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0년,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며, 홍경래와 함게 난을 일으킬 게획을 세웠다 그는 난을 일으키키 위해 군량을 준비하고, 운산의 광산 노동자들을 모집하였다. 1811년, 난이 발발하였고, 북진군을 이끈 김사용의 모사로서 봉기의 이유와 정당성을 주장하는 격문을 작성했다. 그리고 김사용과 함께 가산, 곽산, 정주, 선천, 박천, 태천, 철산, 용천 등지의 지역을 점령하는 활약을 펼쳤다. 하지만, 곧 봉기군은 수세에 몰리게 되고, 이후 김창시는 함종부사 윤욱렬의 군에 쫓기다 결국 1812년에 철산에서 농민 조문형에게 살해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