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23:14:18

고리짝

파일:external/www.chunghyeon.org/hfam_exh3_8.jpg
충현박물관 소장 고리짝.
고리짝은 고리를 낱개로 부르는 낱말이면서 고리와 동의어이기도 하다. 버드나무갈대대나무나 왕골 등 탄력이 있는 오리를 엮어서 상자 같이 만든 가구다. 고리상자, 동고리, 떡고리, 버들고리, 고리짝고리, 버들고리짝 등으로도 부른다. 중요무형문화재 제103호 완초장 이상재씨의 작품들

쓰임새는 음식이나 옷감, 책 등을 담는 상자 역할이지만, 무속에서는 악기로 쓰이기도 한다. 악기로 쓸 때는 고리짝의 튀어나문 부분을 오동나무 채로 긁어대며 무가나 경문을 읽는다. 고리짝이 없으면 키로 대신하기도 하는데, 일제시기의 학자 이능화는 만주족에 비슷한 풍속이 있다는 점에 근거해 여진의 풍속이 넘어온 것으로 보기도 했다. 다만 과거 유기를 여진계 유랑민인 양수척들이 많이 만들어 쓰긴 했지만 이는 가벼워서 잦은 이동 생활에 편리했기 때문이고, 양수척이 아니라도 유기는 많이 사용했다. 즉 물증은 없다.

'옛날 옛적 고릿적에(고려 적에)'라는 관용구가 와전되어 고리짝이라고 쓰이는 경우가 있다.

한자로는 (栲栳·𥬯䇭)라고 하며 일본어로는 코:리(こうり)라고 한다. 한자어와 일본어가 뜻이 같은 한국어와 소리가 비슷하니 신기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