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28 18:15:56

진짜 사나이

진짜사나이에서 넘어옴
1. 대한민국 국군군가
1.1. 가사1.2. 여담
2. 예능
2.1. MBC일밤전 코너2.2. 진짜 사나이 시즌 32.3. 무한도전의 특집
3. 1990년대 초중반에 아이큐 점프에 연재되었던 박산하의 만화4. 권해효 주연의 1996년작 영화5. KBS 1TV의 전 방송6. SBS TV의 전 방송

1. 대한민국 국군군가

진짜 사나이
유호 작사 이흥렬 작곡의 군가로 1962년에 발표되었다.

떼창에 최적화되어 있고, 1절의 임팩트가 강렬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군가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 군가다. 군대를 소재로 한 TV 프로그램에서 자주 BGM으로 등장하는 곡이기에 대부분의 국민들이 알고 있다. 물론 대개는 첫 소절 부분의 '사나이로 태어나서~' 정도만 기억하고 있고 가사를 다 아는 건 현역이나 예비역뿐이다. 아무래도 나온 지 오래된 군가다 보니[1] 오히려 가사 짧아 외우기 쉬운 전우 같은 노래들이 더 많이 불린다. 물론 아예 안 부르는 것은 아니다. 2018년에도 육군도 아닌 공군기본군사훈련단에서 불렀을 정도니 말이다.[2]

2000년대까진 육군훈련소 입소식 때 장정들이 이 노래를 부르는 일이 많았는데, 대부분 첫 소절은 제대로 부르다가 이후 부분의 가사를 몰라 얼버무리면서 부르는 광경을 볼 수 있었다. [3] 2012년부터는 (논산 기준으로) 이 노래는 훈련병 수첩에"만" 적혀 있고 군가교육 시간에 전혀 가르치지 않으며, 그 쪽 교관들이 말하는 '8대군가'에도 진짜 사나이는 없다.


작곡자인 이흥렬이 친일 행위를 했던 것으로 친일인명사전에 이름이 올라 해당 곡 및 35개의 군가들에 대해 논란이 있다. 출처 10대 군가라 불릴 만큼 자주 사용되는 군가이고 곡 자체의 의미는 군가로 문제가 없겠지만, 어쩌다 그 작곡가의 곡이 사용되었는지는 생각해 볼 일이다. 독립한 지 얼마 안 된 시점에서 남북분단과 반공주의로 인해 일본에 충성 바치던 민족반역자가 애국자로 변신해 군가를 만들게 된 것이 민족의 비극일 따름이다. 다만 친일인명사전 자체도 문제가 많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1.1. 가사

진짜 사나이
1절
사나이로 태어나서 할 일도 많다만
너와 나 나라지키는 영광에 살았다
전투와 전투 속에 맺어진 전우야
산봉우리에 해 뜨고[4] 해가 질 적에
부모형제 나를 믿고[5] 단잠을 이룬다

2절
입으로만 큰소리쳐 사나이라더냐
너와 나 겨레지키는 결심에 살았다
훈련과 훈련 속에 맺어진 전우야
국군 용사의 자랑을 가슴에 안고
내 고향에 돌아갈 땐 농군의 용사다

3절
겉으로만 잘난 체 해 사나이라더냐
너와 나 진짜 사나이 명예에 살았다
멋있는 군복 입고 휴가간 전우야
새로운 나라 세우는 형제들에게
새로워진 우리 생활 알리고 오리라
마지막
진~짜~사~나~이~
전역하고 내 고향에 돌아가서는 농군의 용사다라는 가사가 있는 2절과 새로운 나라를 세우는 형제들 운운하는 3절을 들으면 이제 막 군사정권이 들어서던 농업국가 시기에 작곡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영상 속 가사에서는 "해가 뜨고"로 나오고 있으나 사실 "해~뜨고"가 맞다. 잘 들어보면 '해가 뜨고'가 아니라 '해 뜨고'라고 부른다. 한국음원저작권협회에 등록된 1973 건전가요 모음집에 유호 작사, 이흥렬 작곡의 진짜사나이 악보를 보면 분명 해~뜨고 로 나와있다. 99.99% 가 틀리게 알고 있고 부르는 것이다.

1.2. 여담

  • 2002년부터 어떤 노래를 제품광고 내용으로 개사해서 CF 배경음악으로 쓰기로 유명한 하이마트에서 2010년판 에어컨 CF에 이 노래를 개사해서 썼다.[6]
  • 믿기지 않겠지만 2013년 발매된 에로게 "러브 오브 연애황제 of LOVE!"에서도 BGM으로 나온다1:55. 작중 공통루트중에 주인공이 PC를 사용하면서 메일 확인을 하는 내용이 나오는데, '코리안부' 가입 권유 장면도 있는거 보면 제작팀이 약간 친한파 성향이 있을지도 모른다.[7]
  • 검정고무신에선 진짜 병아리라고 패러디되어 나온 적이 있다. 기영이네 앞마당에서 병아리들이 병아리로~ 태어나서~하며 노래를 부른다. 상술했듯 이 노래는 1962년에 작곡되었기 때문에, 60년대를 배경으로 하는 검정고무신에서 등장하는 것은 고증에도 문제가 없다.
  • 열네살 영심이에서 걸스카우트 에피소드에서 아침 기상 훈련으로 나온적이 있다. 다만 애니메이션에서 '하나면 하나지 둘이겠느냐'로 나온다.
  • 사나이라는 표현이 여군이 늘어나고 있는 현실과 맞지않다고 하여 사람으로 개칭을 검토하고 있는데 진짜 사람 그러지 않아도 세월의 흐름으로 부르는 빈도가 낮아지는 지라 굳이 그렇게까지 할지는 미지수.
  • 유희열의 스케치북에선 2013년 연말 특집편의 엔딩곡으로 이 곡을 부른 적이 있다. 참고로 녹화 날짜가 크리스마스였고 솔로 남성들만으로 방청석을 가득 채운 상태에서...
  • 날아라 슈퍼보드에서 노래방 요괴도 훔치리가 너도 공격하라고 하자 그런 노래를 부르라는 뜻인 줄 알고 곡명이 저장 안 되어 있다면서 비슷한 군가로 뽑는다고 하자 이 곡을 사오마을 일행들 앞에서 불렀고, 그 결과 사오마을의 명 가수가 되는 계기가 된다.
  • 흔한남매에서 첫 소절인 "사나이로 태어나서 할 일도 많다만"이 "학생으로 태어나서 할 공부도 많다만"으로 페러디되었다.#
  • 이 노래를 널리 알린 사람이 바로 가수 "조용필"이다. 예전 LP는 건전가요가 필수로 들어가야 했는데 조용필의 앨범 7, 8, 9집에 모두 '진짜 사나이'가 수록되어 있었기 때문이다.[8]
  • 주한미군 육군 중장 앤드류 J. 주크넬리스가 나라사랑 음악회 한미 합동 군악대에서 무대로 나와 자신의 아코디언을 불며 불렀던적이 있다, #

2. 예능

2.1. MBC일밤전 코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진짜 사나이 시즌 3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진짜 사나이 300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무한도전의 특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한도전 진짜 사나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1990년대 초중반에 아이큐 점프에 연재되었던 박산하의 만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진짜 사나이(만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권해효 주연의 1996년작 영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진짜 사나이(영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KBS 1TV의 전 방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병영체험 진짜사나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SBS TV의 전 방송

1997년 8월 15일에 여름특집으로 탄생 진짜사나이라는 이름으로 방송되었었다. 당시 진행자는 강 석, 조민희, 배혜진
  • 경기종목
    • 필승 기마전
    • 전투수영
    • 돌격 앞으로
    • 지상침투
    • 해상침투
    • 무적 철인경기

경기 중간에 쉬어가는 코너는 허준호, 박준규의 해병대 체험과 해병대원 이렇게 만들어진다가 있었다.

경북 포항 해병대 제1사단에서 촬영했었다.


[1] 당장 가사의 2절과 3절을 보자. '농군의 용사'라던가, '새로워진 우리 생활' 등 산업화와 도시화가 이미 진전되어 선진국에 진입한 오늘날 대한민국의 현실과는 맞지 않는 가사들이 나온다.[2] 수료식 때 이 노래를 부르면서 입장한다.[3] 당시 입영하는 현역병들은 이후 가사를 몰라 못 부르지만 뒤에서 아버지들이나 예비역 친구들이 따라 불러주는 일도 심심찮게 보인다.[4] 많은 사람들이 '해가 뜨고'라고 잘못 부르고 있다. 심지어 육군본부 공식 군가파일에서조차 '해가 뜨고' 라고 부르고 있다. 아마도 2절과 3절의 음절에 맞춰 '가'를 뺀 것 같은데, 뒤의 구절이나 다음 줄 구절을 보면 '해가' 쪽이 더 어울려 보이기도.[5] 우릴 믿고라고 적힌 군가수첩도 있다. 따라서 자대마다 다르다고 할 수 있다.[6] LG냉장고 광고에도 사용된 바 있다.[7] 군대라고 하기엔 성격이 좀 애매한 자위대만 보고 사는 일본이라 징병제 국가 한국의 군대에 호기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왕왕 있다. 일본 밀덕 중에서는 한국군 코스프레를 하는 밀덕도 몇 있다. 고리. 가끔은 북한군 코스프레도 섞이기도 한다.[8] 게다가 세 앨범 모두 조용필 자신이 불러 수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