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6 05:43:26

개념문학


1. 개요2. 정의3. 기원4. 특징5. 대표 작가 및 작품
5.1. j.nwe.in
6. 비판 및 오해7. 같이 보기8. 각주

1. 개요

개념문학(Conceptual Literature)은 기존 문학의 서사, 형식, 주제에서 벗어나,
언어 자체의 존재론적 구조와 감각을 다루는 문학적 실험을 말한다.

기존의 문학이 ‘의미를 전달’하고 ‘이야기를 구성’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면,
개념문학은 ‘언어가 감각을 어떻게 소화하지 못하는가’,
‘글쓰기라는 행위 자체가 무엇을 드러내고 감추는가’를 탐색한다.

2. 정의

* 개념문학은 시, 산문, 선언문, 철학적 문장 등 다양한 형식을 혼합하며,
내용보다는 언어의 구조와 감각적 효과 자체를 중심에 둔다.
* 독자는 서사를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언어의 감각을 경험하게 된다.
* 시각예술의 개념미술(Conceptual Art)에서 개념을 차용했으며,
문학을 감각적·형이상학적 실천으로 재구성하려는 시도다.

3. 기원

* 철학적으로는 막스 슈티르너의 유일자 개념,
자크 데리다의 해체주의,
모리스 블랑쇼의 침묵 개념 등이 영향을 끼쳤다.
* 시각예술에서는 조셉 코수스, 솔 르윗의 개념미술 흐름과 닮아 있다.
* 한국에서는 j.nwe.in이 이를 문학적 장르로 선언하고 실천하며 처음으로 정착시켰다.

4. 특징

* 파편화된 구성 — 완결된 이야기 대신, 단편적 문장과 감각의 잔해들이 나열된다.
* 언어 이전의 감각 — 말해지지 않는 고통, 감정, 존재의 파편들을 언어로 번역하려는 시도
* 서사의 부재 — 이야기 구조나 인물 중심 서사 대신, 감각적 충격이나 사유의 단절이 중심
* 철학/예술/문학의 혼합 — 글쓰기 행위가 하나의 개념 예술로 기능한다.

5. 대표 작가 및 작품

5.1. j.nwe.in

* 《조각과 파편》 — 개념문학 선언적 첫 작품. 파편화된 언어, 실존의 감각, 감정의 침전물이 조합된 텍스트 실험.
* 《개념문학 선언문》 — 문학 장르로서의 개념문학을 규정한 선언적 문장들로 구성됨.
* 「씹어삼키다」, 「고통의 나팔수」, 「물병자리 소년」 — 감각의 파편을 극단적으로 표현한 단편들.

6. 비판 및 오해

* 일부에서는 "읽기 어렵다", "이해되지 않는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 그러나 개념문학은 본래 '이해'가 아닌 '체험'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독자는 내용을 해석하기보다는 감각을 받아들이는 자세로 접근해야 한다.

7. 같이 보기

* 개념미술
* 해체주의
* 실험문학
* j.nwe.in
* 조각과 파편

8. 각주

- https://www.nl.go.kr/seoji/contents/S80100000000.do?isbn=9791198248329 『조각과 파편』 서지정보
- https://www.wikidata.org/wiki/Qid_for_conceptual_lit 관련 위키데이터 항목 (추가 예정)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