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7 23:36:56

스텔라루멘

XLM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주요 목록
2024. 1. 13. 시가총액 순
<colbgcolor=#000><colcolor=#fff>관련 용어블록체인 · 스마트 컨트랙트 · 작업 증명 · 지분 증명 · 알트코인 · ICO · P2E · NFT · 탈중앙화
국내 주요 거래소파일:업비트 로고.svg 업비트 · 파일:빗썸 아이콘.svg 빗썸 · 파일:코인원 아이콘.svg 코인원 · 파일:코빗 로고.svg 코빗 · 파일:고팍스 로고.svg 고팍스
상위권 주요 글로벌 거래소파일:바이낸스 로고.svg · 파일:Coinbase 로고.svg · 비트멕스 · Bybit · OKX · Bitget · Gate.io · KuCoin · Bitfinex · 파일:크립토닷컴 로고 가로형.svg · HTX
관련 이슈그래픽 카드 채굴 대란 (2021년 · 2022년) · 대한민국의 암호화폐 규제 논란 · 김치 프리미엄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관련 범죄스캠 코인 · 크립토재킹
사건/사고비트코인 플래티넘 사건 · 2022년 LUNA 대폭락 · FTX 파산}}}}}}}}}

파일:그레이스케일logo.png
그레이스케일 포트폴리오 암호화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비트코인 | 이더리움 | 이더리움 클래식 | 라이트코인 | 비트코인 캐시
Zcash | 젠캐시 | 스텔라루멘 | 디센트럴랜드 | 라이브피어
파일코인 | 베이직 어텐션 토큰 | 체인링크 | 에이다 | 솔라나
에이브 | 앰프 | 컴파운드 | 커브 | 호라이젠
#
}}}}}}}}} ||
스텔라루멘
Stellar Lumens

파일:스텔라루멘 로고.svg

도입일 2014년 7월
사용국 전 세계
분류 암호화폐
기호 XLM
(비공식 ISO 4217 코드)
최대 발행량 500억 XLM[1]
와이즈 레이팅스 B-
관련 사이트 Stellar.org (공식 홈페이지)
StellarExpert (렛저 익스플로러)
StellarX (탈중앙화 거래소)

1. 개요2. XRP와의 차이점3. 기타

[clearfix]

1. 개요

스텔라루멘암호화폐의 일종이다. XRP에서 하드포크하여 개발된 암호화폐이다. 비영리 기업 스텔라 재단에서 운용하는 화폐이다. 거래 코드는 XLM이고 총 발행량은 500억 개이다. 비트코인 캐시의 하드포크로 인해 암호화폐 시가총액 4위까지 올랐던 시기가 있으나, 현재는 코인마켓캡 기준 시가총액 30위를 달리고 있다.

총 322개의 마켓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국내 기준으로 업비트빗썸, 코인원 등에서 거래되고 있다.

2. XRP와의 차이점

XRP(리플)의 개발자인 제드 맥케일럽(Jed McCaleb)이 만들어서 사실상 XRP의 업그레이드 버젼(개선 버젼)이라고도 일컬어진다. 정확한 의미로 XRP를 버리고 스텔라루멘을 만들었다. XRP가 기업 간의 자금송금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면, 스텔라루멘은 개인 간의 거래를 보다 원활하고 편리하게 하고자 만들어진 화폐다.

특징이라면 전송 수수료가 매우 싸다. XRP도 수수료가 싸기로 유명한데 스텔라는 XRP의 10분의 1 이하다. 전송 속도는 둘다 1초 ~ 5분으로 매우 빠르다.[2]

3. 기타

  • USDC가 스텔라루멘 체인을 지원할 예정.

[1] 당초 총 발행량은 1,050억 XLM이었으나, 2019년 11월 4일 스텔라 재단이 재단 보유 물량 850억 XLM 중 550억 XLM을 소각함으로써 현재 총 발행량은 500억 XLM이다. (정확히는 50,001,803,905.9717165 XLM이다.)[2] XRP와 스텔라가 전송이 바로 되지 않는 경우는 보통 거래소에서 지연되는 경우다. XRP와 스텔라는 비트코인처럼 승인 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발신자와 수신자의 인증이 일치하는 순간 전송이 완료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