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22:20:43

IRAS 00500+6713


항성은하천문학·우주론
Stellar & Galactic Astronomy · Cosmology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RoyalBlue><colcolor=#fff> 항성천문학
측광학 광도 · 별의 등급
항성
()
특성 다중성계(쌍성) · 변광성(세페이드 변광성 · 밝은 청색 변광성 · 황새치자리 감마형 변광성) · 초대질량 항성 · 쿼시 별 · 섬광성 · 청색 낙오성
항성 진화 주계열 이전 단계
주계열성
주계열성의 단계
주계열성의 종류 M형
K형 · G형
F형 · A형
B형 · O형
(차가운 준왜성)
주계열 이후
갈색왜성 특성 갈색왜성
갈색왜성의 진화 갈색왜성의 형성 과정
갈색왜성의 단계
갈색왜성 이후
갈색왜성의 종류 Y형 · T형 · L형
성단 성단(산개성단의 분류 · 섀플리-소여 집중도 분류)
밀집성 백색왜성(신성 · 찬드라세카르 한계) · 중성자별(뉴트로늄 · 기묘체) · 블랙홀(에딩턴 광도)
성간물질 성운(전리수소영역 · 통합 플럭스 성운) · 패러데이 회전
기타 분류 색등급도 · 여키스 분류법 · 하버드 분류법 · 별의 종족
은하천문학
기본 개념 은하(분류) · 활동은하핵(퀘이사) · 위성은하 · 원시은하(허블 딥 필드) · 툴리-피셔 관계 · 페이버-잭슨 관계 · 헤일로(암흑 헤일로)
우주 거대 구조 은하군 · 은하단 · 머리털자리 은하단 · 페르세우스자리-물고기자리 초은하단(페르세우스자리 은하단) · 섀플리 초은하단 · 슬론 장성 · 헤르쿨레스자리-북쪽왕관자리 장성
우리 은하 은하수 · 록맨홀 · 페르미 거품 · 국부 은하군(안드로메다은하 · 삼각형자리 은하 · 마젤란은하(대마젤란 은하 · 소마젤란 은하) · 밀코메다) · 처녀자리 초은하단(처녀자리 은하단)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화로자리 은하단 · 에리다누스자리 은하단 · 센타우루스자리 은하단 · 거대 인력체) · 물고기자리-고래자리 복합 초은하단
우주론
기본 개념 허블-르메트르 법칙 · 우주 상수 · 빅뱅 우주론 · 인플레이션 우주론 · 표준 우주 모형 · 우주원리 · 암흑물질 · 암흑에너지 · 디지털 물리학(시뮬레이션 우주 가설) · 평행우주 · 다중우주 · 오메가 포인트 이론 · 홀로그램 우주론
우주의 역사와 미래 우주 달력 · 플랑크 시대 · 우주배경복사(악의 축) · 재이온화 · 빅 크런치 · 빅 립 · 빅 프리즈
틀:천문학 ·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천문학 관련 정보
}}}}}}}}} ||
IRAS 00500+6713
파일:IRAS_00500+6713.pn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0h 54m 36.4s[나]
적위 67° 37′ 41.7″[나]
별자리 카시오페아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백색 왜성
거리 3864.41 광년[나]
1184.833492 파섹[나]
질량 1.4~[가][6] 태양질량
운동 대류속도 16000 km/s
광학적 성질
광도 11.94 태양광도[나]
명칭
Gaia DR2 526287257892412928, TYC 4296-1313-1, IRCO 2536, 2MASS J00530735+6730005
1. 개요2. 상세
2.1. 진화 과정
2.1.1. 형성 계기2.1.2. 이후 진화
2.2. 찬드라세카르 한계를 넘는 질량

1. 개요

IRAS 00500+6713 은/는 백색 왜성으로[가], 탄소, 산소, 네온, , 규소가 풍부한 별이다.

2. 상세

이 별은 X선을 많이 뿜어낸다.

2.1. 진화 과정

2.1.1. 형성 계기

이는 원래 쌍성이였던 산소 탄소 백색왜성산소 네온 백색왜성이 합쳐져서 만들어졌다는 것이 우세하며, 이로서 성운의 형성도 뒷받힘할 수 있다.

2.1.2. 이후 진화

이후 중성자별로 붕괴할 것이란 설이 유력하다. 일부 측에서는 백색왜성과 중성자별의 중간 단계일 것이란 말도 한다.

2.2. 찬드라세카르 한계를 넘는 질량

이 백색왜성은 찬드라세카르 한계를 넘어섰으며, 현재 지속적으로[9] (3.5±0.6)×10-6 만큼의 태양 질량을 잃어가고 있다.[가]
[나] https://stellarium-web.org/skysource/TYC4296-1313-1?fov=44.443&date=2024-05-14T11:59:48Z&lat=37.64&lng=127.21&elev=0[나] https://stellarium-web.org/skysource/TYC4296-1313-1?fov=44.443&date=2024-05-14T11:59:48Z&lat=37.64&lng=127.21&elev=0[나] https://stellarium-web.org/skysource/TYC4296-1313-1?fov=44.443&date=2024-05-14T11:59:48Z&lat=37.64&lng=127.21&elev=0[나] https://stellarium-web.org/skysource/TYC4296-1313-1?fov=44.443&date=2024-05-14T11:59:48Z&lat=37.64&lng=127.21&elev=0[가] https://www.aanda.org/articles/aa/pdf/2020/12/aa39232-20.pdf[6] 찬드라세가르 한계를 넘어섰다.[나] [가] https://www.aanda.org/articles/aa/pdf/2020/12/aa39232-20.pdf[9] 1 년 동안[가]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