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8 06:08:03

대청도


서해 5도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연평도 우도
※ 한국 군사정전에 관한 협정 2조 13항에 의함.

파일:한국관광100선 로고.svg파일:한국관광100선 로고 다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023~2024 ]
{{{#!wiki style="margin: -6px -2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CC,#1c1d20> 수도권 청와대 앞길 | 경복궁 | 광명동굴 | 익선동 | 자라섬 | 서울숲 |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 | 수원 화성 | 창덕궁과 후원 | 인천 차이나타운 | 헤이리 예술마을 | 양평 두물머리 | 파주 임진각 | 강화 원도심 스토리워크 | 경희궁 | 롯데월드 어드벤처 | 서촌마을 | 덕수궁 | 서울랜드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남산서울타워 | 송도 센트럴파크 | 한국민속촌 | 에버랜드 | 안성팜랜드 | 송월동 동화마을 | 재인폭포 | 창경궁 | 스타필드 코엑스몰 | 백령도 | 대청도 | 홍대
강원권 원대리 자작나무 숲 | 춘천 삼악산 호수케이블카 | 도째비골 해랑전망대 | 남이섬 | 도째비골 스카이밸리 | 뮤지엄 산 | 간현관광지 | 대관령 관광특구 | 고석정 | 무릉계곡 | 강릉 커피거리
충청권 수덕사(예산) | 만천하 스카이워크 | 충주 탄금호 무지개길 | 국립세종수목원 | 속리산 테마파크 모노레일 | 중앙탑공원(충주) | 청풍호반케이블카 |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 관북리 유적부소산성 | 한밭수목원 | 서동공원과 궁남지 | 단양강 잔도 | 도담삼봉 | 보은 법주사 | 공주 공산성 | 꽃지해수욕장 | 대천해수욕장 | 서산 해미읍성
경상권 여좌천(벚꽃명소) | 진주성 | 대구 동성로거리 | 장생포 고래문화마을 | 수성못 유원지 | 문경단산 모노레일 | 스카이라인 루지(부산) | 부산엑스더스카이 | 스페이스워크 | 광안리 SUP Zone |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 | 디피랑 | 부산 감천문화마을 | 해운대 그린레일웨이 | 죽변해안스카이레일 | 거창 항노화힐링랜드 | 부산 송도해수욕장 | 울릉도 | 경주 불국사 | 영남 알프스 | 대구 서문시장 & 서문시장 야시장 | 송정해수욕장 | 용두산 자갈치 관광특구 | 태종대 | 송도용궁구름다리 | 당항포관광지 | 김해가야테마파크 | 황매산군립공원 | 주산지 | 대왕암공원 | 태화강 국가정원 | 소수서원 | 독도 | 경주 석굴암 | 해운대해수욕장 | 대구앞산공원 | 광안리해변 테마거리
전라권 목포근대역사관 2관 | 고창 운곡람사르습지 | 전북 전주 한옥마을 | 고군산군도 | 천은사 상생의 길 및 소나무숲길 | 무등산국립공원 | 내장산국립공원 | 한려해상국립공원(오동도) | 목포 해상케이블카 | 선유도 | 마이산도립공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돌산도 | 목포근대역사관 1관 | 5·18 기념공원 | 익산 왕궁리유적 | 국립태권도원 | 무주 반디랜드 | 죽녹원 | 여수 해상케이블카 | 섬진강기차마을 | 양림역사문화마을
제주권 우도 | 제주 올레길 | 한라산(제주도 국가지질공원) | 성산일출봉 | 제주돌문화공원 | 비자림
}}}}}}}}}
[ 2021~2022 ]
||<width=80px><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CCC,#1c1d20> 수도권 ||서울 5대 고궁 | 홍대거리 | 서울시립미술관 본관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롯데월드 어드벤처 | 남산 N서울타워 | 서대문형무소역사관 | 익선동 | 코엑스(스타필드) | 영종도 | 개항장 역사문화의 거리 | 인천 차이나타운(송월동 동화마을) | 강화 원도심 스토리워크 | 소래포구 | 송도 센트럴파크 | 수원화성 | 한국민속촌 | 용인 에버랜드 | 서울대공원(서울랜드) | 광명동굴 | 화담숲 | 임진각, 파주 DMZ | 두물머리 | 제부도 | 가평 아침고요 수목원 | 파주 헤이리 예술마을 | 농협경제지주 안성팜랜드 ||
강원권 설악산국립공원 | 남이섬 |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 강릉 커피거리 | 대관령 | 비발디파크(오션월드) | 강릉 주문진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 원주 뮤지엄 산 | 원대리 자작나무 숲
충청권 장태산 자연휴양림 | 계족산 황톳길 | 청풍호반케이블카 | 의림지 | 청남대 | 만천하스카이워크, 단양강 잔도 | 예당호 출렁다리, 음악분수 | 대천해수욕장 | 안면도 꽃지해변 | 부여 백제유적지(부소산성 | 궁남지) | 공주 백제유적지(공산성 | 송산리 고분군) | 예산황새공원 | 아산 외암마을 | 신두리 해안사구 | 세종호수공원 일원
전라권 무등산국립공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익산 미륵사지 | 전주 한옥마을 | 마이산도립공원 | 내장산국립공원 | 옥정호 구절초 지방정원 | 남원시립김병종미술관 | 죽녹원 | 목포해상케이블카 | 오동도, 여수세계박람회장 | 퍼플섬 | 쑥섬(애도) | 보성 녹차밭(대한다원) | 순천만습지(순천만국가정원)
경상권 태종대 유원지 | 해운대해수욕장 | 용두산·자갈치 관광특구 | 감천문화마을 | 송정해수욕장 |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 다대포해수욕장 | 흰여울문화마을 | 용궁구름다리, 송도해수욕장 | 팔공산 | 서문시장 | 수성못 | 태화강 국가정원 | 영남알프스 | 간절곶 | 대왕암공원 | 반구대 암각화 | 경주 대릉원 일대 (동궁과 월지 | 첨성대) | 불국사, 석굴암 | 울릉도독도 | 병산서원 | 안동 하회마을 | 부석사 | 창녕 우포늪 | 황매산군립공원 | 남해독일마을 | 거제 바람의 언덕 | 합천 해인사
제주권 성산일출봉 | 한라산국립공원 | 제주올레길 | 천지연폭포 | 카멜리아 힐 | 우도 | 제주 비자림
[ 2019~2020 ]
||<width=80px><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CCC,#1c1d20> 수도권 ||서울 5대 고궁 | 익선동 | 홍대거리 | 서울로7017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코엑스 | 롯데월드 어드벤처 | 이태원 관광특구 | 명동거리 | 남산 N서울타워 | 월미도 | 소래포구 | 송도 센트럴파크 | 인천 차이나타운 | 수원화성 | 용인 에버랜드 | 서울대공원 | 광명동굴 | 제부도 | 양평 두물머리 | 광주 남한산성 | 광주 화담숲 | 포천아트밸리 | 가평 아침고요수목원 | 연천 한탄강 관광지 | 파주 DMZ ||
강원권 평창 대관령 | 강릉 커피거리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 설악산 | 오대산 | 강릉 주문진 | 춘천 남이섬 | 원주 뮤지엄 산 | 하이원 리조트 | 고성 DMZ 평화관광지 | 비발디파크 |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 인제 원대리 자작나무 숲
충청권 계족산 황톳길 | 단양 만천하스카이워크 | 단양팔경 | 청남대 | 괴산 산막이 옛길 | 태안 안면도 | 대천해수욕장 | 서천 국립생태원 | 부여 백제유적지(궁남지 | 부소산성 | 낙화암) | 공주 백제유적지(공산성 | 무령왕릉)
전라권 무등산 | 양림동 역사문화마을 | 전주 한옥마을 | 군산 시간여행 | 내장산 | 마이산 | 무주 태권도원 | 순천만습지 | 여수 엑스포 해양공원 | 담양 죽녹원 | 곡성 섬진강 기차마을 | 강진 가우도 | 보성녹차밭 | 해남 미황사
경상권 해운대해수욕장 | 태종대 | 자갈치시장 | 송도해수욕장 | 마린시티 | 감천문화마을 | 서문시장 | 대구근대문화골목 | 김광석다시그리기길 | 팔공산 | 태화강 십리대숲 | 영남알프스 | 울릉도독도 | 불국사석굴암 | 경주 대릉원 일대(동궁과 월지 | 첨성대 | 대릉원 | 천마총 | 황리단길) | 청송 주왕산 | 안동 하회마을 | 포항운하 | 영덕 대게거리 | 영주 부석사 | 울진 금강송 숲길 | 통영 스카이라인 루지 | 거제 바람의 언덕 | 창녕 우포늪 | 외도 보타니아 | 남해독일마을 | 진주성 | 합천 해인사
제주권 한라산 | 올레길 | 성산일출봉 | 제주 비자림 | 섭지코지 | 우도 | 서귀포 매일올레시장 | 성읍 민속마을 | 제주 절물 자연휴양림
}}} ||

파일:국가지질공원사무국 로고.sv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제주도 울릉·독도 부산 청송
경북 동해안
(울진, 영덕, 포항, 경주)
강원평화지역
(철원, 화천, 인제, 양구, 고성)
강원고생대
(영월, 정선, 태백, 평창)
전북 서해안
(부안, 고창)
한탄강 백령·대청 진안·무주 단양
무등산권 의성 고군산군도 화성
각 등재 지역의 세부 장소는 국가지질공원 문서 참조.
}}} ||
<colbgcolor=#0079c1><colcolor=#fff> 대청도
大靑島 | Daecheongdo
국가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광역자치단체 인천광역시
기초자치단체 옹진군
면적 12.63㎢
인구 1,192명[1]
인구 밀도 94.85명/㎢
주민센터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지형
2.1. 산악 지형2.2. 해안 지형
3. 특산물4. 대청해전5. 기타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서해의 백령군도에 포함된 섬. 관할하는 지방자치단체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1974년 백령면에서 분리되어 대청면이 신설되었다. 대청면은 리가 2개인데 대청리와 소청리가 전부이다.

대청도로 가는 방법은 인천연안여객터미널에서 여객선을 타고 가면 된다.

게다가 백령면과 함께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 지역의 시내버스는 진도군, 영양군처럼 교통카드 사용이 안 된다. 따라서 잔돈을 미리 준비해야 한다.

2. 지형

2.1. 산악 지형

파일:external/ncc.phinf.naver.net/map.jpg

의외로 많은 지형이 있다. 가장 높은 곳은 삼각산으로 343m인데, 대청도의 좁은 면적치고는 꽤나 높은 편이다. 대청도보다 4배나 넓은 백령도의 최고봉이 고작 184m인데, 이 정도면 경사도가 매우 높다는 뜻이 된다. 만약 걸어서 섬을 일주할 생각을 한다면 하루종일 등산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그뿐만 아니라 길이 1.5km에 폭이 500m나 되는 크고 아름다운 들판이 있고, 비슷한 크기의 모래사장도 있으니 지형이 매우 다양하다고 볼 수 있다.

대청도의 도로는 위의 지도와 같이 2차선 도로가 삼각산을 기준으로 크게 한 바퀴 두르고 있는 형태로 경사가 있는 고개가 4군데 정도 있다. 답동해안에서 내동으로 넘어갈 때 한 곳, 내동에서 모래울동으로 가는 곳에 한 곳 등이다. 참고로 산의 경사가 급하다고 전술했다시피 이 고개들도 경사가 장난 아니게 심한데, 겨울에 눈이라도 온다면 이도저도 못가 난감한 사태가 발생할 수 있으니 겨울에 여행을 간다면 눈이 안 올 때 가도록 하자.

2.2. 해안 지형

대청도는 크게 5개의 큰 해안이 있는데 동쪽으로 지두리 해안과 농여해안이 있고, 서쪽으로 답동해안, 남쪽으로 모래울해안[2] 북쪽으로 옥죽해안이 있다. 지두리해안과 모래울해안, 농여해안과 옥죽해안은 거의 붙어 있다. 그 밖에 용머리해안, 기름항아리해안, 독바위해안 같은 크고 작은 해안들이 곳곳에 있다. 모래울해안 앞쪽으로는 작은 바위 2개가 우뚝 솟아있는데, 흔히 갑죽바위라고 부른다. 옛날에 이 바위에서 대나무가 자라 그렇게 지었다고 한다.

거기에 해안사구도 있다. 옥죽동 해안사구에는 바닷가 모래언덕인 해안사구가 있는데, 옥죽동 해안사구는 해변에서 떨어져 있어서 모래사장 분위기가 난다 카더라. 옥죽동 해변 백사장의 모래가 바람에 날려 생긴 것으로, 길이는 무려 1km에 폭도 500m에 달하고 약 30m 높이까지 올라가 있다. 참고로 이 사구는 우리나라에서 큰 해안 사구 중 하나이다.[3] 낙타 모형이 두 개 설치되어 있다.

3. 특산물

바다에서는 홍어, 장어, 노래미, 우럭, 광어 등이 잡힌다. 자연산 미역, 다시마도 생산된다고 한다.

4. 대청해전

2009년 11월 10일 대청해전이 일어난 곳으로도 유명하다. 자세한 것은 대청해전 문서 참고.

5. 기타

  • 백령도를 갔다가 이곳이 궁금해서 내리게 된다면 보통 하룻밤을 이곳에서 보내야 한다. 백령도행 기준으로 섬에 한 번 내리게 되면 오후 12시인데 대략 1시간 후에 인천으로 돌아가는 배가 섬에 도착한다. 따라서 제대로 섬을 둘러보고 싶다면 대청도, 소청도 하루씩 잡아둔다고 생각하는 편이 편하다. 숙박 시설은 대부분 60,000원 선으로 육지랑 멀리 떨어진 섬임을 감안하면 그럭저럭. 은근히 관광 수요가 있고 군 면회객도 있어 숙박시설은 많은 편. 대표적으로 가장 좋은 숙소는 대청도 청실,홍실 펜션이 있다.
  • 또한 북한과 마주하고 있는 만큼 백령도와 마찬가지로 군사 시설을 심심찮게 볼 수 있는 지역이다. 만약 여행을 간다면 일부 산간 지역에는 지뢰가 매설되어 있으니[4] 조심하는 것이 좋다.
  • 원나라의 마지막 황제 토곤 테무르가 즉위 전 황태제 시절 때 대청도에 유배를 온 적이 있었다. 몽골 대칸 겸 중국 황제가 고려 땅에 유배됐다는 특이함 때문인지 기황후(드라마)에서는 기황후와 토곤(타환)이 이곳에서 처음 만난 것으로 각색했다.[5] 이러한 점 때문에 제주도와 더불어 몽골인 관광객이 많이 찾는 한국 관광지이기도 하다.
  • 1박 2일 시즌 1에서 백령도 도착 30분 전에 대청도에서 숭어를 잡아야하는 미션이 있었는데, 여기서 MC몽이 추천제에서 걸리는 바람에 여기서 숭어를 잡는 고생을 했다. 숭어잡이를 할 때 1박 2일의 순간 시청률이 무려 43.8%를 기록했으며, 20분 동안 40%를 떨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리고 해남 편에서 강호동이 이걸 언급하는데 MC몽 숭어 잡을 때는 좋아해주시더니 이승기를 녹도에 버려두자 욕을 했다고 오프닝 때 밝힌다.

6. 관련 문서


[1] 2024년 3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2] 원래 사탄해안이었으나, 사탄이라는 단어가 기독교인들의 심기를 건드렸으므로 모래울로 바꿨다. 물론 그 사탄이 아니고 (모래 사), 灘(여울 탄). 참고로 바로 앞 마을의 이름도 사탄동이다. 동음이의어 때문에 개고생한 케이스.[3] 최대 해안사구는 충청남도 태안시 신두리 해안사구로 서해안에 위치. 참고로 이 해안사구는 계속해서 커지고 있었는데, 조선시대 사구 확장을 막고자 사구 앞쪽으로 소나무를 심게 되었고 그 이후 사구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4] 자세한 위치는 군사기밀이다.[5] 물론 토곤 테무르는 대청도에 고작 1년만 머물렀고 아버지인 명종이 생전에 토곤을 친아들이 아니라고 발언했다는 이유를 들어 권신 엘테무르광서성의 정강(靜江)으로 다시 유배를 보내버렸다. 이때 토곤의 나이가 겨우 10살에 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