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81F29><tablebgcolor=#181F29> | Dota 2 The International 역대 대회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 <rowcolor=#9B948F>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
TI | TI 2 | TI 3 | TI 4 | TI 5 | |||
<rowcolor=#9B948F>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
TI 6 | TI 7 | TI 8 | TI 9 | TI 10 | |||
<rowcolor=#9B948F>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TI 11 | TI 12 | TI 13 | TI 14 |
역대 The International 시리즈 | ||||
2021 The International 10 $40,018,195 | → | 2022 The International 2022 $18,922,864 | → | 2023 The International 2023 |
|
The International 2022 우승팀 | ||||
Team Spirit | → | Tundra Esports | → | Team Spirit |
<colbgcolor=#ec1413><colcolor=#fff> The International 2022 | |
주최 / 주관 | |
버전 | 7.32c |
지역 예선 | 2022년 9월 3일 ~ 9월 17일 |
최종 예선 | 2022년 10월 8일 ~ 10월 12일 |
조별 대전 | 2022년 10월 15일 ~ 10월 18일 |
본선 | 2022년 10월 20일 ~ 10월 23일 |
결선 | 2022년 10월 29일 ~ 10월 30일 |
개최지 |
싱가포르 |
경기장 | Online(그룹스테이지) 선텍 싱가포르 컨벤션 센터(플레이오프) 싱가포르 실내 체육관(결승) |
참가팀 | 20개팀 |
총 상금 | $18,930,775 |
우승 상금 | $8,518,822[1] |
우승팀 | Tundra Esports |
링크 | |
1. 개요
도타 2 The International의 11번째 대회로, 처음으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개최가 확정되었다. 이번 시즌부터 지역 예선에서 2,3위 팀은 최종 예선에 진출하여 2팀이 추가로 TI에 진출하게 되도록 변경되어 처음으로 그룹 스테이지에 20개 팀이 진출하게 되었다.이번 대회에서 경기장은 하나를 쓰지 않고 조별 리그와 플레이오프를 싱가포르 다운타운인 마리나 센터에 위치한 선텍 싱가포르 컨벤션 센터에서 진행한 뒤 싱가포르 칼랑으로 이동하여 싱가포르 실내 체육관에서 결승전을 진행한다.
기본 대회 상금은 160만 달러이며, 판매된 전투 패스 수익의 25%가 총 상금에 추가된다. 실시간 상금 추적 사이트
2. 참가팀
초청팀 | |||||||||||
| |||||||||||
| | | | ||||||||
PSG.LGD | OG | Team Spirit | beastcoast | ||||||||
| | | | ||||||||
Team Aster | Thunder Awaken | BOOM Esports | TSM | ||||||||
| | | | ||||||||
Tundra Esports | Gaimin Gladiators | Evil Geniuses | Fnatic |
예선 통과팀 | |||||||||||
북미 예선 | 남미 예선 | 서유럽 예선 | 동유럽 예선 | ||||||||
| | | | ||||||||
Soniqs | Hokori | Entity | BetBoom Team | ||||||||
중국 예선 | 동남아시아 예선 | LCQ 진출팀 | |||||||||
| | | | ||||||||
Royal Never Give Up | Talon Esports | Team Secret | Team Liquid |
3. 대회 진행
3.1. 진행 방식
- 그룹 스테이지
- 20개 팀이 10팀씩 2개 조로 나뉘어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진행한다. 모든 경기는 bo2로 진행된다.
- 승리 (2-0) 를 하면 2점을 얻는다.
- 무승부 (1-1) 를 하면 1점을 얻는다.
- 패배 (0-2) 를 하면 0점을 얻는다.
- 각 조의 상위 4팀은 메인 이벤트의 승자조(Upper bracket), 하위 4팀은 패자조(Lower bracket)로 진출하며 최하위 팀은 탈락한다. 승점이 같은 팀들이 있을 경우에는 아래의 2가지 방식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 1. 승자조와 패자조, 또는 패자조와 탈락 팀을 구분해야 하는 경우에는 타이브레이커 경기를 진행한다.[2]
- 2. 승자조/패자조 진출팀 간 동점인 팀이 있을 경우:
- ① 동점인 팀들 간 상대전적을 비교해 승자승의 원칙을 적용한다.
- ② 동점인 팀들과 동점인 팀 밑 순위의 팀들과의 상대전적을 비교해 승자승의 원칙을 적용한다.[3]
- ③ 코인 토스를 진행한다.
- 플레이오프
- 각 조의 1~4위 팀들은 승자조에서, 각 조의 5~8위 팀들은 패자조에서 시작.
- 승자조 1라운드: 각 조의 1위 팀은 다른 조의 3,4위 팀 중 하나를 상대팀으로 지명한다.
- 패자조 1라운드: 각 조의 5위 팀은 다른 조의 7,8위 팀 중 하나를 상대팀으로 지명한다.
- 패자조 1라운드는 bo1으로 최종 결승(그랜드 파이널)은 bo5로 진행. 나머지 경기는 bo3로 진행된다.
3.2. 그룹 스테이지
3.2.1. A조
<rowcolor=#fff> 순위 | 팀 | 전적 |
1 | 14승 4패 | |
2 | 13승 5패 | |
3 | 12승 6패 | |
4 | 10승 8패 | |
5 | 9승 9패[4] | |
6 | 9승 9패[5] | |
7 | 8승 10패 | |
8 | 5승 13패 | |
9 | 5승 13패 | |
10 | 5승 13패 | |
초록색: 승자조 진출 | 노란색:패자조 진출 | 주황색: 타이브레이커 진출 |
3.2.1.1. A조 타이브레이커
순위 | 팀 | 결과 |
8 | 2승 0패 | |
9 | 0승 1패 | |
10 | >0승 1패 | |
노란색:패자조 진출 | 빨간색: 탈락 |
3.2.2. B조
<rowcolor=#fff> 순위 | 팀 | 전적 |
1 | 14승 4패 | |
2 | 13승 5패 | |
3 | 10승 8패[6] | |
4 | 10승 8패[7] | |
5 | 9승 9패[8] | |
6 | 9승 9패[9] | |
7 | 8승 10패 | |
8 | 6승 12패 | |
9 | 6승 12패 | |
10 | 5승 13패 | |
초록색: 승자조 진출 | 노란색:패자조 진출 | 주황색: 타이브레이커 진출 | 빨간색: 탈락 |
3.2.2.1. B조 타이브레이커
순위 | 팀 | 결과 |
8 | 2승 0패 | |
9 | 0승 2패 | |
노란색:패자조 진출 | 빨간색: 탈락 |
3.3. 플레이오프
| |||||||||
<rowcolor=black> 1라운드 | 2라운드 | 3라운드 | 4라운드 | 5라운드 | 6라운드 | 결승 | |||
상위권 대진표 | {{{#!wiki style="margin: -12px -5px" | Grand Finals (10/30) | |||||||
<colbgcolor=#F5F5F5,#282828> ↘ | | 3 | |||||||
↗ | | 0 | }}}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UR1-1 (10/20) | |||||||
| 0 | ||||||||
| 2 |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UR2-1 (10/22) | ||||
<colbgcolor=#F5F5F5,#282828> ↘ | | 0 | |||||||
↗ | | 2 |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UR3 (10/29) | |||
<colbgcolor=#F5F5F5,#282828> ↘ | | 1 | |||||||
↗ | | 2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UR1-2 (10/20) | ||||||||
| 2 | ||||||||
| 0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UR1-3 (10/21) | ||||||||
| 2 | ||||||||
| 0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UR2-2 (10/22) | |||||
<colbgcolor=#F5F5F5,#282828> ↘ | | 2 | |||||||
↗ | | 0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UR1-4 (10/21) | ||||||||
[[Team Liquid | 0 | ||||||||
| 2 | }}} | |||||||
하위권 대진표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LR1-1 (10/20) | ||||||||
<colbgcolor=#F5F5F5,#282828> | | 0 | |||||||
| 1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LR2-1 (10/21) | |||||
<colbgcolor=#F5F5F5,#282828> UR1-1 [ruby(↘,ruby=패자, color=red)] | | 0 | |||||||
→ | | 2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LR3-1 (10/23) | ||||
<colbgcolor=#F5F5F5,#282828> ↘ | | 1 | |||||||
↗ | | 2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LR4-1 (10/23) | ||||
<colbgcolor=#F5F5F5,#282828> UR2-2 [ruby(↘,ruby=패자, color=red)] | | 2 | |||||||
→ | | 0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LR5 (10/29) | ||||
<colbgcolor=#F5F5F5,#282828> ↘ | | 1 | |||||||
↗ | [[Team Liquid | 2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LR6 (10/30) | ||||
<colbgcolor=#F5F5F5,#282828> UR3 [ruby(↘,ruby=패자, color=red)] | | 2 | |||||||
→ | [[Team Liquid | 1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LR1-2 (10/20) | ||||||||
<colbgcolor=#F5F5F5,#282828> | | 0 | |||||||
| 1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LR2-2 (10/21) | |||||
<colbgcolor=#F5F5F5,#282828> UR1-2 [ruby(↘,ruby=패자, color=red)] | | 2 | |||||||
→ | | 0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LR1-3 (10/20) | ||||||||
<colbgcolor=#F5F5F5,#282828> | | 0 | |||||||
| 1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LR2-3 (10/22) | |||||
<colbgcolor=#F5F5F5,#282828> UR1-3 [ruby(↘,ruby=패자, color=red)] | | 2 | |||||||
→ | | 1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LR3-2 (10/23) | ||||
<colbgcolor=#F5F5F5,#282828> ↘ | | 0 | |||||||
↗ | [[Team Liquid | 2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LR4-2 (10/23) | ||||
<colbgcolor=#F5F5F5,#282828> UR2-1 [ruby(↘,ruby=패자, color=red)] | | 1 | |||||||
→ | [[Team Liquid | 2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LR1-4 (10/20) | ||||||||
<colbgcolor=#F5F5F5,#282828> | | 0 | |||||||
| 1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LR2-4 (10/22) | |||||
<colbgcolor=#F5F5F5,#282828> UR1-4 [ruby(↘,ruby=패자, color=red)] | | 2 | |||||||
→ | | 1 | }}} | ||||||
연두색: 다음 라운드 진출 | 노란색: TI 우승 |
4. 결과
[1] 총 상금의 45%, 전 시즌까지 45.5% 였으나 그룹 스테이지 진출팀이 20개 팀으로 확대됨에 따라 상금이 조금씩 조정 되었다.[2] 두 팀이 동률일 경우에는 bo3로, 세 팀 이상이 동률일 경우에는 bo1 라운드 로빈으로 진행.[3] 예를 들어 2,3위 팀들 간의 승점이 동률이고 상대전적이 1:1 무승부일 경우, 2,3위 팀과 4위 팀 간 상대전적을 비교한다. 이것으로 순위가 가려지지 않을 시 5위 → 6위 → ... 팀과의 상대전적을 비교한다.[4] RNG와의 상대 전적 2-0으로 우위.[5] Hokori와의 상대 전적 0-2로 열세.[6] Team Aster와의 상대전적 1-1로 동률. Fnatic과의 상대 전적 2-0으로 우세.[7] Thunder Awaken와의 상대전적 1-1로 동률. Fnatic과의 상대 전적 0-2로 열세.[8] Team Spirit와의 상대전적 1-1로 동률. Beastcoast과의 상대 전적 2-0으로 우세.[9] Fnatic와의 상대전적 1-1로 동률. Beastcoast과의 상대 전적 1-1로 동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