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9 20:02:14

가짜 혜성

가짜 혜성
False Comtet
파일:post-411017-0-95170400-1715285801.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16h 54m
적위 −41° 18′
별자리 전갈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전리수소영역
산개성단
거리 6,000 광년
2,000 파섹
겉보기 크기
명칭
가짜 혜성

1. 개요2. 상세3. 구성 천체
3.1. NGC 6231(혜성의 핵)3.2. IC 4628(혜성의 꼬리)
3.2.1. 개요3.2.2. 상세
3.3. Tr 24
4. 관련 문서

1. 개요

가짜 혜성/Fasle Comet

가짜 혜성은 전갈자리 제타1과 전갈자리 제타2 근처에 있는 성단과 성운들의 집합이다.

2. 상세

가짜 혜성이라는 명칭은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이 NGC 6231 성단과 전갈자리 제타1 기준으로 북서쪽으로 퍼져 있는 산개성단들이 맨눈으로 보면 마치 4등급의 혜성처럼 보이는 점에서 붙인 이름이며, 실제로 해당 성운과 성단들은 전갈자리 OB1이라는 동일한 OB성협에 속해 있는 것이 밝혀졌다.[1]

물론 전갈자리 OB1 성협은 가짜 혜성을 구성하는 천체들만으로 구성되어 있지는 않으며, 작게는 가짜 혜성 구조를 둘러 싸고 있는 거대한 확산성운인 RCW 113 내부의 천체들, 넓게는 근처의 산개성단 NGC 6268과 거리 추정치와 기원이 비슷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Sh2-2NGC 6281도 포함된다.

3. 구성 천체

3.1. NGC 6231(혜성의 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NGC 6231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IC 4628(혜성의 꼬리)

IC 천체
IC 4627
뱀주인자리의 나선은하
IC 4628
전갈자리의 발광성운
IC 4629
Unknown[2]
RCW 천체
RCW 115
Unknown[3]
RCW 116
전갈자리의 발광성운
RCW 117
전갈자리의 발광성운
Gum 천체
Gum 55
전갈자리의 발광성운
Gum 56
전갈자리의 발광성운
Gum 57a/b
전갈자리의 발광성운
IC 4628
새우 성운
Prawn Nebula
파일:Detailed_view_of_the_Prawn_Nebula_from_ESO’s_VST.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16h 56m 54.6s
적위 −40° 30′ 44.4″
별자리 전갈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발광성운
거리 약 6,000 광년
1,840 파섹
광학적 성질
겉보기 등급 ?
규모
지름 250 광년
77 파섹
겉보기 크기 90'
명칭
새우 성운, IC 4628, RCW 116, Gum 56

3.2.1. 개요

새우 성운/Prawn Nebula

새우 성운(IC 4628)은 전갈자리 방향으로 약 6,000 광년 떨어져 있는 발광성운이다.

3.2.2. 상세

존.E 드레이어에 의해 처음 발견된 이후 E.E 바너드에 의해 재발견되어 학계에 알려졌으며, 가짜 혜성의 꼬리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성운 내부의 산개성단인 트럼플러 24, 그중에서도 2개의 O형 주계열성[4]에 의해 이온화되고 있으며, 전갈자리 OB1 성협에서 가장 활발한 별 형성 활동을 보이고 있는 지역이다.

트럼플러 24 성단을 제외하고서도, 성운 내부에서 [DBS2003] 113, 114, 117로 명명된 적외선 복사 방출 산개성단들이 관측되었으며, 강한 전파 방출이 관측되었다는 연구 결과가 존재하나, 그 근원이 무엇인지는 아직 정확한 자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주변에 위치한 밝은 성운들인 뱀주인자리 로 분자운 복합체, 전쟁과 평화 성운. 고양이 발 성운에 묻혀서 그런지는 몰라도, 거대한 겉보기크기를 가진 강한 전파, 적외선 방출 지역임과 동시에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는 등, 연구 가치가 충분하고도 남을 정도로 높은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연구된 자료가 너무나도 부족하다. 그나마, 성운의 이온화 매커니즘은 잘 연구되어 있긴 하지만, 대부분의 유명한 성운들은 연구되어 있는 성운의 구조나 형성과정등에 대한 정보는 아예 존재하지가 않는다. 일례로, RCW, Gum 목록의 성운들을 정리해 놓은 사이트에서는 새우 성운을 두고 이 지역이 지금까지 과학 문헌에서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는 것은 놀라운 일입니다.라고 서술해 놓았다. 여러모로 아직까지 알려진게 거의 없어 아쉬울 따름인 성운이라고 할 수 있겠다.

3.3. Tr 24

트럼플러 천체
Tr 23
직각자자리의 산개성단
Tr 24
전갈자리의 산개성단
Tr 25
전갈자리의 산개성단
콜린더 천체
Cr 315
전갈자리의 산개성단
Cr 316
전갈자리의 산개성단
Cr 317
전갈자리의 산개성단
Cr 317
전갈자리의 산개성단
Cr 318
전갈자리의 산개성단
Cr 319
전갈자리의 산개성단
트럼플러 24
Tr 24
파일:ic4628_colombari_1024.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16h 58m 43.1s
적위 -40°42' 18.6"
별자리 전갈자리
겉보기 등급 6.6
물리적 성질
형태 산개성단
거리 약 6,000 광년
1,840 파섹
규모
겉보기 크기 18'
명칭
Tr 24, Cr 316/318

트럼플러 24/Tr 24

트럼플러 24는 새우 성운과 새우 성운의 남동쪽에 위치한 산개 성단으로, 새우 성운을 이온화시키는 주 원인임과 동시에 전갈자리 OB1 성협에서 가장 나이가 어리고, 활발한 별 형성이 발생되고 있는 산개성단이다.

트럼플러 24는 새우 성운을 이온화시키는데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는 O형 거성인 HD 322417과 HD 152723를 비롯해, HD 152590, LS 3840, LS 3868, LS 3874등의 O형 주계열성 및 거성들과 수백개의 항성들이 포함되어 있으며[5], 자세하게 연구되지는 않았지만, 성운을 구성하는 가스에 의해 가려져 있는 수천개의 원시성과 전주계열성 역시 트럼플러 24 성단의 구성원으로 존재하고 있을 것이다.

성단의 하위 성단으로는 적외선 파장에서만 관측되는 산개성단들인 [DBS2003] 113, [DBS2003] 114, [DBS2003] 117이 존재하고 있다.

대부분의 웹사이트에서는 트럼플러 24라는 명칭과 콜린더 316이 동의어로 사용되지만, 정확하게는 트럼플러 24 성단을 의미하는 명칭은 콜린더 318으로, 콜린더 316은 트럼플러 24를 포함하는 대신, 남동쪽으로 더 넓은 범위에 확산되어 있는 산개성단을 의미한다고 알려져 있다.

4. 관련 문서



[1] 단, 전갈자리 제타2는 겉보기로만 같은 시선에 놓여있을 뿐, 실제로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항성이다.[2] 좌표상의 위치는 뱀주인자리이다.[3] 좌표상의 위치는 전갈자리이다.[4] 자세한 내용은 Tr 24 문단에서 서술하고 있다.[5] 이들중에 33개는 변광성인 것이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