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배구 연맹 주관 대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성인 | |||
올림픽 (남자부 / 여자부) | 세계 선수권 (남자부 / 여자부) | |||
VNL (남자부 / 여자부) | 챌린저컵 (남자부 / 여자부) | |||
연령별 | ||||
청소년 세계선수권 (남자부 - U-21, U-19 / 여자부 - U-20, U-18) | ||||
클럽 | ||||
클럽 세계 선수권 대회 (남자부 / 여자부)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00%;" {{{#fff {{{#!folding [ 폐지 대회 ] | 월드리그 (남자부) | 월드그랑프리 (여자부) | |
월드컵 (남자부 / 여자부) | 그랜드챔피언스컵 (남자부 / 여자부) |
<colbgcolor=#0d4195><colcolor=#ffffff> FIVB 발리볼네이션스리그 FIVB VOLLEYBALL NATIONS LEAGUE | |
<nopad> | |
정식 명칭 | FIVB 발리볼네이션스리그 (FIVB Volleyball Nations League) |
창설 | 2018년 |
참가 자격 | FIVB 회원국 |
참가국 수 | 16개국 |
최근 우승국 | 남자부:
(2024)여자부:
(2024) |
최다 우승국 | 남자부:
(2회)여자부:
(3회) |
대한민국 중계 | 쿠팡플레이 |
주제곡 | NERVO - Worlds Collide |
FIVB Volleyball Nations League |
1. 개요
2018년에 FIVB에서 기존의 연례 국제 배구 대회인 남자부 월드리그와 여자부 월드 그랑프리[1]를 개편해 새롭게 창설한 국가대항 배구 리그.2. 참가 자격
남자부, 여자부 모두 16개국이 출전한다. 2018년 대회 창설 당시 FIVB 랭킹과 각 나라의 리그의 흥행을 고려하여 상위 12개의 코어 국가와 매년 바뀌는 차상위 4개의 챌린저 국가를 참가국으로 지정했다. 코어 국가 목록은 아래와 같다.남자부(12개국→10개국): 미국, 브라질,
여자부(12개국→11개국): 미국, 브라질, 중국, 세르비아, 독일, 터키, 이탈리아, 일본, 네덜란드,
코어 국가 12국은 리그 창설 기준으로 7년, 즉 2024년까지는 매년 리그에서 꼴찌를 기록해도 챌린저컵으로 강등되지 않는다. 반면에 챌린저 국가 4팀은 대회에서 꼴찌를 기록하면 다음해에 챌린저 컵으로 강등당한다. 챌린저 국가 중에 한 팀이 강등당해서 자리가 빈다면 전년도 챌린저컵 우승팀이 그 자리를 대체한다. 만일 최하위가 챌린저 국가가 아니라 코어 국가라면 자리가 비지 않으므로 전년도 챌린저컵 우승팀의 리그 참가는 차후로 미뤄진다.
3. 대회 규칙
3.1. 예선
- 5주에 걸쳐 진행되며, 매주 4개국씩 4개의 조로 나누어 조별로 리그전을 치른다. 한 조의 모든 경기는 같은 도시에서 열리므로 5주간 총 20개의 도시에서 경기를 가진다.
- 2021년에는 코로나19의 여파로 도시 간 이동 없이 이탈리아 리미니에서 남자부와 여자부의 모든 경기가 진행되었다.
- 2022년부터는 3주에 걸쳐 매주 8개국씩 2개의 조로 나누어 리그를 치르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따라서 총 6개의 도시에서 경기가 열리게 된다. 이전과 바뀐 점은 이제 어떤 조에서도 만나지 않는 팀과, 여러 번 만나는 팀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2022 시즌 여자부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은 벨기에와는 단 한 번도 같은 조에 속하지 않는다.
3.2. 토너먼트
- 토너먼트 경기 개최국과 리그전 결과 상위 5팀을 뽑아 6강전을 치른다. 3개국씩 2개의 조로 나누어 리그전을 치른 뒤 각 조에서 2팀이 진출하여 4팀을 뽑고, 4팀끼리는 크로스로 맞붙어 준결승, 3, 4위전, 결승전을 치른다.
- 2021년에는 리그전에서 상위 4팀만을 뽑아 토너먼트 형식의 4강전을 치렀다.
- 2022년 부터는 리그전에서 상위 8팀만을 뽑아 8강부터 토너먼트를 치른다.
4. 대회 분류
4.1. 남자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IVB 남자 발리볼네이션스리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IVB 남자 발리볼네이션스리그#|]][[FIVB 남자 발리볼네이션스리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2. 여자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IVB 여자 발리볼네이션스리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IVB 여자 발리볼네이션스리그#|]][[FIVB 여자 발리볼네이션스리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사실상 월드그랜드챔피언스컵과 월드컵까지 전부 합축해서 개편되었다고 볼 수 있다.[2] 2021년 참가를 포기하여 네덜란드에 출전권이 넘어갔다. 다만 네덜란드는 코어 국가가 아니라 챌린저 국가로 출전한다.[3]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퇴출되어 중국에 출전권이 넘어갔다. 다만 중국은 코어 국가 지위를 회복한 것이 아니라 챌린저 국가로 출전한다.[4]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퇴출되어 불가리아에 출전권이 넘어갔다. 다만 불가리아는 코어 국가가 아니라 챌린저 국가로 출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