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5 20:03:00

광주원군

고려의 왕자
[[틀:고려의 왕자/국조 ~ 문종|{{{#!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6700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D00, #FFB200 20%, #FFB200 80%, #FF9D00);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조(고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의조(고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왕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문원대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대종(고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
2
성종(개령군) ·
3
경장태자
[[안종(고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정간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국왕 · 왕후 · 왕태후 · 왕태자
후궁 : 태조 ~ 예종 · 의종 ~ 공양왕
왕자 : 국조 ~ 문종 · 선종 ~ 공양왕
왕녀 : 태조 ~ 문종 · 선종 ~ 공양왕
※ 작호가 있거나 성년까지 생존한 사람만 기재
}}}}}}}}}

고려 태조의 왕자
광주원군(廣州院君)
본관 개성 왕씨
이름 미상
부왕 태조 신성대왕
모후 소광주원부인
생몰연도 ? ~ ?
1. 개요2. 생애3.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고려 태조 왕건과 제16비 소광주원부인 소생의 아들로 경기 광주의 호족(豪族) 왕규의 외손자다. 이름은 사서에 전하지 않는다.

2. 생애

이복형 혜종이 즉위한 뒤 고려의 호족들은 왕규의 개경파와 왕식렴의 서경파로 갈라져 대립하는데, 광주원군은 외조부 왕규로부터 혜종의 후계자로 지지받는다. 왕규파는 먼저 왕식렴파가 밀어주던 왕요, 왕소를 공격하기도 했으나 마침내 945년 왕규의 정변 때 제압되었고 결국 처형된다. 광주원군의 최후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정황으로 보아 역시 즉결 처형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3. 대중매체

제국의 아침에서는 단역으로 등장하는데, 왕규의 외손자라는 이유로 역적으로 몰려 처형당하는 장면만 나온다. 왕규가 광주원군을 옹립하려 했다는 대목은 왕규와 박술희의 갈등[1]을 더욱 격화시키려는 정종-광종 형제의 계략으로 묘사되는데, 이 때문에 작중에서 정종 일파에 속한 왕함민이 광주원군을 후계자로 앉히자는 내용의 상소를 올린 것을 본 왕규가 기뻐하기는커녕 이간책이라며 격노하는 장면(...)이 나온다.

퓨전 드라마 달의 연인에서는 EXO백현이 맡았다. 제10황자[2] '왕은' 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다른 형들처럼 글을 읽고 사색하는 것보다는 장난치고 노는 것을 더 좋아하는 철부지로 나온다. 박수경의 딸과 혼인까지 하지만, 왕요(정종)가 혜종을 시해한 후 왕규의 난[3]으로 조작하자 아내와 함께 겨우 집을 빠져나와 다미원에 숨어있다가 발각되어 왕소(광종)에게 베어줄 것을 부탁했고 끝내 아내와 함께 왕소의 칼 아래 죽음을 맞는다. 자세히 묘사되지는 않지만 왕은이 죽을 때 왕소가 눈물을 흘리며 오열한 것을 보면 아끼는 동생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1] 작중에서는 이 둘이 혜종을 함께 보좌하는 것이 태조의 유지인 것처럼 묘사되는데, 문제는 작중의 왕규는 군사를 전혀 모르고 박술희도 정치 감각이 아예 없다시피하다는 것이다. 게다가 왕규는 군대를 은근히 경시하기까지 하여 박술희와 계속해서 갈등을 빚으며, 결국 왕식렴의 난 때 군부 전체가 왕식렴의 편으로 돌아섬에 따라 왕규가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원인이 되기에 이른다.[2] 판타지 퓨전다운데, "제n황자" 하는 식은 몽골인이 세운 원이나 만주족의 청에서나 쓰던 방식이다.[3] 왕규와 그 일가가 처형되는 장면은 아주 짤막하게 나오는데 왕규가 죽기 전에 정종에게 손자만은 살려달라 하는 부분이 인상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