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더스 게이트 1의 동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이모엔 | 짜르 | 몬타론 | 칼리드 | 자헤이라 | 아잔티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키반 | 카게인 | 게릭 | 브란웬 | 잔 | 사파나 | |||||
민스크 | 에드윈 | 다이나헤어 | 비코니아 | 샤-틸 | 코란 | ||||||
팔도른 | 엘도스 | 예슬릭 | 퀘일 | 티악스 | 알로라 | }}} | |||||
스키 | 도른 일-칸(EE) | 니라(EE) | 라사드(EE) | 베일로스(EE) | }}}}}}}}} |
게릭(Garrick) | |
<colbgcolor=#eee,#111> 성향 | 혼돈 중립 |
종족 | 인간 |
클래스 | 바드 |
성별 | 남성 |
능력치 | 힘 14, 민첩 16, 건강 9, 지능 13, 지혜 14, 매력 15 |
1. 개요
발더스 게이트 시리즈의 등장인물.엘도스와 함께 둘 뿐인 바드 동료. 외모가 반반하고 말솜씨가 좋아서 그런지 나이 많은 여자들에게 인기가 있는 듯하다. 시리즈 내내 돈 많은 연상녀와 엮이고[1] 심지어 자헤이라와 같이 편성하면 자기 남편이 옆에 있는데도 게릭을 칭찬하는 의외의 모습을 볼 수 있다.
2. 성능
발더스게이트같은 AD&D 2nd 기반의 RPG에서 바드는 모든 일을 잘한다고 묘사되어 있지만 그 잘한다는게 일반인과 비교했을 때 그렇다는 거고 한 분야에서 정점을 노리는 고수들을 모아 모험하는 RPG에서는 뭘 해도 어정쩡해서 유용하다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2] 전사, 도둑, 마법사의 능력을 조금씩 떼어다 합쳐놓은 직업이기 때문에 파이터가 쓰는 무기를 전부 쓸 수 있고 갑옷은 체인 메일까지 입을 수 있으며 도둑 능력 중 하나인 소매치기를 쓸 수 있고 마법사의 아케인 스펠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무기 숙련도를 1점까지밖에 올릴 수 없어서 파이터의 무기들을 문자 그대로 사용만 할 수 있는 수준이고, 체인메일의 방어력과 D6의 생명점 굴림으로는 충분한 탱킹은 불가능하며, 소매치기는 씨프랑 겹치기는 해도 씨프가 소매치기보다는 함정 해제와 자물쇠 따기, 은신을 우선적으로 올린다는 점을 생각하면 같이 데리고 다녀서 나쁠 건 없지만 이걸로는 던전 탐험이 안 되기 때문에 결국 바드가 있든 없든 씨프는 있어야 한다. 마법은 주문 슬롯이 적고, 결정적으로 2판의 바드는 갑옷을 입으면 주문을 쓸 수 없다. 마법을 쓰기 위해 갑옷을 벗고 진행하자니 똑같이 갑옷 못 입고 주문 더 많은 메이지를 쓰고 만다.또다른 바드 동료 엘도스는 전용퀘도 있고(안 하느니만 못한 퀘스트지만...) 특수 능력으로 독화살 생성이라도 있는데 게릭에게는 그마저도 없어 더욱 슬프다. 그런 주제에 포트레이트는 쓸데없이 동안이라서 플레이어한테 자주 뺏긴다.
하지만 이 게임의 모든 캐릭터가 그렇듯 잘 키우면 누구라도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으며 애당초 파티 최대 정원수는 주인공 포함 6명이니 플레이어 본인의 취향에 맞는 NPC로 최대 5명 채워넣으면 되고 마음에 안 들면 그냥 안 쓰면 그만이다.
바드의 주요 특징은 레벨당 경험치 요구량이 적은 로그의 테이블을 사용하며 레벨업을 할 때의 전승지식 상승치가 높아서 중반까지만 잘 데리고 다녀도 웬만한 미확인 아이템을 그 자리에서 무상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 있다. 즉 능력치보다는 레벨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플레이어 본인의 클래스를 바드로 고르는게 비효율적일지언정 바드 NPC를 동료로 채용해서 키우는 것은 나쁜 선택이 아니라는 것. 또한 레벨을 올려서 제 구실을 하기 전 단계라도 난전 시 파티 중앙에서 바드 송으로 버프 셔틀을 할 수도 있고, 파티에 마법사가 없거나 극후반에 남아넘쳐서 팔아봤자 돈도 안 되는 1레벨 마법 스크롤을 퀵슬롯에 넣고 1회용 소모품으로 난사[3]하는 식으로 얼마든지 써먹을 구석은 있다. 오히려 엘도스는 동료로 영입하려면 게임 중후반까지는 가야 하고 12밖에 안 되는 낮은 민첩 때문에 백날 독화살 쏴봤자 빗나가는 일이 다반사라서 민첩성의 건틀렛과 미스랄 체인 메일 등 온갖 코어템을 다 몰아줘야 겨우 사람 구실을 하는 반면 초반부터 영입이 가능하고 값비싼 장비를 맞춰주지 않아도 초중반을 진행하는 데 큰 지장이 없는 무난한 능력치를 가졌으며 플레이어가 원하는대로 숙련도를 찍을 수 있는 게릭 쪽이 게임 진행의 실질적인 기여도는 더 높다고 볼 수 있다.
체인메일보다 무거운 갑옷을 착용할 수 없고 무기와 전투 숙련을 1점씩밖에 올리지 못하므로 전사들처럼 최전방에서 탱킹을 하며 말뚝딜을 하는 건 좋은 방법이 아니다. 영입 기준 소검과 석궁에 1포인트씩 숙련도가 찍혀있기는 한데 그냥 둘 다 버리고 도끼창과 양손무기 스타일에 1포인트씩 추가로 찍어서 체슬리의 분쇄기+2[4]를 쥐어주고 긴 리치를 활용한 치고 빠지기 컨트롤로 싸우는 게 제일 좋다. EE에서 추가된 엘븐 체인 메일[5] 덕분에 바드가 이 갑옷을 입고 흐려짐(Blur), 허상 분신(Mirror Image), 힘(Strength)[6], 가속(Haste)을 걸고 수면이나 매직 미사일을 뿌리며 돌진하면 도끼창만큼은 1편의 전사들이 부럽지 않을 화력을 낼 수 있다. 메이지에 비해 주문 슬롯의 수가 적고 주문을 얻는 빈도도 낮지만 빠른 성장 덕분에 BG1 정도의 저렙 구간에서는 그럭저럭 보조 주문시전자 정도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없다.[7] 어차피 BG1에서는 완드만 잘써도 한사람 역할을 할 수 있고 바드송도 저렙에서는 명중굴림 1이 아쉽고 공포면역과 사기 저하 방지도 의외로 쓸만하다.
- 바드 송 효과
클래식: THAC0 + 1, 추가 데미지 +1[8] 공포 제거, 공포 면역, 사기 저하 방지
EE: 파티의 행운 수치가 1점 증가, 공포제거 및 면역, 사기저하 방지. 행운으로 인해 내성굴림과 명중굴림에 보너스를 받고 모든 형태의 공격에서 피해 굴림에 최소 피해에 1점을 더한다. 즉 원래 1d6 피해굴림을 갖는 숏소드를 사용하고 힘에 아무런 보정치가 없는 캐릭터가 공격한다면 원래 피해는 1-6점이지만 바드송의 영향을 받으면 2-6점 피해를 주게 되는 것. 바드 레벨이 상승하면서 이 바드송의 행운 수치도 증가하지만 증가 시기가 레벨15에 행운2, 레벨20에 행운3이라서 1편에서는 사실 상 의미 없는 수치.
전투에서는 바드 송을 계속 부르지 않으면 버프가 중단 된다.[9] 바드송이 걸린 직후 원거리 무기로 한 차례 공격 후 다시 바드송을 부르고 이동을 하면 버프가 거의 유지되지만 손이 많이 간다는 단점이 있다.[10]EE: 파티의 행운 수치가 1점 증가, 공포제거 및 면역, 사기저하 방지. 행운으로 인해 내성굴림과 명중굴림에 보너스를 받고 모든 형태의 공격에서 피해 굴림에 최소 피해에 1점을 더한다. 즉 원래 1d6 피해굴림을 갖는 숏소드를 사용하고 힘에 아무런 보정치가 없는 캐릭터가 공격한다면 원래 피해는 1-6점이지만 바드송의 영향을 받으면 2-6점 피해를 주게 되는 것. 바드 레벨이 상승하면서 이 바드송의 행운 수치도 증가하지만 증가 시기가 레벨15에 행운2, 레벨20에 행운3이라서 1편에서는 사실 상 의미 없는 수치.
3. 기타
전용 퀘스트라 하기에는 뭣하지만 베레고스트에서 첫 등장 시 실케 로제나 퀘스트를 주는 인물이다. 비무장 시민 셋을 죽이도록 지시하는데 여기서 나쁜 짓이라는 걸 깨닫고 실케를 공격할지[11] 그냥 의뢰를 받은대로 시민을 죽일지 결정할 수 있다. 실케를 미리 파티원들로 둘러싸놓고 말을 건 다음 시민 편을 들어서 실케를 잡고 시민들까지 죽이면 명성 감소 없이 모든 아이템을 쓸어담고 게릭 영입도 가능하다. 참고로 실케 편을 들어 실케가 살아있는 상태에서 챕터 7까지 진행한 다음 실케와 대화를 하면 새로운 대사를 볼 수 있는데 용병 일을 비꼬는 내용으로 실케 편을 든 것을 후회하게 만든다.SoA에서는 동료로는 나오지 않지만 아스카틀라 신전 지역의 레디언드 하트 기사단 입구에서 게릭을 만날 수 있다. 아무래도 바드송 실력은 그다지 발전하지 못한 모양으로, 기사단의 여기사를 짝사랑하지만 그를 감동시킬 노래를 만들지 못해 시를 잘 쓰는 다른 노움의 도움을 받아 그가 지은 노래를 부르며 구애한다. 눈치챈 사람이 있겠지만 시라노 이야기의 패러디. 다행이라 해야 할 지 여기사는 진짜 그 노래를 쓴 노움을 찾아 행복한 결말을 맞게 된다.
4. 관련 문서
[1] 1편에서는 실케에게 휘둘리고 SoD에서는 이미 다른 여성에게 고용된 상태라서 동료 영입이 불가능하며 2편에서는 아예 본인이 귀족 여성을 꼬신다.[2] 영어권 위키에서 보이는 바드에 대한 표현은 Jack of all trade, but master of none이다. 아무 일이나 일정 수준 이상 해내지만 정작 정말 뛰어나다 할 만한 분야는 하나도 없는 것[3] 마법 스크롤을 1회성 소모품으로 사용하면 사용자의 능력에 관계없이 무조건 최대 레벨로 발동된다. 1레벨 마법사가 매직 미사일 스크롤을 찢어도 5발이 나간다는 것.[4] 설정상 무거워서 단일 피해량이 굉장히 높은 대신 라운드당 공회가 1회로 고정된다.[5] 도른 전용퀘를 하다보면 챕터 5에서 입수 가능. 원래 바드는 갑옷을 입으면 마법을 못 쓰지만 이 갑옷은 착용한 상태에서도 마법을 쓸 수 있다.[6] 주문 슬롯이 부족할테니 메이지가 대신 걸어주자.[7] 다만 주문시전자 레벨은 바드 레벨-1로 계산하므로 레벨이 높을수록 위력이 오르는 주문을 사용할 때 참고할 것.[8] 스컬드를 제외한 명중굴림,내성굴림 보너스등은 버그로 실제 적용되지는 않는 듯 하다.[9] 즉 바드송을 부르는 동안 이동 외의 다른 행동을 할 수 없다[10] 마법사로도 주문 시전 직후 움직여 한 대 때리고 다시 주문 시전 하는 방식으로 동일한 짓이 가능하다.[11] 실케는 10레벨 바드로 1편 기준으로는 꽤 강하니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