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6 20:36:11

경북대학교/학부/첨단기술융합대학/우주공학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경북대학교/학부/첨단기술융합대학
경북대학교 우주공학부
慶北大學校 宇宙工學部
KNU School of Space Engineering Sciences
<colbgcolor=#DA2127><colcolor=#fff> 연혁 2024년 3월 1일
학부장 김법렬 교수
주소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80 복현회관
링크 경북대학교 우주공학부 공식홈페이지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우주공학부 홍보동영상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1]
학생회 인스타그램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2]
1. 소개2. 전공 및 수업3. 교수진
3.1. 김법렬 교수3.2. 이규만 교수3.3. 최윤석 교수3.4. 박성현 교수3.5. 차지훈 교수
4. 취업 및 진로5. 여담


파일:경북대학교 우주공학부.png

1. 소개

경북대학교의 첨단기술융합대학 우주공학부.

2024년 3월 첨단기술융합대학 내 우주공학부로 개설
2024년 학부생 입학정원 80명 선발
2025년 첨단기술융합대학 자율학부1(우주공학부/스마트모빌리티공학과/로봇공학과) 통합 선발(160명)

2. 전공 및 수업

  • 현재 전임교수 5명, 학부생 (2학년 80여명), 석사과정 대학원생 10여명이 우주항공공학 분야의 다양한 연구와 교육에 힘쓰고 있다.
  • 우주공학부는 미래 우주분야의 핵심 경쟁력 확보를 위해 우주탐사·과학, 우주개발 기술고도화, 우주기지건설 등의 다학제적 전문성을 갖춘 우주 인재를 양성하는 학과
  • 항공·우주(발사체, 인공위성), 우주건설(기지시공, 극한재료·구조, 첨단설비·환경), 미래 우주항공 모빌리티, 우주로봇(시공로봇, 유지보수로봇, 탐사로봇, 관측로봇, 채굴로봇) 등 첨단 다 학제 우주지식을 융합하여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우주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및 연구 진행
  • 우주선, 인공위성, 발사체, 우주건설, 우주로봇, 우주에너지, UAM 등 첨단 우주분야를 선도 할 수 있는 전공능력을 배양하고 글로벌 우주산업 발전에 기여 하는 미래 인재를 양성을 목표

1) 항공우주공학
공기역학, 구조역학, 추진공학 및 제어공학의 기초학문 학습을 통하여 항공기, 우주선, 인공위성, 우주발사체 등의 설계, 제작, 운영 및 유지를 위한 기술적 능력을 함양한다.

2) 우주기지건설
월면과 같은 극한환경을 고려한 축조물 설계, 시공 및 운영 요소기술을 지식체계로 학습하며, 극지에서 적용 가능한 스마트 기술을 적용하는 과학적 및 기술적 능력을 함양한다.

3) IT, AI 및 로봇
우주공학 뿐만 아니라 여러 분야에 필요한 전기전자공학, 컴퓨터과학 및 인공지능, 기계공학 및 로봇공학과 관련된 기본 지식체계를 배운다.

3. 교수진

3.1. 김법렬 교수

  • 구조공학 전공 (인공지능응용 및 구조설계)
  • 중앙대학교 건축공학 학사, 연세대학교 구조공학 석사, Lehigh University 구조공학 석사, HongKong University 구조공학 박사
  • Physical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Lab(PAIA LAB)
  • 학부 강의과목: 축조역학, 극한재료역학, 지능형시스템
  • 대학원 강의과목: 스마트모빌리티시티, 고급인공지능특론
  • 우주공학부 학부장, 대학원 융합안전공학과 학과장, 경북대학교 로봇 및 스마트시스템공학과 겸무, BK21 빅데이터 기반 무인이동체 교육연구단 단장

3.2. 이규만 교수

  • 항공우주공학 전공 (무인 항공기, 로봇비전)
  • KAIST 항공우주공학 학사, Georgia Tech 항공우주공학 석사, Georgia Tech 수학 석사, Georgia Tech 항공우주공학 박사
  • 항공로봇연구실(Aerial Robotics Research Fability, ARRF)
  • 학부 강의과목: 비행동역학 및 제어, 유도항법제어, 우주항공 컴퓨터비전
  • 대학원 강의과목: 컴퓨터비전 특론, 머신러닝 특론, 우주항공 고급수학
  • 전) 실리콘벨리 드론 스타트업 CTO
  • 경북대학교 로봇 및 스마트시스템공학과 겸무, 대구시 UAM 육성협의회 위원, NASA JPL 방문교수,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학술이사, 경북대학교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단장

3.3. 최윤석 교수

  • 항공우주공학 전공 (우주모빌리티 설계, 구조설계, 에너지시스템 설계, 풍동시험)
  • KAIST 기계공학 학사, KAIST 해양시스템공학 석사, KAIST 기계공학 박사
  • 첨단 우주항공 모빌리티 연구실(Innovative Aerospace Mobility Lab, IAM Lab)
  • 학부 강의과목: 우주항공 열역학, 수치해석, 우주항공 모빌리티
  • 대학원 강의과목: 우주항공 모빌리티 설계특론, 우주항공 첨단재료, 우주항공 유한요소해석
  • 전) 공군사관학교 조교수/부교수, 공군사관학교 항공우주연구소 풍동실험실 과제관리 및 운영 담당
  • 경북대학교 로봇 및 스마트시스템공학과 겸무,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학술이사, 경북대학교 항공드론혁신융합대학사업단 부단장

3.4. 박성현 교수

  • 항공우주공학 전공 (재진입 우주파편, 공기열역학, 고속공기역학)
  •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공학 학사, KAIST 항공우주공학 석사, KAIST 항공우주공학 박사
  • 우주 및 열유체 공학 연구실
  • 학부 강의과목: 우주항공 동역학, 우주항공 공기역학, 우주항공 열전달
  • 대학원 강의과목: 우주비행체 설계 프로젝트, 극초음속 공기역학
  • 전) EPFL Post Doc., DLR Post Doc., ADD 선임연구원
  • 경북대학교 로봇 및 스마트시스템공학과 겸무

3.5. 차지훈 교수

  • 항공우주공학 전공 (우주 구조 및 다기능 복합재료)
  •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공학 학사, KAIST 항공우주공학 석사, KAIST 항공우주공학 박사
  • 우주복합재료 연구실
  • 학부 강의과목: 기지극한재료, 우주선 진동공학, 자동축조, 기지충격해석
  • 대학원 강의과목: 우주시스템개론 특론, 고분자하이브리드소재연구
  • 전) KAIST 박사후연구원, 조선대학교 조교수

4. 취업 및 진로

- 진학(대학원 및 유학) 또는 우주분야 관련 산업체 및 연구소 취업

- 우주공학기술자, 항공공학기술자, 인공위성개발원, 위성관제원, 발사체기술연구원, 우주전파예보관, 우주기지건설연구원, 항공운항관리사등 우주직업시대 전망
  • 기업체 : 항공, 우주, 로봇, 인공지능, 건설, 방위산업과 관련된 업체
  • 연구소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천문연구원, 항공안전기술원, 국방과학연구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국방연구원, 건설기술연구원, 한국재료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 대학원 진학 : 대학원 및 유학
  • 기타 : 국방기술품질원, 한국공항공사, 인천국제공항공사, 인공위성연구센터, 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국방부, 방위사업청 등

5. 여담

- 학과 대표 행사로는 피자파티(대학원설명회)[3], 만우절 거짓말 대회[4]가 있다.

- 현재 신설된 단대 내 학과 중 가장 많은 수상 경력을 보유한 학과로, 개설 이후 각종 공모전과 대회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

- 2024년, 2025년 2대로 이어가고 있는 학과 학생회로, 2025년에 학과 인준 통과하여 공식적으로는 현재 제1대 학생회 “Lift-off”[5]라는 이름으로 출범하였다.

- 교수님들께서 학생들에게 편하게 대해주시는 편이라, 수업 외 시간에도 자유롭게 대화가 오간다. 특히 한 교수님의 유쾌한 카카오톡 말투가 학과 내에서 밈처럼 퍼지며 유행이 되었다.

- 단과대 내에서 학과 동아리 [6] [7] [8] [9] 가 가장 많아, 자율학부 학생들과도 특히 친하다는 말이 있다.


[1] 학과 홍보동영상[2] 궁금한게 있다면 언제든지 질문해보자[3] 경북대학교 센트럴파크에서 2024년(1학기, 2학기 총 2번 진행), 2025년(1학기, 2학기 총 2번 진행) 총 4회 진행되었다.[4] 메모지에 각자만의 거짓말을 써 화이트보드에 붙여 모은 후 가장 웃긴 거짓말에 투표해 순위를 정하는 학과 대표 만우절 행사이다.[5] “Lift-off”는 새로운 도약과 시작을 의미하며, 총 9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회장, 부학회장, 2학년 과대표, 기획부 3명, 홍보부 2명, 재정부 1명)[6] 경북대학교 우주공학부 창의융합설계동아리 KNUIS : (홈페이지), (인스타그램)[7] 경북대학교 우주공학부 드론동아리 KRONE : (인스타그램)[8] 경북대학교 첨단기술융합대학 풋살 동아리 NOVA : (인스타그램)[9] 경북대학교 우주공학부 로켓 동아리, 전산유체해석 동아리, 배드민턴 동아리, 등산 동아리, 농구 동아리, 밴드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