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23:28:07

국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본 제국의 천황 중심 국가 체제를 뜻하는 용어에 대한 내용은 국체(일본 제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국체 및 정체의 구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eee,#000>정체국체 (군: 파일:왕관.png 군주제  /  공: 파일:프리기아 모자.png 공화제)
민주정입헌군주제 · 민주공화제
독재정전제군주제 · 대통령독재 · 군정(軍政) · 신정(神政)
혼합 체제선거군주제 · 민주집중제 · 참주제 · 과두제 · 비주권군주제 · 협동조합주의 · 기업국가
이념자유주의 · 사회주의 · 전체주의
기타무정부 상태}}}}}}}}}


1. 개요2. 종류3. 쓰임

1. 개요



국가의 주권의 원천에 따른 국가 체제 구분 방식이다. 주권의 원천이란 국가의 중요한 의사결정을 할 때 최종적으로 누구의 동의를 구해야 하느냐(누가 허락해야 하는가)를 의미한다. 가령 군주제 국체라면 국왕의 동의를 구해야 하고, 공화제 국체라면 국민의 동의를 구해야 한다.

이와 대비되게 주권의 행사방법(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할 권리)에 따른 구분 방식을 '정체'라고 한다.

2. 종류

국체는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상단의 '정치제도의 유형'은 전적으로 '국체'를 기준으로 한 분류 방법이다. 오늘날에는 독재정체보다는 민주정체가 대세이므로 '정체'를 기준으로 하는 분류 방법은 그 실효성을 잃었다고 보는 것이 현대 법학의 다수설 입장이다.

3. 쓰임

대한민국대한민국 헌법 제1 조 제1 항에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라는 조항과 동 조 제2 항에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라고 명시하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국체에 대한 조항이다.

프랑스어 중 '앙시앵 레짐(Ancien Régime)'이라는 말은 프랑스 혁명과 관련하여 고유명사화 되었는데, 이 중 '레짐(Régime)'이라는 단어도 국체를 의미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