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02:19:26

신강 침공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66666, #000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222><colcolor=#fff> 주요 사건
제1차 세계 대전의 끝
(1918~1920)
<colcolor=#000,#ddd> 부쿠레슈티 조약 ·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 세브르 조약 · 로잔 조약 · 뇌이 조약 · 트리아농 조약 · 생제르맹 조약 · 베르사유 조약
전간기 초기
(1918~1931)
러시아 내전 · 외몽골 출병카프 폭동로마 진군루르 점령메멜 점령리프 전쟁독일-폴란드 무역 전쟁로카르노 조약 · 국민혁명(제1차 국공합작) · 황고둔 사건켈로그-브리앙 조약 · 대공황
만주사변
(1931~1933)
만주사변 · 제1차 양광사변 · 나카무라 사건 · 만보산 사건 · 제3차 초공작전 · 류탸오후 사건 · 천진사변 · 영월합작 · 진저우 침공 · 사쿠라다몬 의거 · 마옥산 사건 · 제1차 상하이 사변 · 홍커우 공원 의거 · 송호정전협정 · 이시모토 사건 · 열하사변 · 당고정전협정
나치당 집권 후
(1933~1939)
복건사변라이히스탁 방화 사건 · 수권법 통과장검의 밤신강 침공 ·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 스페인 내전 · 라인란트 재무장수정의 밤 · 오스트리아 병합 · 하산 호 전투 · 뮌헨 협정
중일전쟁
(1937~1939)
루거우차오 사건 · 상하이 전투 · 난징 전투 · 난징 대학살 · 파나이 호 사건트라우트만 공작
국제 기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96 50%, #fe0000 50%);color:#00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6px -1px"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정치·행정 정치 전반 · 국민대회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조직) · 사법원 · 헌법(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국가원수 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왕징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 라이칭더
국가원수(명단) · 총통(명단)
기타 정치인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유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천젠런 · 샤오메이친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타이완 관계법 · 타이완 동맹 보호법 · 대만 보증법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한국-대만-일본 관계(자코타 삼각지대) · 재외공관
사법 · 치안 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군사 전반 국방부(역정서) · 대만군(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 역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역사 ||<(> 역사 전반(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
시대 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초한쟁패기) · (전한 · · 후한) · 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북송 · 남송) · · · 서하 · · (남명 · · · 동녕국) · (태평천국) · 일치시기 · 만주국 · 중화민국(임시정부 · 북양정부 · 국민정부 · 호법정부 · 우한정부 · 임시정부(괴뢰)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국부천대 · 대만)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 연성공(공자 · 쿵더청)
사서 흠정24사(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계축전쟁 · 호국전쟁) · 선후대차관 사건 · 중화민국 국회 해산 · 홍헌제제 · 부원지쟁 · 장훈복벽 · 제1차 호법운동 · 호법전쟁 · 5.4 운동 · 하남독군 교체 파동 · 안직전쟁 · 제2차 호법운동 · 영풍함 사건 · 외몽골 출병 · 직봉전쟁(2차) · 국민혁명(1차 · 2차) · 탕산회의 · 동북역치 · 반장전쟁 · 편견회의 · 호남 사건 · 제1차 장계전쟁 · 제1차 장풍전쟁 · 중동로 사건 · 봉소전쟁 · 제2차 장계전쟁 · 제2차 장풍전쟁 · 장당전쟁 · 중원대전 · 초공작전 · 중국-티베트 전쟁 · 신강 침공 · 중일전쟁(만주사변 · 열하사변 · 시안 사건 · 국공합작) · 국공내전 · 국부천대 ·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 제2차 대만 해협 위기 · 국광 작전 · 대만 계엄령 · 2.28 사건 · 중화문명부흥운동 · 중리 사건 · 메이리다오 사건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대만 여권운동가 피살 사건 · 천수이볜 암살 미수 사건 · 해바라기 운동 · TWICE 쯔위 청천백일만지홍기 논란 · 8.15 대만 블랙 아웃
[ 사회 · 경제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경제 ||<(> 경제 전반 · 재정부 · 경제부 · 중화민국중앙은행 · 신대만 달러 · 대만증권거래소 · 타이베이거래소 · 기업(메인보드 제조사) · 이동통신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ECFA ||
교육 교육부 · 대학 목록 · 재대복교
교통 교통 전반 · 대만의 철도 환경 · 교통부 · 중화민국국도(중산고속공로 · 포모사고속공로) · 타이완 성도 · 공항 목록 · 항공사(중화항공 · 에바항공 · 스타럭스항공) · 타이완철로유한회사(THSR · 쯔창하오 · 구간차) · 대만의 시외버스 · 첩운(타이베이 첩운 · 타오위안 첩운 · 신베이 첩운 · 타이중 첩운 · 가오슝 첩운) · 이카퉁 · 이지카드
민족 한족 · 본성인(객가) · 외성인 · 대만 원주민(아미족 · 아타얄족 · 따오족) ·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 일본계 대만인 · 한국계 대만인
[ 문화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fe0000><width=15%> 문화 전반 ||<(> 문화 전반 · 영화(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
요리 요리 전반(대만 요리)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종류) · 미국식(종류) · 일본식(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 · 대만 술(백주 · 황주 · 맥주 · 금문고량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 · 경극(변검) · 잡극(포대희)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 · 마작(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중국사대기서) · 토루 · 사합원 · 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현대문화 만화(팬시 프론티어) · 민국기년 · 정가(傷感情歌)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사신 · 사령 · 오룡 · 사흉) · 동방번개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중화민국 국어) · 관화 · 민어(대만어) · 객가어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대만 제어 · 백화문 · 한자(정체자 · 방언자 · 중문대사전) · 주음부호 · 병음(우정식 병음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국어라마자 · 통용병음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대라병음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객가어병음방안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중어중문학과 · 중국어 교과 · TOCFL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 관광 전반 · 국립고궁박물원 · 국부기념관 · 대만의 성 · 중정기념당 · 충렬사 · 원산대반점 · 예류 · 진과스 · 핑시선 · 우라이 · 타이베이 101 · 가오슝 85 타워 · 지우펀 · 샹산 · 펑후 · 진먼
전시장 타이베이 세계무역센터 · 난강전람관 · 가오슝전람관
[ 기타 ]
}}} ||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장.svg 중화민국의 대내외 전쟁 · 분쟁 파일:백일문.svg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00096> 신해혁명
,1911 ~ 1912,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계축전쟁
,1913,
파일:중국 국민당기.svg 국민당
호국전쟁
,1915 ~ 1916,
파일:중화제국 국기.svg 중화제국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북양군벌
호법전쟁
,1917 ~ 1918,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북양군벌 파일:봉천군벌 기.svg 봉천군벌
제1차 세계 대전
,1917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 헝가리-제국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외몽골 출병
,1919,
파일:복드 칸국 국기.svg 복드 칸국
국민혁명
,1926 ~ 1928,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북양군벌 파일:봉천군벌 기.svg 봉천군벌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직예군벌
제1차 국공내전
,1927 ~ 1936,
<colbgcolor=#000096> 초공작전
,1930 ~ 1934,
파일:중국 공산당 당기.svg 중국공산당
반장전쟁
,1929 ~ 1930,
파일:대만 국기.svg 서산회의파 파일:대만 국기.svg 개조파 파일:대만 국기.svg 계계군벌 파일:대만 국기.svg 서북군벌 파일:대만 국기.svg 염계군벌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북양군벌
중국-티베트 전쟁
,1930 ~ 1932,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만주사변
,1931 ~ 1932,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영릉가 전투
,1932,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쌍성보 전투
,1932,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제1차 상하이 사변
,1932,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열하사변
,193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경박호 전투
,193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사도하자 전투
,193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흥경성 전투
,193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동경성 전투
,193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대전자령 전투
,193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복건사변
,1934,
파일:중화공화국 국기.png 중화공화국
쿠물반란
,1931~1934,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신강군벌 기.svg 신강군벌
신강 침공
,1934,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1937년 신강 전쟁
,1937,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제2차 세계 대전
,1937 ~ 1945,
중일전쟁
,1937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파일:왕징웨이 정권 국기.svg 왕징웨이 정권]]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이저사변
,1944 ~ 1946,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동튀르키스탄 제2공화국 국기.svg 동튀르키스탄 제2공화국
제2차 국공내전
,1946 ~ 1950,
파일:중국 공산당 당기.svg 중국공산당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1954 ~ 1955,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진먼 포격전
,1958,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중국-버마 국경작전
,1960 ~ 1961,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파일:버마 연방 국기.svg 버마 연방
베트남 전쟁
,1965 ~ 1973,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태국 공산반란
,1965 ~ 1967,
태국 공산당
캄보디아 내전
,1967 ~ 1975,
파일:민주 캄푸치아 국기.svg 크메르 루주
대막계획
,1979 ~ 1990,
파일:남예멘 국기.svg 남예멘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1995 ~ 1996,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
신강 침공
Soviet invasion of Xinjiang
蘇聯入侵新疆
1. 개요2. 배경3. 전개4. 결과5. 같이 보기

1. 개요

1934년 동튀르키스탄 일대에 소련군이 침공하여 현지에 친소 군벌 정권을 세운 사건이다. 중국 국민당 측은 소련과의 외교적 마찰을 피하느라 소련과의 전쟁을 피했고, 그 결과 소련에는 친소 성향의 성스차이 군벌 정권이 들어섰다.

2. 배경

동튀르키스탄 일대는 러시아 제국튀르키스탄(서튀르키스탄)과 인접한 위치로 러시아 제국 측과 교류가 활발하였고, 러시아 혁명 이후에는 상당수의 러시아 백군 난민들이 해당 지역을 통해 피난하면서 소련에서도 해당 지역을 주시하기 시작했다. 한 편 20세기 초반 신장성의 권력자였던 양쩡신은 실질적인 반독립세력을 구축하고 중국 국민당과 소련 사이에서 줄타기를 벌이다가, 이를 괘씸하게 여긴 국민당 측에 의해 암살당한다.

이후 후임자로 들어선 진수런은 골수 중화주의자에 한족 우월주의자로 위구르인들을 열등인종 취급하며 심각한 수준의 탄압을 가했다. 위구르인들이 경작하던 토지를 한족 이주민들에게 무상으로 배분하고 위구르인 농민들을 쫓아낸 것은 물론, 기득권을 인정받던 위구르인 왕공들의 여러 권익들마저 임의로 축소시켰다. 한족 경찰서장이 위구르인 여성을 집적대다가 맞아죽는 사건이 벌어지자 진수런은 복수를 부르짖으며 사건과 관계가 없는 위구르인 민간인들을 마구잡이로 학살하며 심지어 항복한 반란군마저 잔혹하게 처형하는 등 행동으로 민심을 크게 이반시켰다. 이 상황에서 간쑤성과 칭하이성 일대의 후이족 군벌 중 하나인 마중잉이 신장성 일대로 쳐들어와 진수런을 몰아내고 신장성에 자리잡으려 시도하였다.

소련의 신강 침공의 배경에는 동튀르키스탄과 소련과의 지리적 인접성, 그리고 해당 지역에 개입한 후이족 군벌 마중잉 때문이었다. 마중잉이 디화(오늘날의 우루무치에 해당) 일대를 위협하자, 소련 측에서는 마중잉이 일본의 스파이들과 내통하고 있다고 의심하고 일본이 해당 지역에 마수를 뻗치면 위험하다는 판단 하에 일단의 소련군을 파견한다는 결정을 내렸다.

3. 전개

소련이 전차, 전투기, 그리고 겨자가스 등 화학무기를 사용하는 포병 등을 포함한 7,000명의 소련 OGPU 부대로 구성된 2개의 여단[1]이 마중잉이 이끄는 36사단에게 거의 궤멸당했던 성스차이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소련군은 표식이 없는 제복으로 위장하여 전투를 치렀고, 마중잉과 같이 싸우던 장배원은 연이어 쿨자, 타르바가타이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포로로 잡히지 않기 위해 자살했다. 소련군은 인력이나 기술 면에서 우세했지만, 심각한 사상자와 피해를 입었고 심지어 중국 무슬림 부대들이 약 30일 동안 진격을 저지하기도 했다. 이때 장제스는 소련의 침공에 맞설 경우 외교적 고립이라든지 국력차 등을 감안하여 이렇다할 대처를 하지는 못하였다.

마중잉의 36사단은 결국 4월 6일에 카슈가르로 후퇴했고, 아크수시까지 성스차이의 군대에게 추격당했다. 그러나 점차 추격은 약화되었고, 마중잉은 마랄베시와 페이자와트에 방어선을 구축하여 소련군과 맞섰다. 6월에 폭격이 계속되자, 마중잉은 카슈가르에서 호탄으로 이동할 것을 지시했다. 7월 4, 5, 6일에 마중잉이 호탄으로 진격한 후, 알 수 없는 이유로 국경을 넘어 소련 측으로 투항후 소식이 다시는 들려오지 않았다. [2] 결국 평화협정이 체결되었고, 신강 지역은 기존의 성스차이 정권과 남쪽의 퉁가니스탄으로 둘로 나뉘어졌다.

4. 결과

이후 동튀르키스탄 일대는 수년간 소련의 실질적인 지배를 받게 되면서, 소련의 여러 사회 제도 등이 도입되는데 이는 오늘날 동튀르키스탄 독립운동 및 위구르 민족주의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여담으로 신장성 일대에 잔류하던 백군 코사크 부대 등 백군 난민들은 해당 침공 작전에서 소련군을 지원한 대가로 예외적으로 좋은 대우를 받았다. 소련군이 2차대전 당시 만주 일대에서 백군 난민들을 생포했을 때 총살하거나 굴라그에 끌고가는 경우가 많았으며 6.25전쟁 당시 서울에 살던 러시아인 백군 난민과 그 후손들을 모조리 굴라크로 끌고 갔던 적이 있었다.

5. 같이 보기



[1] 이 중에는 한 때 신장성 일대로 피난하였던 백군 난민들도 포함되어 있었다.[2] 영국 총영사의 말에 따르면, 7월 7일에 마중잉과 그의 장교들, 그리고 소련 영사관이 만나서 동행했다고 한다. 또한 1937년 당시 36사단의 부사령관이었던 마호산이 말하길, 자신의 군대가 추가로 처벌받는 것을 막기 위해서 인질로 잡혀갔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