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09:52:07

BEMANI MASTER KOREA SOUND VOLTEX SEASON 2

BMK SDVX S2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400><tablebordercolor=black><tablebgcolor=black> 파일:BMK_logo.pngBEMANI MASTER KOREA
역대 대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BMK_2013_logo.png 파일:BMK_2015_logo.png 파일:BMK_2017_logo.png
BMK 2017
파일:BMK_2019_logo.png 파일:BMK_SS_logo.png 파일:bmk_2021_logo.png
BMK 2019 BMK S.S. (2021년) BMK 2021
(결선)
파일:BMKSDVX_logo.png
BMK SDVX (2023년) BMK SDVX S2 (2024년)
}}}}}}}}} ||

1. 개요2. 일정3. 규칙
3.1. 예선전3.2. 결승전
4. 경기 진행
4.1. 참가팀4.2. 예선전4.3. 결승전4.4. 최종 결과4.5. 총평
5. 여담

1. 개요

2024년 4월~5월 개최 예정인 BEMANI MASTER KOREA의 대회.

2. 일정

3. 규칙

큰 틀은 BEMANI PRO LEAGUE SEASON 3사운드 볼텍스 부문이랑 같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다.

3.1. 예선전

* 한 경기는 선봉전, 중견전, 대장전으로 구성된다.
세트 경기 방식 획득 pt
선봉전 1대1 메가믹스 배틀 1pt
중견전 2대2 태그 배틀 곡당 2pt씩
대장전 1대1 싱글 배틀 곡당 3pt씩
* 선봉전은 1대1 메가믹스 배틀로 이루어진다.
* 양 팀의 선수가 지정 과제곡 리스트 중에서 5곡씩 선곡하여 총 10곡, 그 중 2곡의 인트로와 아웃트로를 포함하여 총 12턴으로 승패를 겨룬다.
* 양팀의 곡이 하나씩 번갈아 나오며, 순서는 랜덤으로 결정된다.
* 승리한 쪽이 포인트를 획득한다.
* 중견전은 2대2 태그 배틀로 이루어진다.
* 양 팀이 1곡씩 선곡하여 총 2곡을 플레이한다.
* 곡마다 팀의 EX 스코어 합계가 더 높은 쪽이 포인트를 획득한다.
* 대장전은 1대1 싱글 배틀로 이루어진다.
* 양 팀이 1곡씩 선곡하여 총 2곡을 플레이한다.
* 곡마다 EX 스코어가 더 높은 쪽이 포인트를 획득한다.
* 모든 세트에는 선곡 레벨이, 여기에 선봉전에는 과제곡 구분, 중견전과 대장전에는 테마가 추가 지정되며, 그 지정 내에서 선곡해야 한다.
* 레벨 제한
세트 레벨
선봉전 17~18
중견전 17[4강_이하],18[4강]
대장전 18[4강_이하],19[4강]
* 과제곡 구분[5]
* 구분 A: 초대작(BOOTH)부터 III GRAVITY WARS까지 추가된 패턴[+코나스테]
* 구분 B: IV HEAVENLY HAVEN에서 추가된 패턴
* 구분 C: VIVID WAVE부터 EXCEED GEAR까지 추가된 패턴
* 테마
* NOTES: 곡의 길이 대비 총 노트 수가 많은 패턴
* PEAK: 노트의 순간 밀도가 높은 패턴
* TSUMAMI: 곡의 길이에 비례해 노브를 조작하는 시간의 비율이 많은 패턴
* ONE-HAND: 한손 조작 중에 내려오는 노트가 많은 패턴
* HAND-TRIP: 한손 조작 중에 반대쪽에서 내려오는 노트가 많은 패턴
* TRICKY: 속도 변화, 시점 변화, 화면 회전, 세로 연타 등이 어려운 패턴
* 테마별 과제곡이 공개되었다.
* 대회 중 메가믹스 배틀에서 한 번 선택한 패턴은 이후 메가믹스 배틀에서 재선곡할 수 없으며, 태그 배틀 및 싱글 배틀에서 한 번 선택한 패턴 역시 마찬가지로 이후 태그 배틀 및 싱글 배틀에서 재선곡할 수 없다.
* 모든 선수가 경기에 참여해야 한다.
* 선수마다 80의 코스트가 주어지며, 선봉전에 출전시 10, 중견전에 출전시 20[7], 대장전에 출전시 50을 소모한다.
* 팀마다 스트래티지 카드가 부여된다.
* 본 대회에서는 대회 전체에서 1팀 당 1장의 스트래티지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예선/결승 전체)
* 사용시 상대의 선곡을 주최측이 추첨한 과제곡으로 변경한다.
* 양 팀 모두 스트래티지 카드를 썼다면 효과가 상쇄되어 본래의 선곡 그대로 진행된다.
* 스트래티지 카드는 팀마다 2장씩만 주어진다.
* 메가믹스 배틀에서는 스트래티지 카드를 쓸 수 없다.
* 한 경기당 스트래티지 카드를 1장씩만 쓸 수 있다.
* 스트래티지 카드로 무효된 선곡은 다음 경기에서 선곡할 수 있다.

3.2. 결승전

* 한 경기는 선봉전, 차봉전, 중견전, 부장전, 대장전으로 구성된다.
세트 경기 방식 획득 포인트
선봉전 1대1 메가믹스 배틀 1pt
차봉전 2대2 태그 배틀 곡당 1pt
중견전 1대1 메가믹스 배틀 2pt
부장전 2대2 태그 배틀 곡당 2pt
대장전 1대1 싱글 배틀 곡당 2pt씩
* 선봉전과 중견전은 1대1 메가믹스 배틀로 이루어진다.
* 양 팀의 선수가 지정 과제곡 리스트 중에서 5곡씩 선곡하여 총 10곡, 그 중 2곡의 인트로와 아웃트로를 포함하여 총 12턴으로 승패를 겨룬다.
* 양팀의 곡이 하나씩 번갈아 나오며, 순서는 랜덤으로 결정된다.
* 승리한 쪽이 포인트를 획득한다.
* 부장전과 차봉전은 2대2 태그 배틀로 이루어진다.
* 양 팀이 1곡씩 선곡하여 총 2곡을 플레이한다.
* 곡마다 팀의 EX 스코어 합계가 더 높은 쪽이 포인트를 획득한다.
* 대장전은 1대1 싱글 배틀로 이루어진다.
* 양 팀이 1곡씩 선곡하고, 여기에 주최측 지정 과제곡 1곡으로 총 3곡으로 대결한다.
* 곡마다 EX 스코어가 더 높은 쪽이 포인트를 획득한다.
* 모든 세트에는 선곡 레벨이, 여기에 선봉전과 중견전에는 과제곡 구분, 나머지 세트들은 테마가 추가 지정되며, 그 지정 내에서 선곡해야 한다.
* 레벨 제한
세트 레벨 제한
선봉전 18
차봉전 18
중견전 19
부장전 19
대장전 19~20
* 과제곡 구분[8]
* 구분 A: 초대작(BOOTH)부터 III GRAVITY WARS까지 추가된 패턴[+코나스테]
* 구분 B: IV HEAVENLY HAVEN에서 추가된 패턴
* 구분 C: VIVID WAVE부터 EXCEED GEAR까지 추가된 패턴
* 테마
* NOTES: 곡의 길이 대비 총 노트 수가 많은 패턴
* PEAK: 노트의 순간 밀도가 높은 패턴
* TSUMAMI: 곡의 길이 대비 노브 조작 시간의 비율이 높은 패턴
* ONE-HAND: 한손 조작 중에 등장하는 노트가 많은 패턴
* HAND-TRIP: 한손 조작 중에 반대쪽에서 등장하는 노트가 많은 패턴
* TRICKY: 변속, 시점 변환, 화면 회전, 세로 연타의 난이도가 높은 패턴
* 예선 중 메가믹스 배틀에서 한 번 선택한 패턴은 이후 메가믹스 배틀에서 재선곡할 수 없으며, 태그 배틀 및 싱글 배틀에서 한 번 선택한 패턴 역시 마찬가지로 이후 태그 배틀 및 싱글 배틀에서 재선곡할 수 없다.
* 한 경기에는 팀의 모든 플레이어가 반드시 두 세트 이상 출전해야 한다.
* 경기마다 70의 코스트가 주어지며, 출전 코스트는 선봉전과 차봉전은 10, 중견전과 부장전은 20, 대장전은 60이다. [10]
* 팀마다 스트래티지 카드가 부여된다.
* 사용시 상대의 선곡을 랜덤 선곡으로 변경한다.
* 양 팀 모두 스트래티지 카드를 썼다면 효과가 상쇄되어 본래의 선곡 그대로 진행된다.
* 스트래티지 카드는 각 팀에게 1장씩이 부여된다.
* 메가믹스 배틀에서는 스트래티지 카드를 쓸 수 없다.
* 스트래티지 카드로 무효된 선곡은 다음 경기에서 선곡할 수 있다.
* 본 대회에서는 대회 전체에서 1팀 당 1장의 스트래티지 카드를 사용할 수 있었다만, 양 팀 모두 예선전에서 스트래티지 카드를 사용하여 결승에서는 스트래티지 카드를 사용하지 않는다.
* pt 합산를 비교하여 승패를 가린다.

4. 경기 진행

4.1. 참가팀

<rowcolor=#d9d8d8> BEMANI MASTER KOREA SOUND VOLTEX SEASON 2 참가팀
팀명/오락실 선수1 선수2 선수3 캐치프라이즈
SAMBO
삼보게임랜드
MINI Jakads .B 산책갔더니 우승~[11]
범계겜천
게임헤븐
LULLABY ZNARU HIBI -
충장로 길거리 서커스단
광주 게임플라자
F. RAZ DI.OTAKU N42KA 라이라이 차차차!
비트팟
뽀끼뽀끼오락실
MUSCARI KESSOKU WALNUT!? 성공기원 발전기원 성공과행복을위하여
이기면 골든벨
싸이뮤직 게임월드
F.X-X #.YT F.MERU 지면 골때리는거죠
STR팬클럽
한성대 우리게임장2
INF #.MGMT #.RNA 이세계의 판정 깎는 노인들 여기에 모이다
아따끄
부천 어택
DDX Resist7 GIENY 최선의 공격은 최선의 공격
비트연구소
비트연구소
S.G.H PLUMP!!! AKAROB* "디펜딩 챔피언"
기도메타
화정 게임랜드
RAY KUMO* AOBA 되겠냐?

BEMANI MASTER KOREA 2021의 GAMECENTER TEAM BATTLE처럼 오락실별 팀명과 캐치프라이즈가 추가되었다.

4.2. 예선전

4.3. 결승전

파일:BMK_logo.png BEMANI MASTER KOREA SOUND VOLTEX SEASON 2 결승전
파일:우리게임장로고.png 파일:삼보게임랜드로고.png
STR팬클럽
우리게임장2
SAMBO
삼보게임랜드

4.4. 최종 결과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500><tablebordercolor=#000000> 파일:BMK_logo.pngBEMANI MASTER KOREA
SOUND VOLTEX SEASON 2
우승 팀
}}} ||
파일:bmksdvxs2우승팀.png
SAMBO
MINI | .B | JAKADS

4.5. 총평

안의찬 : 24대 22는 프로리그에서도 잘 안 나오는 점수[12]에요! 진짜 지금 상대의 선곡을 완벽하게 방어를 해냈고 그리고 본인들의 선곡에서 완벽하게 점수를 얻어냈을 때만 나온 점수거든요?
- 3세트 중견전 종료 후
안의찬 : 저는 사실은 태그 배틀은 1인 캐리보다는, 실수를 안 하는 팀이 이길 거라 생각했는데, 이게 1인 캐리가 되네요.
- 4세트 부장전이 모두 끝나고 난 후.
당연하게도 이변은 없었다.[13] MINI, Jakads의 원투펀치를 앞세워서 말 그대로 상대를 압도했다. 캐치프레이즈의 ‘산책 나갔더니 우승’이라는 말이 전혀 허언이 아니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꽉찬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미니는 체급을 앞세운 압도적인 플레이를 보여주며 팀의 승리를 완벽하게 견인했다. 심지어 출전한 세트 중 헥사슬론 단 한 곡을 제외하고 1에러도 내지 않았고[14] 한술 더 떠 iLLness LiLin은 아예 PUC를 박아버리며 2022년 대회에 이어 또다시 대회 20 퍼얼의 신화를 썼다.

삼보팀의 듀얼코어 중 하나인 Jakads는 중견전에서 예상치 못한 일격을 당했으나[15], 이건 그냥 해프닝이라고 여겼는지 이어지는 부장전에서 두 곡 다 세부 판정을 잘 방어하면서 PUC까지 박아버리는 엄청난 차력쇼를 보여주었다. 특히 4세트의 자선곡에서는 상대방과 무려 10배[16]나 차이가 날 정도로 주특기인 폭타, 고물량에서의 압도적인 체급을 다시 한번 뽐내는 압도적인 경기력이었다.

점비는 선봉전에서 승리를 거두는 것을 시작으로 두 차례의 태그배틀에서 준수한 경기력을 펼쳤다. 첫 대회 출전이라고는 믿기 어려울 정도의 안정성을 보여주며 팀의 탄탄한 전력에 전혀 누수가 없다는 것을 증명했다. 특히 MGMT와의 선봉전에서 상대의 익시드 기어를 완봉하는 퍼포먼스가 압권.

STR 팬클럽은 상대의 인외마경급 전력에 패배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족하지 않은 경기력과 펀치력을 보여줬다. 전략적 선곡으로 상대를 흔들거나, 특히 중견전 INF와 자카드의 접전과 마지막 대역전극은 최고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5. 여담

  • 대회 전후로 SAMBO 팀의 팀 구성에 대한 불평이 시청자들 사이에서 종종 나오곤 했다. 팀 구성원인 MINIJakads사운드 볼텍스 투톱이라는 평가가 나올만큼 워낙 다른 참가자들과도 기량 차이가 넘사벽인데다, 나머지 한명인 .B(점비)조차 대회 시작 당시에도 볼포스 22.3을 앞둔 에이스급 전력이었기 때문. [17]
  • 다만 팀 구성을 막을만한 명분도 부족했는데, Jakads는 해당 대회를 우승하기 전까지 코나미-유니아나 공식 대회 우승 이력이 전무[18]했으며, 점비는 한술 더 떠서 공식 대회 참전이 BMK SDVX S2가 처음이었다.


[4강_이하] [4강] [4강_이하] [4강] [5] 번외 패턴의 경우 곡 자체가 아니라 패턴이 추가된 버전을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Joyeuse VVD의 경우 곡 자체는 2볼에서 추가되었으나 VVD 패턴은 5볼에서 추가되었으므로 구분 A가 아닌 구분 C에 들어간다.[+코나스테] 코나스테 선행곡처럼 사볼3에서 추가된 패턴이 아니지만 난이도가 GRV로 표기되어 있는 패턴은 이 구분에 포함된다.[7] 중견전은 두 선수 모두 20씩 소모한다.[8] 번외 패턴의 경우 곡 자체가 아니라 패턴이 추가된 버전을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Joyeuse VVD의 경우 곡 자체는 2볼에서 추가되었으나 VVD 패턴은 5볼에서 추가되었으므로 구분 A가 아닌 구분 C에 들어간다.[+코나스테] 코나스테 선행곡처럼 사볼3에서 추가된 패턴이 아니지만 난이도가 GRV로 표기되어 있는 패턴은 이 구분에 포함된다.[10] 차봉전과 부장전은 출전하는 두 선수 모두 표기된 코스트만큼 지불한다.[11] 산책이 일본어로 산포(さんぽ)로 읽는다는 것에서 따온 언어유희라고 한다. 사장이 제안했다고...[12] 프로리그 통틀어서 24 : 22 스코어로 끝난 경기가 시즌 2 8경기 토호쿠 VS 라원밖에 없다. 게다가 8경기 메가믹스 흐름을 보면 11라운드에서 지고 있다가 마지막 라운드에서 익시드 2레벨 키고 역전 한 것까지 똑같은 전개로 흘러갔다.[13] 특히 대장전 과제곡이 삼보팀 전원 PUC를 달성한 곡이었고, 심지어 3지명 포지션이었던 .B는 이 보면을 아예 세계 최초 PUC를 달성한 유저였기에 사실상 대장전에 누가 들어가도 그 이상의 퍼포먼스를 뽑을 수 있었기에 체급의 차이가 많이 날 수밖에 없던 결승전 경기였다.[14] 사실 이마저도 채보 자체의 오류에 가까운 노브 배치로 인한 것이다. 미니 스스로도 신에게 빌어야 넘어간다고 할 정도.[15] 유일한 패배의 경우의 수가 A Lasting Promise의 최후반 트릴이 마지막에 배치되는 것이었는데, 하필 INF의 아웃트로 선곡이 어라프였다.[16] STR팬클럽은 두 선수 다 MAX-200대 정도 났는데 자카드는 무려 MAX-23를 박아버렸다. .B의 MAX-90이랑 비교해도 약 4배 정도 보여주는 걸 봐서 자카드의 차력쇼가 얼마나 경이로운지 알 수 있는 부분.[17] 게다가 결승전 종료 시점에선 볼포스를 더욱 빠르게 올려 22.340까지 올라있었다.[18] 비공식 대회까지 넓여도 사볼대회에서 우승이 없었다. 근데 대부분 미니가 거의 다 쓸어먹긴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