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20:27:21

헬리코프리온

헬리코프리온
Helicoprion
파일:헬리코프리온 화석.jpg
학명 Helicoprion
Karpinsky, 1899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연골어강(Chondrichthyes)
아강 전두어아강(Holocephali)
†에우게네오두스목(Eugeneodontida)
†헬리코프리온과(Helicoprionidae)
헬리코프리온속(Helicoprion)
  • †헬리코프리온 베스소노비(H. bessonovi)모식종
    Karpinsky, 1899
  • †헬리코프리온 다비시(H. davisii)[1]
    Woodward, 1886
  • †헬리코프리온 에르가사미논(H. ergasaminon)
    Bendix-Almgreen, 1966
파일:helicoprion_(3).jpg
두족류를 사냥하는 헬리코프리온

1. 개요2. 연구사3. 대중 매체

[clearfix]

1. 개요

고생대 페름기 전기부터 중기까지 살았던 연골어류의 일종으로, 속명은 그리스어로 '나선형 톱'이라는 뜻이다.

2. 연구사

파일:헬리코프리온 복원도.jpg
복원도 변천사
헬리코프리온의 화석은 1899년 러시아 우랄 산맥에서 최초로 발견되었다. 학자들은 마치 암모나이트를 연상케 하는 나선형 골격 표본을 보고 이 동물의 정체에 대해 고민하였으며, 일단 연골어류의 일종일 것으로 추정하였다. 21세기 이전까지는 나선형 골격의 위치에 대해서는 아랫턱, 윗턱, 등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 등 여러 의견이 나왔으며, 이후 연구를 통해 상어와는 분류상 연골어류라는 점 외에 연관성이 없는 전두어아강(Holocephali)에 속한다는 점이 밝혀졌다.[2]

2013년에 헬리코프리온의 화석 표본이 가장 많이 발견된 미국아이다호 주립 대학교에서 20세기 중엽에 발견된 표본 중 머리와 턱 부분을 구성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연조직이 남아있는 화석을 발견하면서 더 정확한 머리 모양에 대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다. 연구진들이 CT 스캔 및 3D 촬영 기법 등을 이용하면서 분석한 결과, 위에 게시되어있는 최신 복원도처럼 좀 더 짧아진 아랫턱의 안쪽에 들어간 형태로 백여 개에 달하는 이빨 중 단 수십 개의 이빨만이 입 밖으로 드러날 수 있었다고 한다. 윗턱에 이빨이 있었는지는 관련 증거가 나오지 않았으나, 3D 촬영 기법을 동원한 결과 이 녀석이 입을 닫을 때 아랫턱의 이빨이 입 안 쪽으로 들어가면서 윗턱과 나름 맞물리는 결과가 나왔다고 한다.

이 연구로 헬리코프리온이 주로 어떤 먹이를 먹고 살았는지에 대해서도 대강 알 수 있게 되었는데, 초기에는 암모나이트처럼 단단한 껍데기를 가진 무척추동물을 주로 사냥했을 것으로 보았지만 현재는 벨렘나이트 등의 오징어 종류를 훅 빨아먹었을 것으로 추측된다고 한다. 헬리코프리온이 만약 단단한 먹잇감을 주로 사냥했다면 이로 인해 닳고 손상된 흔적이 있어야 하는데, 이빨 화석에서 그러한 흔적이 거의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이빨은 주로 연하고 부드러운 먹잇감을 사냥할 때 윗턱과 맞물려 고정시키는 역할을 해서 잡은 먹이가 도망치지 못하게 만드는 용도였다는 것이다. 이는 헬리코프리온의 괴상한 생김새도 나름 효율적으로 생활하기 위해 진화한 결과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여담으로 가장 거대한 표본은 몸길이가 약 7.6미터 이상으로 추정되기에 헬리코프리온은 고생대에 살았던 가장 거대한 해양 척추동물이라고 할 수 있다.

3. 대중 매체

워낙 복원도가 변화무쌍했고 하나같이 괴상한 모습으로 묘사된 터라, 고생대 연골어류 중에서는 일반인들에게도 상당히 어필할 수 있었던 축에 든다. 그 덕분인지 대중 매체에도 꽤 여러 차례 등장한 편.
  • 디스커버리 채널낚시 전문 프로그램River Monsters의 고생대 관련 에피소드에서 등장했는데, 주로 벨렘나이트 같은 부드러운 무척추동물을 사냥하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 더 스톰핑 랜드에 출연할 수 있었으나, 게임이 망하면서 없던 일이 되어버렸다.
  • 헝그리 샤크 월드에서는 버즈라는 이름의 특급 상어 등급으로 등장하는데, 상어라기 보다 생체병기에 가까운 모습을 하고 있다. 톱니처럼 생긴 이빨을 회전시켜 원형톱처럼 쓰며 잠수함, 배, 헬리콥터, 심지어 거대 오징어의 촉수마저 이빨로 갈아서 절단내는 정신 나간 위력을 지녔다.
  • ABZÛ에서는 챕터 6에서 등장. 원래부터 헤엄치고 있지만 육식공룡 유골 근처의 웅덩이를 활성화시켜 추가적으로 해방시킬 수 있다. 해당 작품 자체가 힐링물로 평가받는 만큼 플레이어에게 적대적이진 않다.
  • 해수의 아이에서 등장. 실제 살아 있는 개체로서 등장한 것은 아니고, 주인공이 보는 환상 속에서 나타난다.
  • 파이널 판타지 14에서 소금갈이등 헬리코프리온를 모티브로 삼은 물고기들을 낚시로 잡을 수 있다. 생김새는 삐죽 튀어나온 아랫턱 끝에 이 나선형 이빨들이 붙어있는 형태로 묘사했다. 또한 헬리코프리온 자체도 남부 다날란 사골리 모래바다에서 낚을 수 있는 터주왕 개체로 등장한다.
  • 명일방주의 오퍼레이터 스펙터의 모티브가 되는 생물이 헬리코프리온으로 추측되고 있다.
  • 데이브 더 다이버에도 보스몹으로 등장한다. 건목의 열로 얼음이 녹으며 깨어났다는 설정이다. 이빨이 원형톱처럼 돌아가면서 바위를 부순다.


[1] 과거에는 에데스투스의 한 종으로 여겨졌다.[2] 따라서 현존하는 생물 중 가장 가까운 친척은 마찬가지로 전두어아강에 속하는 은상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