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6em;margin: 0 -11px -5px" {{{#!folding ㅤ [JpnI/GI]ㅤ | <tablewidth=100%> 카와사키 기념 | 하네다배 | 카시와 기념 | 도쿄 더비 | 사키타마배 | 제왕상 | 재팬 더트 클래식 | 마일 챔피언십 남부배 | JBC 클래식 | JBC 스프린트 | JBC 레이디스 클래식 | 전일본 2세 우준 | GI 도쿄대상전 |
- ㅤ [폐지된 중상경주]ㅤ
- ||<tablewidth=100%><width=10%><tablecolor=#000,#ddd><colbgcolor=#262f8e><colcolor=#fff> GI/JpnI ||<width=5000px> 더비 그랑프리2008년 박탈·2024년 폐지 ||
GII/JpnII 슈퍼 더트 더비1999년 박탈·2002년 폐지 | 토카이 킷카상2001년 박탈·현SPI | 오구리 캡 기념2005년 박탈·현SPI | 나고야 우준2005년 박탈·현SPI GIII/JpnIII 토키대상전2002년 폐지 | 사쿠란보 기념2004년 폐지 | 그랑 샤리오 컵2004년 폐지 | 군마 기념2005년 폐지 | 도치기 마로니에 컵2005년 폐지| 서러브레드 챌린지 컵2005년 폐지 | 전일본 서러브레드 컵2005년 박탈·현SPI | 홋카이도 2세 우준2020년 폐지
全日本2歳優駿 전일본 2세 우준 | |
<nopad> 파일:2024년 미리어드 러브.jpg 2024년 우승마 미리어드 러브 | |
개최국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주최 | 카와사키 경마조합 |
개최지 | 카와사키 경마장 |
경주 정보 | |
거리 | 더트 1600m 좌회전 |
등급 | Jpn1, 국제 L(리스티드) |
상금 | 1착 4200만엔 |
출주조건 | 서러브레드계 2세 |
부담중량 | 정량 |
레이스 레코드 | |
드라이 스타우트(2021년) 1:39.2 |
[clearfix]
1. 개요
카와사키 경마장의 2세 더트마 챔피언 결승전. 현존하는 지방경마의 중상 경주 중 가장 오래되었다.2. 역사
1950년에 '전일본 3세[1] 우준'으로 창설되어 제1회는 카와사키 경마장의 더트 1200m 코스에서 시행되었다. 이듬해부터는 1400m로 코스를 연장하였다. 그 후 1956년에 1500m, 1959년에 현재의 1600m로 연장되었다. 1988년에 레이스 명칭의 삼세를 3세로 변경하였고 2001년에 마령 표기의 국제 기준에 맞추어 현재의 이름인 '전일본 2세 우준'이 되었다.제1회인 1950년에 한해 중앙경마의 경주마를 초청하고 이듬해부터 1984년까지는 이름에 걸맞지 않게 미나미간토 지구 소속마 한정으로 진행되었으나, 1985년에 전국 지방 교류경주가 되어 드디어 이름값을 하게 된다. 1997년에는 중앙 경마까지 교류를 확대하고 Jpn2 등급을 부여 받게 되었고, 2002년에 Jpn1이되어 명실공히 일본의 2세 더트마 최강전으로 자리 잡았다.[2] 2018년에 국제 경주로 지정되고 국제 등급도 LR(출주 자격이 제한적인 리스티드 경주)에서 L(출주 자격에 제한이 없는 리스티드 경주)로 변경되었다.
3. 역대 우승마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1950 1951 1952 1953 1954 타지마 오 | 1955 1956 1957 1958 1959 |
1960 1961 1962 1963 1964 1965 1966 1967 1968 1969 | |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 |
1980 1981 1982 요네 타로 | 1983 1984 롱 타이쇼 | 1985 미하마 샤크 | 1986 1987 류코 킹 | 1988 1989 | |
1990 유유 선보이 | 1991 야마닌 로드 | 1992 1993 1994 1995 호슈 살룬| 1996 | |
더트 그레이드제 도입, 통일 GII(현 JpnII) 지정 후 | |
1997 1998 1999 | |
2000 2001 | |
통일 GI(현 JpnI) 승격 후 | |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 |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버케이션 | |
2020 2021 2022 2023 2024 |
4. 기타
- 2017년에 켄터키 더비 출주마 선정을 위한 포인트가 부여되는 시리즈인 JAPAN ROAD TO THE KENTUCKY DERBY로 지정되었다.[3] 그로 인해 이 해부터 부제에 'めざせ!ケンタッキー'(노려라! 켄터키)가 붙게 되었다.
- 2005년 전일본 2세 우준은 일본 4대 망신 팡파레(日本4大糞ファンファーレ)라고 불리는 최악의 팡파레로 유명한 경기 중 하나로 손꼽힌다.[4][5] 그 중에서도 사천황 최강으로 꼽히는 팡파레로, 그나마 들을 만한 수준에서 우스운 삑사리만 나는 나머지 셋과 다르게 시작부터 굉음을 들려주며, 말미에는 음향기기를 뚫고 나올 정도의 글리치음이 들린다. 아마 날씨가 추워서로 추정되지만, 도저히 기악의 영역으로 볼 수 없는 강렬한 소리가 인상적이다. 예년의 전일본 2세 우준 팡파레 / 문제의 그것
[1] 현재의 마령 표기법으로는 2세를 뜻한다.[2] 2세 더트마 중상경주는 JRA에는 아예 없고, 지방경마 중에서 전일본 2세 우준만이 최고등급인 Jpn1 등급이다.[3] 카틀레아 스테이크스(도쿄 경마장 더트 1600m, 오픈), 히아신스 스테이크스(도쿄 경마장 더트 1600m, 리스티드), 복룡 스테이크스(나카야마 경마장 더트 1800m, 오픈)[4] 이외 일본 4대 망신 팡파레에는 96년 타카마츠노미야 배, 97년 아리마 기념, 2005년 삿포로 기념의 팡파레가 들어간다.[5] 참고로 97년 아리마 기념의 경우는 당시 팡파레를 과도하게 편곡한 결과가 괴성이 되어버린 케이스라서 조금 다르다. 과도한 편곡 결과 원작 레이프 수준의 평가를 받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