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게임의 보컬곡}}}에 대한 내용은 [[젊은 날의 로큰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젊은 날의 로큰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젊은 날의 로큰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게임의 보컬곡: }}}[[젊은 날의 로큰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젊은 날의 로큰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젊은 날의 로큰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
리듬 천국 시리즈에 수록된 게임. 개굴개굴 합창단의 네 번째 백댄서가 무대에 서 춤을 추는 게임이다.2. 패턴 목록
- 한 칸에 한 박자를 나타내며, 반 박자 단위로 구분해야 할 경우 |로 표시하였다. 기본 박자를 시작하고 난 후엔 기본적으로 한 박마다 계속 입력해야 한다.
- A는 터치 또는 A버튼을 눌러야 함을 의미한다. A는 그 패턴에 종속된 A버튼이 아닌 기본박에 포함되는 A버튼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부 리믹스에서는 누르지 않는다.
- B는 터치스크린 또는 B버튼을 꾹 누르기를 시작해야 함을 의미한다.
- X는 튕기거나 B버튼을 떼어야 함을 의미한다.
- -는 아무런 버튼도 누르지 말아야 함을 의미한다.
기본 박자 | |||||||
(원!) | (투!) | (쓰리!) | (포!) | A | A | A | ... |
빠르게 3번 터치(A) | |||
A(랄) \| (랄) | A(라!) | A \| A | A |
터치하고 튕기기(B~B 떼기) | |||
A(빙) \| (그) | A(르!) | B | X |
아하! | |||
A(아) \| (하!) | A | A \| A | - |
3. 리듬 세상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00> | 리듬 세상 수록 게임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emix 7 팬클럽 2 개굴개굴 댄스 2 샤랄라 6공주 2 부품 조립 2 | Remix 2 모아이송 블루버드특공대 슈팅 리듬 랠리 | Remix 1 팬클럽 로봇 공장 코러스맨 부품 조립 | Remix 3 샤랄라 6공주 카메라맨 쿵쿵 농장 사랑의 도마뱀 | Remix 8 그림자스텝 2 로봇 공장 2 리듬 랠리 2 | ||||||
모아이송 2 격투가 2 코러스맨 2 스페이스 사커 2 Remix 9 | 수중 발레 미니 라이브 견공 닌자 개굴개굴 댄스 Remix 5 | 수행자 DJ 스쿨 응원단 두근두근 실험실 Remix 4 | 스페이스 사커 그림자스텝 로커 격투가 Remix 6 | 슈팅 2 수중 발레 2 수행자 2 로커 2 Remix 10 | |||||||
| }}}}}}}}} |
3.1. 개굴개굴 댄스
<colbgcolor=#fed915,#fed915>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ed915,#fed915> | 개굴개굴 댄스 ケロケロダンス | Frog Hop | }}} | ||
개구리들이 펼치는 활기찬 무대! 당신은 백댄서가 되어서 춤을 춥니다. 다 함께 흥겨운 공연을 만들어 봅시다! | <colbgcolor=#fed915,#fed915><colcolor=black> BPM | 156 | |||
게임 순서 | 24 | ||||
퍼펙트 보상 | 노래 「개굴개굴 댄스」 | ||||
노래 | 젊은 날의 로큰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결과 및 에필로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black> 평가 | 결과 메시지(보컬의 한마디) | 에필로그 | ||
좀 더 열심히 | "움직임이 불안했어." "경쾌함이 부족했군." "동작이 흐트러져서 아쉽네." "뭔가가 부족하다..."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아아! 으흐흑… | |||
합격 | 합격 공통 메시지 또는 참 잘했어요 메시지의 일부 | 이제부터가 시작이라구요. | |||
참 잘했어요 | "경쾌해서 몸이 들썩거려! 동작이 딱딱 맞았고, 아무튼 깔끔한 느낌이었다!" | 오빠~ 멋쪘쪄요~! | }}}}}}}}} |
한 번 구호에 따른 춤을 춘 다음에 빨리 원래 엉덩이 흔들기로 잘 복구하는 게 관건. 참고로 타이밍이 살짝 엇나가면 플레이어의 개구리가 땀을 조금 흘리는데 이건 채점 감점 요소[1]이나 너무 많이 어긋난 게 아닌 이상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고 퍼펙트 실패 판정이 아니니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일본판의 패턴과 국제판의 패턴에 차이가 있다. "불안에 떠는 청춘아 (누구나 한 번쯤은 겪는 것)" 부분에서 일본판은 '아하!'가 들어가는 반면, 국제판은 계속 정박을 유지한다. 이후 3DS로 재수록된 버전은 일본판의 패턴을 사용한다. 또, 국가별로 보컬 개구리의 입모양이 다르다.
3.2. 개굴개굴 댄스 2
<colbgcolor=#fed915,#fed915>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ed915,#fed915> | 개굴개굴 댄스 2 ケロケロダンス2 | Frog Hop 2 | }}} | ||
이번엔 연주곡이에요. 보컬은 중후하게 색소폰을 연주합니다. 캬~ 멋지다!! (연습은 없습니다!) | <colbgcolor=#fed915,#fed915><colcolor=black> BPM | 175 | |||
게임 순서 | 33 | ||||
퍼펙트 보상 | 노래 「개굴개굴 색소폰」 | ||||
노래 | 젊은 날의 로큰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결과 및 에필로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black> 평가 | 결과 메시지(보컬의 한마디) | 에필로그 | ||
좀 더 열심히 | "움직임이 불안했어." "경쾌함이 부족했군." "동작이 흐트러져서 아쉽네." "뭔가가 부족하다..."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으앗! 더 연습할게요… | |||
합격 | 합격 공통 메시지 또는 참 잘했어요 메시지의 일부 [日]安定感があって(움직임이 안정적이고) ジャンプしたくなっちゃうし、(경쾌해서 몸이 들썩거려!) 一体感も よかったなぁ(동작도 잘 맞는군.) | 나날이 발전하고 있군. | |||
참 잘했어요 | "경쾌해서 몸이 들썩거려! 동작이 딱딱 맞았고, 아무튼 깔끔한 느낌이었다!"[2] | 댄서 여러분에게 박수~! | }}}}}}}}} |
4. 리듬 세상 더 베스트 플러스
4.1. 개굴개굴 댄스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ed915,#fed915> | 개굴개굴 댄스 ケロケロダンス | Frog Hop | }}} | |||
개구리들의 활기찬 무대! 당신은 백댄서가 되어 다 함께 흥겨운 공연을! | <colbgcolor=#fed915,#fed915><colcolor=black> BPM | 156 | ||||
포인트별 타이밍 | 3번째 빙그르 돌기 | |||||
게임 순서 | 59 | |||||
노래 | 젊은 날의 로큰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결과 및 에필로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black> 평가 | 결과 메시지(색소폰의 마음) | 에필로그 | |||
좀 더 열심히 | -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아아! 으흐흑··· | ||||
합격 | 합격 공통 메시지 또는 참 잘했어요 메시지의 일부 | 이제부터가 시작이라구요. | ||||
참 잘했어요 | "움직임이 안정됐군! 게다가, 동작이 딱딱 맞았어!" | 오빠~ 멋졌쪄요~! | }}}}}}}}} |
리듬 아이템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스탠드 마이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2px" | | 올챙이 이야기 1 |
「우리도 어른이 되면 화려한 타이츠를 신고 노래나 춤, 악기 연습을 해야 해.」 「응? 진짜? 왜?」 「개굴개굴 합창단처럼 무대에서 돈을 벌어야 하니까.」 「아, 진짜~?」 |
NDS판 5-4 개굴개굴 댄스. 전술한 대로 여타 이식된 게임들과 달리 패턴이 추가 되었다. 한국판 기준 중간에 가사 "불안에 떠는 청춘아 (누구나 한번쯤은 겪는 것)" 부분에서 DS판은 정박을 유지하지만, 3DS판에서는 '아하!'가 추가되었다.
그리고 DS판의 해당 게임은 부정확 판정(살짝 박자가 어긋났을 때 땀을 흘리는 것)은 퍼펙트를 끊지 않았지만, 3DS판에선 일반 게임에선 부정확 판정은 무조건 퍼펙트를 끊는다는 게 정형화되어 땀을 흘리면 퍼펙트가 끊긴다. 덕분에 퍼펙트와 도전기차 난도는 수직 상승.
4.2. 개굴개굴 나이트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ed915,#fed915> | 개굴개굴 나이트 ケロケロナイト | Jumpin' Jazz | }}} | |||
이번에는 보컬이 중후한 색소폰 소리로 등장! 캬~ 멋지다!! 연습 없음 | <colbgcolor=#fed915,#fed915><colcolor=black> BPM | 175 | ||||
포인트별 타이밍 | 8번째 3연속 흔들기 | |||||
게임 순서 | 82 | |||||
노래 | 젊은 날의 로큰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결과 및 에필로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black> 평가 | 결과 메시지(색소폰의 마음) | 에필로그 | |||
좀 더 열심히 | -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으앗! 더 연습할게요··· | ||||
합격 | 합격 공통 메시지 또는 참 잘했어요 메시지의 일부 | 나날이 발전하고 있군. | ||||
참 잘했어요 | "안정감이 있었다! 게다가, 일체감이 느껴져 좋았다!" | 댄서 여러분에게 박수~!! | }}}}}}}}} |
리듬 아이템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색소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2px" | | 올챙이 이야기 2 |
「보컬의 색소폰 연주, 완전 멋있지 않아?」 「진짜 대박이야!」 「그런데 얼마 전에 보니까 실수로 물에 떨어뜨렸는지 엄청 당황하더라고.」 「진짜? 아, 대박! 아니, 어쩌면 좋아~!」 |
NDS판 7-3 개굴개굴 댄스 2. 개굴개굴 댄스의 강화판이다. 보컬 개구리가 노래 대신 색소폰을 분다. 노래 길이가 길어졌고 속도가 더 빨라졌다. 또한 2연속 흔들기의 빈도가 늘어났다.
음악의 이름이 '개굴개굴 SAX(saxophone)'인데, 보컬곡을 제외하면 'UFO 리듬 랠리'와 같이 유이하게 곡 제목에 영어 제목이 들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