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21:06:57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역대 대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ague of Legends the Champions
2012
스프링 | 서머
League of Legends Champions
2013
윈터 | 스프링 | 서머
2014
윈터 | 스프링 | 서머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2015
스프링 | 서머
2016
스프링 | 서머
2017
스프링 | 서머
2018
스프링 | 서머
2019
스프링 | 서머
2020
스프링 | 서머
2021
스프링 | 서머
2022
스프링 | 서머
2023
스프링 | 서머
2024
스프링 | 서머
2025
윈터 | 스프링 | 서머
2026
윈터 | 스프링 | 서머
}}}}}}}}} ||
파일:LCK 심볼(2012~2017) 화이트.svg 역대 LoL Champions Korea 일람
ROX Tigers SK telecom T1 Longzhu Gaming
2016 LoL Champions Korea Summer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 2017 LoL Champions Korea Summer
파일:17835111_507412766049413_4104793780817123219_o.jpg
파일:lckss_logo.jpg
파일:LCK Old logo.png
<colbgcolor=#304050><colcolor=#fff> 2017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Spring
대회 기간 2017년 1월 17일 ~ 4월 22일
주최 라이엇 게임즈 한국e스포츠협회
주관
제작 OGN SPOTV GAMES
경기장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서울 OGN e스타디움 / NEXON ARENA
스폰서 제닉스 광동제약
중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04050><colcolor=white> 중계 플랫폼 TV
OGN, SPOTV GAMES
온라인
파일:TVING 로고 (2016~2020).png 파일:POOQ 로고.pn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중계진 캐스터
OGN 김의중, 전용준
SPOTV GAMES 성승헌, 이기민
해설자
OGN 김동준, 이현우
SPOTV GAMES 강승현, 하광석
}}}}}}}}} ||
일정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정규시즌 1라운드
1월 17일 ~ 3월 2일
2라운드
3월 2일 ~ 4월 2일
포스트시즌 와일드카드전
4월 7일
플레이오프 1라운드
4월 11일
플레이오프 2라운드
4월 15일
결승전
4월 22일
결승전 대진
SKT vs KT
경기장
인천삼산월드체육관
}}}}}}}}} ||
일정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04050><colcolor=white> 우승 SK telecom T1
준우승 kt Rolster
MVP 정규시즌
이민호 (SSG Crown)
포스트시즌
한왕호 (SKT Peanut)
KDA
챔피언
TOP
허승훈 (SKT Huni)
JGL
한왕호 (SKT Peanut)
MID
이상혁 (SKT Faker)
ADC
배준식 (SKT Bang)
SPT
이재완 (SKT Wolf)
}}}}}}}}} ||

1. 개요2. 참가팀3. 대회 진행4. 여담5. 논란
5.1. 7.1 버전의 밸런스 붕괴
6. 영상 및 삽입곡7. 주요 기록
7.1. MVP 포인트
7.1.1. 정규시즌
7.2. 펜타킬
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REWIND REBOOT
OGN 측 캐치프레이즈.
2017년 1월 17에 개막한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의 스프링 시즌에 대한 문서이다.

2. 참가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304050><tablebgcolor=#304050> 파일:LCK 심볼(2012~2017) 화이트.svg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

참가팀
}}} ||
파일:300px-ROX_Tigerslogo_square.pn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Samsung_Galaxy.png 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
ROX Tigers
ROX
kt Rolster
KT
SK telecom T1
SKT
Samsung Galaxy
SSG
Afreeca Freecs
AFs
파일:300px-MVPlogo_square.png 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png 파일:LongZhu Gaming 로고.png 파일:300px-Kongdoo_Monster.png 파일:300px-Bbq_Oliverslogo_square.png
MVP
MVP
Jin Air Greenwings
JAG
Longzhu Gaming
LZ
KONGDOO MONSTER
KDM
bbq OLIVERS
bbq
2017 LoL Challengers Korea Spring 참가팀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3. 대회 진행

3.1. 정규시즌

파일:LCK 심볼(2012~2017) 화이트.svg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
정규시즌 순위표
순위 세트 득실 득실차 연속 비고
1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T 16 2 32-10 +22 2승 우승
2 파일: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 로고.png SSG 14 4 30-12 +17 7승 경고 누적으로
1세트 차감
3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KT 12 6 29-15 +14 2승 준우승
4 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 AF 10 8 24-21 +2 1패 TB 승
경고 누적으로
1세트 차감
5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MVPlogo.png MVP 10 8 23-21 +2 3패 TB 패
6 파일:300px-ROX_Tigerslogo_square.png ROX 8 10 21-26 -5 2패
7 파일:LongZhu Gaming 로고.png LZ 8 10 20-25 -6 4패 경고 누적으로
1세트 차감
8 파일:300px-Bbq_Oliverslogo_square.png bbq 5 13 16-28 -12 1패
9 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png JAG 4 14 14-30 -16 1승 잔류
10 파일:380px-Kongdoo_Monster_allmode.png KDM 3 15 12-33 -21 1승 강등
보라색: 결승전 직행 | 파란색: PO R2 진출 | 초록색: PO R1 진출
연두색: W.C 진출 | 노란색: LCK 잔류 | 빨간색: 승강전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LCK 심볼(2012~2017) 화이트.svg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
정규시즌 경기 일람
R1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결산
R2 6주 7주 8주 9주 10주 결산
포스트시즌 경기 일람

3.2. 포스트시즌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700><table bordercolor=#304050> 파일:LCK 심볼(2012~2017) 화이트.svg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
포스트시즌 대진표
}}} ||
WC PO R1 PO R2 결승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T
1위
결승전
4/22 17:00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3 : 0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파일:Samsung_Galaxy.png SSG
2위
PO R2
4/15 17:00
파일:Samsung_Galaxy.png 0 : 3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KT
3위
PO R1
4/11 17:00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3 : 0 파일:300px-MVPlogo_square.png
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 AFs
4위
WC
4/7 17:00
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 0 : 2 파일:300px-MVPlogo_square.png
파일:300px-MVPlogo_square.png MVP
5위

파일:LCK 심볼(2012~2017) 화이트.svg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
포스트시즌 경기 일람
포스트시즌 결승전
포스트시즌 결산
정규시즌 경기 일람

3.3. 결승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결승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승강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17 LoL Champions Korea Summer/승강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여담

규정과 관련해 자세한 내용은 롤 공식 홈페이지 규정집 참조.
  • 이번 시즌부터 밴 개수가 기존 6개에서 10개로 변경되어 밴픽 과정이 변화했다. 자세한 사항은 # 참조.
  • 역대급 대규모 이적에 힘입어 역대 롤드컵 MVP를 수상한 한국인[1]들이 모두 리그에 참가한다.
  • 메인 스폰서십이 광동제약과 제닉스 두 회사로 나뉜 최초의 리그이다. 예전 리그들이 타이틀 스폰서십 회사를 연도 앞에 붙여 공식 명칭을 정했던 것과 달리, 이번 시즌은 2017 LCK 스프링을 공식 명칭으로 정했다.
  • 화, 수, 목, 토, 일 주 5일 경기가 편성되며 수, 목, 토는 OGN에서, 화, 일은 SPOTV GAMES에서 생중계한다. 매 2경기씩 오후 5시와 8시에 진행된다. 중계진 배정은 아래 표와 같다. [2]
파일:LCK 심볼(2012~2017) 화이트.svg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 일별 주관 방송사 및 중계진
요일 OGN SPOTV GAMES
김의중, 김동준, 이현우 성승헌, 강승현, 하광석
전용준, 김동준, 이현우 이기민, 해설 2명 무작위
성승헌, 해설 2명 무작위
이기민, 해설 2명 무작위
김의중, 김동준, 이현우 성승헌, 강승현, 하광석
• 하늘색: 생중계, 분홍색: 온라인 동시 중계
  • 저번 시즌에 이어 OGN은 생중계를 진행하지 않는 화, 일에 온라인으로 중계하며 SPOTV GAMES 역시 수, 목, 토에 온라인으로 중계한다.
  • OGN은 수, 목, 토 중계 30분 전인 오후 4시 30분부터 경기 분석, 예측 프로그램인 LCK 투데이를 선보이며 토요일에는 기존의 위클리 LCK를 생방송으로 진행한다.
  • SPOTV GAMES는 화, 일 중계 15분 전인 오후 4시 45분부터 해당일 경기의 관전 포인트 및 이슈 사항을 짚어보는 LCK 프리뷰쇼를 선보이며 매 경기, 중간, 종료 후 경기 주요 장면 및 승리 요인, 승자 인터뷰를 다루는 LCK 데일리리뷰를 진행한다. 진행자는 이현경, 고인규, 신동진, 강형우.[3]
  • SPOTV가 지난 서머 해설이었던 강형우와 신동진 두 사람 모두 초보 해설자라 다소 어색했다는 지적을 반영한듯, 나이스게임TV에서 CK를 중계해 온 하광석과 강승현 해설을 기용했다. 이로 인해 나겜 해설자들에게는 다소 부하가 걸리게 되었는데, 이 해결을 위해 김동준 해설이 LCK 중계가 없는 월요일에 CK를 중계하게 되었다.
  • 6위에게 주어지던 서킷 포인트가 폐지되었다.
  • 정규시즌 순위 결정전이 시행된 최초의 시즌이다.[4]
  • 벌점에 의해 정규시즌 순위가 뒤바뀐 사례가 생긴 최초의 시즌이다.[5]

4.1. 스토브리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LCK 스토브리그/2016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논란

5.1. 7.1 버전의 밸런스 붕괴


LCK 1주차를 포함한, 7.1 패치로 진행되는 대회 전반에서 르블랑/카밀/렝가의 OP성으로 인해 밴카드 고착화가 심각하다는 의견이 있다. 1주차 결과 현재 르/카/렝을 가져간 팀은 100% 확률로 승리했기 때문에, 후픽인 레드팀 입장에서는 르/카/렝을 무조건 밴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밴카드에 변화를 주고자 르/카/렝을 하나씩 풀어보는 시도를 하고는 있지만 결론은 100% 확률로 패배인 상황. 밴 카드가 이전 룰처럼 세 개 뿐이었으면 아예 필밴챔 외에는 하나도 밴을 못하는 지독하게 불공평한 상황이 나올 수도 있었다. 물론 다섯 개인 지금도 미칠 듯이 불공평한 건 사실이라 일각에선 해당 챔피언들을 너프 안 할 거면 대회 한정으로 글로벌 밴이라도 먹여야 한다는 극단적인 의견도 간혹 나올 지경.

특히 레드팀의 3개의 벤카드 강제 소모로 인해 여느 메타보다 블루팀이 픽밴에서 갖는 유리한 점이 레드팀에 비해 극단적으로 많은데, 이를 증명하듯 1주차의 경기에서 블루팀의 승률이 유의미 하게 높다. kt나 SKT처럼 전력상 밴 카드 3장을 손해봐도 상관없는 팀의 경기를 제외하면, 레드팀의 승률은 1주차 현재 6승 12패로, 33%에 불과하다. 레드가 카밀, 렝가, 르블랑을 밴하는 구도가 고착화 된 이후로는 블루팀에서는 보통 전략적 가치가 높고, 미드 - 서폿 스왑이 가능해 심리전 걸기에 용이한 말자하를 선픽하는 픽밴 전략이 유행하고 있다. 블루가 대놓고 말자하의 라인전 카운터인 자이라를 밴하고, 말자하 그 다음 티어로 꼽히는 라이즈나 카직스, 엘리스, 바루스 혹은 레드팀 특정 선수의 전략적 픽을 밴하는데도 레드는 눈뜨고 당하고 있을 수 밖에 없다.

르블랑/카밀/렝가가 풀린 경기를 제외하면 승률은 블루팀의 승률이 5승 5패로 생각보다 밸런스가 맞는 편. 하지만 이 승률은 승이 비정상적으로 많고 저격밴이 의미없는 넓은 챔프폭을 가진 선수들이 포진한 초강팀 kt, SKT가 있어서 수치적으로 맞아 보이는 것일 뿐이다. 전력상 상대적으로 열세인 팀이 강팀을 이긴 게임은 퍼플팀이었을 때 나온게 대부분이다. 아프리카 vs kt, ROX vs 삼성이 그 예이며 특히 아프리카 vs kt 경기는 아프리카의 정글러 스피릿의 시그니쳐픽 올라프를 가져갈 수 있었던 블루팀일때는 승리를 거두었으나 곧바로 올라프를 밴 당하며 현재 밸런스 문제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SKT가 전략적으로 르카렝을 다 풀어서 르블랑 밴을 강제시킨 후[6] 승리를 거두기도 했고, 그 이후에도 렝가가 풀려 있지만 바루스를 선픽해서 블루 팀이 승리하는 패턴의 경기도 나왔고, 아프리카가 2경기 연속으로 렝가를 넘겨주고 그레이브즈로 카운터를 쳐서 SKT를 잡아낸 경기까지 나와버렸다. 패치 없이도 프로 팀들이 메타에 적응해 나가면서 렝가는 0티어에서 내려온 게 아니냐는 평가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17년 2월 10일 현재 렝가의 승률은 8승 4패 66.6%로, 1티어 챔프인건 사실이지만 필밴급 챔프라고 하기엔 포스가 떨어지는 편이다. 그리고 7.3 패치에서는 르카렝 모두가 하향되었고, 곧 LCK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7.5 패치에서 르블랑은 관짝으로 들어갔고, 렝가와 카밀 역시 OP의 반열에서는 내려온 상태이다.

6. 영상 및 삽입곡

6.1. OGN

REWIND REBOOT[7]

1월 13일, 오프닝 타이틀 티저가 공개되었다. 2017 스프링에 합류하는 kt Rolster의 서포터 조세형이 등장했다. #

1월 18일, 2차 티저가 공개되었다. 흩어진 구 ROX Tigers 선수들이 등장했다. #

  • 유튜브 오프닝 영상

[kakaotv(300249490)]
  • 카카오TV 오프닝 영상

1월 21일, 오프닝이 공개되었다. 평가는 좋은 편. 특히 전 시즌 우승 팀인 구 ROX 멤버들이 각자 이적한 팀의 유니폼을 입고 나타나서 별이 되어 흩어지는 장면으로 오프닝이 시작하는 것과, 중후반부 마린과 페이커가 단둘이서 마주하며 미소짓는 장면이 백미. REWIND REBOOT에 걸맞는 이미지 차용과[9] 적이 된 아군을 배치하는 등. 전반적으로 타이틀 롤에 걸맞는 멋진 오프닝이 뽑혀나왔다. 위클리 LCK에서 김동준해설의 평은, BGM이 빵빵 터지는 맛이 없어 아쉬운 점이 있었기에 10점 만점에 8점이라고 한다.

메이킹 영상

  • 유튜브 결승전 오프닝 영상

[kakaotv(304146241)]
  • 카카오TV 결승전 오프닝 영상

네이버TV 4월 22일 결승전 에서 공개된 영상. 첫 장면부터 페이커의 독샷이나 페이커의 꽃길과 대비되는 스맵의 빗길 및 블랭크의 원샷이 인상적이다.

6.2. SPOTV GAMES

  • 방송 시작 전 : You Me At Six - Night People #
  • 밴픽 : VOICIANS - Tweeday Theme #
1월 10일, 오프닝 타이틀 티저가 공개되었다. 지난 정규시즌 MVP이자 現 kt Rolster의 탑 라이너 송경호가 등장했다. # 사용된 음악은 Nothing But Thieves - Hanging.

-그리고 1라운드가 다 지나가도록 풀 영상 소식이 없다...-[10]

7. 주요 기록

7.1. MVP 포인트

7.1.1. 정규시즌

파일:LCK 심볼(2012~2017) 화이트.svg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 정규시즌 MVP 포인트
순위 이름 아이디 팀 명 포지션 누적 점수
1 이민호 Crown Samsung Galaxy 미드 1300
2 손영민 Mickey ROX Tigers 미드 1100
2 강민승 Haru Samsung Galaxy 정글 1100
4 이상혁 Faker SK telecom T1 미드 1000
5 고동빈 Score kt Rolster 정글 900
{{{#!folding [ 5위권 이하 선수 보기 ] 순위 이름 아이디 팀 명 포지션 누적 점수
6 장경환 MaRin Afreeca Freecs 800
6 정종빈 Max MVP 서포터 800
6 김종인 PraY Longzhu Gaming 원딜 800
9 김혁규 Deft kt Rolster 원딜 700
9 허승훈 Huni SK telecom T1 700
9 이서행 KurO Afreeca Freecs 미드 700
9 강명구 Tempt bbq OLIVERS 미드 700
13 허원석 PawN kt Rolster 미드 600
13 한왕호 Peanut SK telecom T1 정글 600
13 안준형 Ian MVP 미드 600
13 구본택 Expession Longzhu Gaming 600
17 송경호 Smeb kt Rolster 500
17 이다윤 Spirit Afreeca Freecs 정글 500
17 손민혁 Punch KONGDOO MONSTER 정글 500
20 배준식 Bang SK telecom T1 원딜 400
20 강건모 ADD MVP 400
20 엄성현 UmTi Jin Air Greenwings 정글 400
20 송용준 Fly Longzhu Gaming 미드 400
20 최현웅 Bless bbq OLIVERS 정글 400
25 박상면 Shy ROX Tigers 300
25 김한기 Key ROX Tigers 서포터 300
25 이재완 Wolf SK telecom T1 서포터 300
25 하종훈 Kramer Afreeca Freecs 원딜 300
25 김규석 Beyond MVP 정글 300
25 장용준 Ghost bbq OLIVERS 원딜 300
31 권상윤 Sangyoon ROX Tigers 원딜 200
31 조세형 Mata kt Rolster 서포터 200
31 김준형 Profit SK telecom T1 200
31 이성진 CuVee Samsung Galaxy 200
31 강찬용 Ambition Samsung Galaxy 정글 200
31 박재혁 Ruler Samsung Galaxy 원딜 200
31 오현식 MaHa MVP 원딜 200
31 김준영 SoHwan Jin Air Greenwings 200
31 전익수 ikssu Jin Air Greenwings 200
31 이성혁 Kuzan Jin Air Greenwings 미드 200
31 노회종 SnowFlower Jin Air Greenwings 서포터 200
31 이동우 Crash Longzhu Gaming 정글 200
31 이호성 Edge KONGDOO MONSTER 미드 200
31 서진솔 SSol KONGDOO MONSTER 원딜 200
31 김도엽 GuGer KONGDOO MONSTER 서포터 200
46 허만흥 Lindarang ROX Tigers 100
46 윤성환 Seonghwan ROX Tigers 정글 100
46 박종익 TusiN Afreeca Freecs 서포터 100
46 오지환 Raise Jin Air Greenwings 정글 100
46 박진성 Teddy Jin Air Greenwings 원딜 100
46 김재희 Crazy bbq OLIVERS 100
46 은종섭 Totoro bbq OLIVERS 서포터 100
46 김강희 Roach KONGDOO MONSTER 100
}}} ||
  • 포지션별 MVP 선정 횟수: 탑 44회, 정글 53회, 미드 68회, 원딜 34회, 서포터 22

7.2. 펜타킬

bbq 올리버스: Tempt 강명구 - 탈리야
Afreeca Freecs: Kramer 하종훈 - 애쉬

펜타킬 문서 참조.

8. 관련 문서


[1] 2014 시즌 조세형, 2015 시즌 장경환, 2016 시즌 이상혁.[2] 스포티비 게임즈의 경우 화, 목, 일요일 성승헌 캐스터/강승현, 하광석 해설, 수, 토요일 이기민 캐스터 고정을 제외하면 나머지 해설진은 로테이션하여 배정한다.[3] 신동진, 강형우는 격주로 출연[4] 아프리카와 MVP의 4, 5위 결정전.[5] 벌점 -1이 없었으면 롱주(8승 10패 득실 -6)가 ROX(8승 10패 득실 -5)를 두번 다 잡아냈기 때문에 승자승 원칙에 의해 롱주가 6위, ROX가 7위여야 했다.[6] OP 3개가 다 풀렸는데 블루 팀이 밴을 하지 않는다면 레드 팀이 OP 2개를 가져가서 밸런스가 무너져버리게 된다.[7] 해외로 떠났던 선수들의 복귀, 그리고 기존 팀들의 리빌딩을 함축하는 의미의 타이틀 롤이다.[8] 정확히는 2라운드가 아니라 1라운드 6주차 경기부터 변경되었다.[9] 영상을 자세히 보면 되감기하는 이미지들이 계속해서 반복된다. 내리는 눈이 아닌 올라가는 눈이라던가, 거꾸로 가는 시계라던가.[10] 사실 풀 오프닝 영상 자체는 1라운드 중반에 공개되었다. 그러나 10명의 선수들이 별 모양으로 서 있는 두 번째 티저와 본 오프닝은 스포티비 유튜브에 업로드되지 않았고, 본 오프닝 자체도 두 번째 티저에서 선수들 클로즈업 샷만 추가한 정도에 불과해서 대다수의 사람들은 오프닝이 공개됐다는 것조차 모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