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5 14:45:45

낙우송

낙우송
bald cypress
파일:낙우송1.jpg
학명 Taxodium distichum
분류
<colbgcolor=#d7ffce,#0f4a02> 식물계(Plantae)
분류군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겉씨식물군(Gymnospermae)
구과식물문 (Pinophyta)
구과식물강 (Pinopsida)
측백나무목(Cupressales)
측백나무과(Cupressaceae)
낙우송속(Taxodium)
낙우송(T. distichum)

1. 개요2. 상세3. 여담

1. 개요

북미 원산으로 호수나 강변에 심어 기르는 낙엽 침엽수 큰키나무이다. 보통 침엽수는 낙엽이 지지 않는 데 비해, 낙우송은 침엽수이면서도 낙엽이 지는 특이한 나무이다.[1] 이름에 -송 이 들어가지만 소나무와의 공통점은 구과식물강에 속한다는 것 뿐이라서 사람과 고양이만큼 큰 차이가 난다.

2. 상세

줄기는 높이 20-50m, 지름 5m에 이른다. 수피는 붉은 갈색, 세로로 갈라져 작은 조각으로 벗겨진다. 어린 가지는 녹색이다. 잎은 어긋나며, 홑잎이지만 여러 장이 깃털 모양으로 붙고, 선형으로 길이 1.5-2.0cm, 밝은 녹색이고 얇다. 잎은 가을에 황갈색으로 단풍이 들어 낙엽처럼 떨어진다.

파일:낙우송 뿌리.jpg

특이한 점은, 크게 자란 낙우송은 뿌리가 땅에서 튀어나와 공기뿌리를 만든다는 것이다.

꽃은 4-5월에 핀다. 수꽃차례는 가지 끝에 발달하며, 아래로 드리우는 원추꽃차례로서 길이 1.5-2.0cm, 자주색이다. 열매는 구과이며, 둥글고, 지름 2-3cm이다.

메타세쿼이아와 유사하지만 잎과 열매 모양이 조금씩 다르다. 메타세콰이아의 경우 잎이 서로 마주보는 것처럼 균등하게 자라는 반면, 낙우송의 경우 잎이 서로 어긋나게 자란다.

수명이 매우 긴 나무로, 확인된 개체 중에 가장 오래 산 것은 2,649세라고 한다.

3. 여담

  • 공기뿌리 때문에 정원수나 가로수로서는 기피되는 편이다. 비슷한 모양에 공기뿌리도 없고 낙엽도 훨씬 붉은 메타세쿼이아를 심으면 되기 때문이다. 애초에 메타세쿼이아가 가로수로 유명해진 것도 바로 이 때문. 그래서 낙우송은 공원의 연못 근처에 심는 정도로만 심으며, 그밖에 목재는 건축재, 토목재, 가구재로 활용된다.
  • 멕시코낙우송(Taxodium mucronatum) 혹은 몬세주마 낙우송이라는 종은 상록이며, 멕시코의 국목이다. 세계에서 가장 굵은 나무인 아르보 델 툴레가 멕시코낙우송이다.

[1] 낙우송과 유사한 메타세쿼이아도 겨울에 낙엽이 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