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8 21:59:08

김호(1864)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정대필
金濩[1]로 표기한 문헌도 있다.]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출생 1864년 12월 19일
경상도 거창도호부 하가남면 석강리
(현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석강리 1279번지)
사망 1930년 4월 2일 (향년 65세)
경상남도 거창군
본관 상산 김씨[2]
묘소 경상남도 거창군
상훈 2018년 대통령표창 추서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독립유공자. 2018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2. 생애

1864년 12월 19일 경상도 거창도호부 하가남면 석강리(현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석강리 1279번지)에서 태어났다.

1919년 3월 22일 거창군 읍내면 장날에 발발한 독립만세시위를 주도하여 수천 명의 시위대를 이끌고 위천면 장기리 만도정(晩嶋亭) 앞에서 6인을 중심으로 선언서 낭독식을 엄수한 후 행렬을 이루어 거창군 읍내면으로 향하였다. 시위행렬이 가조면 살피재(沙浦峴)에 이르렀을 때 거창군에 주둔하던 일본 제국 육군 헌병대와 가북면 용산리에 주둔하던 일본 제국 육군 헌병분견대가 총을 발사하여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면서 시위대는 해산되었다. 이후 체포되어 징역 1년을 선고받아 진주감옥에서 복역하였다.

출옥 후 1930년 4월 2일에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사망했다. 1977년 12월 13일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2] 한국독립운동인명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