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29 02:12:19

고려독립청년당



1. 개요2. 배경3. 창설 및 활동

[clearfix]

1. 개요

1944년 12월 인도네시아 자바에서 군무원으로 동원된 한인 청년들이 일본군에 저항하기 위해 결성한 단체.

2. 배경

1941년 일본의 진주만 공격으로 인해 태평양전쟁이 발발하였고 많은 한인들은 일본에 의해 징집되어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에 강제로 파견되었다. 당시 전쟁에서 연합국 병사 26만 명 이상이 일본군의 포로가 되었으며 이에 일제는 연합국 포로감시원으로 한국인들을 강제동원하였다. 일제는 1942년 5월부터 육군성의 계획에 따라서 조선에서 포로 감시원들을 징집한 후 약 3000명의 한인 청년들을 부산에서 훈련시켰다. 교육을 마친 3000명의 한인 청년들은 그해 8월부터 동남아로 파견되었고 그 중 1400명은 인도네시아에 도착하였다.그럼으로서 인도네시아 지역에서도 징집된 한인들을 중심으로 일제에 항거하는 항일운동이 전개되었다.

3. 창설 및 활동

1942년 9월 14일 강제동원된 한국인 군무원들은 1400명은 인도네시아 서부 자바의 딴중 쁘리옥항에 도착하였다. 인도네시아 자바에 동원된 한인 포로 감시원들은 연합군 포로들을 감시하는 임무를 맡게 되었고 1944년 6월까지 포로 감시원으로 수행하였다. 그러나 일본군은 임기가 만료되었음에도 징집된 한인들을 돌려보내주지 않았고 그로 인해서 한인들과 일본군의 갈등은 더욱 심해지기 시작하였다. 더욱이 한인 군속들은 일본의 패망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항일조직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고 자카르타 지역 내에서의 조직을 결성하기 위해 준비하였다. 이 과정에서 이억관이 한인 군무원들을 지휘하며 지도적 역할을 맡게되었다. 마랑주 스모워노의 교육대에서 재훈련을 받고 있던 한인 연합군 포로감시 군속들은 1944년 12월 29일 교육대 취사장의 뒤에서 한인들은 이억관을 중심으로 고려독립청년당을 조직하였다. 이들은 강령, 선언문, 당가까지 작성하였다. 당시 고려독립청년당은 총령에 이억관, 군사부장에 김현재, 조직부장에 임헌근, 세마랑지구 책임자에 이상문, 암바라와 지부장에 손양섭, 암바라와 부지부장에 조규홍, 자카르타 지부장에 문학선, 자카르타 부지부장에 백문기, 반둥 지부장에 박창원, 반둥 부지부장에 오은석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출처]

1945년 1월 3일 암바라와 분견소에서 말단조직을 결성하고 항무장투쟁을 준비하며 지하공작을 하던 손양섭을 포함하여 한인 군무원 6명이 말레이에 위치한 포로수용소로 갑자기 전속 명령을 받게 되었다. 1월 4일 전속 명령이 내려지고 이억관은 지부장이었던 손양섭과 그가 포섭한 세포당에 소속된 민영학, 노병한 등과 함께 일본군과 상인들을 삳대로 암바라와에서 의거를 일으켰다. 손양섭, 민영학, 노병한은 차를 탈취하였고 암바라와 분견소로 향하여 무기고를 습격해 총기를 탈취하였다. 이에 출동한 일본군과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고 결국 손양섭 등은 자결을 택하였고 3일간 싸움에서 일본인 12명이 사살되었다.[출처]

암바라와에서 벌어진 의거 이후 일본군은 한인 군무원들의 저항이 두려워 대규모 전속을 실시하였다. 이를 거부한 이억관을 비롯한 고려독립청년당의 조직원들은 딴중 쁘리옥 항구에 정박하고 있던 일본 선박을 탈취하기로 계획하였다. 그러나 사전에 이 계획이 누설되면서 일제에 의해 고려독립청년당이 적발되고 조직은 와해되었다. 청년당에 연루된 10명은 자카르타 일본군사령부로 끌려와 군사재판을 받았고 당시 총령이었던 이억관도 체포되며 고려독립청년당은 사실상 해체되었다. 암바라와 의거에서 순국한 손양섭, 노병학, 민영학 3명의 독립운동가들을 위해 광복 후인 1946년 1월 6일 현지 조선인민회에서 위령제를 거행하였다.[출처]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출처]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