임플레이의 혹평 요소에 더해 단일난이도 3챕터 시나리오 1개로 그치는 작은 볼륨과 UI 및 단축키 등에서 드러나는 부족한 편의요소, 패치 이후에도 잔재한 버그 등의 단점들이 혹평에 힘을 실으면서 비추천비율 절반의 복합적 평가를 만들어내고 있다.
[1] 병장은 약간 손해를 봐도 살릴만한 가치가 있다. 고쳐서 전선에 내보내면 다시 들어오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