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10-01 18:27:32

노멀음


1. 개요2. 같이 보기

1. 개요

Normal+音

시코 및 여러 포터블 음향기기(헤드폰 등) 커뮤니티의 트래픽을 증대시키는 중요떡밥 중 하나. MP3 플레이어 등에서, 기종별로 모든 설정을 끄거나 0으로 세팅했을 경우의 음색을 말한다.[1] 종종 플라시보 효과나 기기의 디자인같은 요소와 연계되어 어떤 회사는 답답하고, 어떤 회사는 청명하다는 편견을 만들어내게 되었으며, 특정업체의 사주를 받은 작전세력이 티 안 나게 숨어들어 경쟁업체에 모략을 가하는 일도 빈번했다고 카더라.

코원의 제품이 '볼륨의 크기에 비해 답답하다'라는 소리를 들었던 대표적인 경우다. 당시 휴대용 음향기기 제조사들 중에서 코원의 볼륨커브는 매우 특이한 것으로서, 다른 회사에서 만든 제품의 경우 볼륨을 한칸 올릴 때마다 늘어나는 출력량이 등차수열로[2] 늘어난다면 코원은 등비수열로[3] 상승한다. 때문에 코원 기기들의 최대출력은 상당히 높은 편[4]이지만, 중간 이하의 볼륨 수치에서는 다른 회사보다 출력이 낮으며, 저음강조가 주된 마케팅이슈이자 정체성인 BBE 음장 등과 맞물려 코원은 답답하다는 얘기를 듣게 되었다. 그러나 블라인드 테스트를 비롯한 여러 테스트를 거치자 코원의 음량조절은 일관되게 개념이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나게 된다.[5][6]

2007년 말엽부터는 전문적인 지식[7]을 갖춘 시코의 몇몇 유저들이 이것을 실증적으로 밝히려는 시도를 시작한다. ABA셀렉터나 RMAA 등 간단한 테스트 툴 및 측정의 방법론이 이 시기에 확립되었으며, 또한 몇몇 기종들은 실제로 노멀음이 다르게 세팅되어 있었다는 (즉 제조사에서 일부러 왜곡을 걸어 놓았다는) 사실 또한 밝혀졌다.[8] 또한 코원의 경우에는 무부하 상태에서는 우수한 측정값이 나타났으나, 실제 사용하는 대부분의 환경[9]에서는 상당히 좋지 않은 측정값이 나타났다.#

상당히 오래전에 출시된 기기일수록, 40옴 이하의 측정값이 좋지 않은데 이유는 간단하다. 임피던스가 내려갈수록 저음에 해당하는 낮은 주파수에선 높은 출력을 요구한다. 당시의 포터블 기기는 거치형 기기들처럼 높은 콘덴서를 사용하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두드러진다. 현재의 대부분 기기는 크로스토크 성능이 상당히 준수한 상태로, 코원 역시 준수한 수치를 보이고 있다.

2. 같이 보기



[1] 사실 음색은 스피커에 따라서 크게 영향을 받는 부분이다. 스피커에 따라서 이퀄라이저 설정을 달리 세팅해야 하는 경우가 부지기수.[2] 그래프를 그리면 (계수가 양수인) 1차함수처럼 직선으로 상승한다.[3] 그래프로 그리면 (계수가 양수인) 2차함수처럼 휘어지면서 올라간다.[4] 기기볼륨을 가장 높인 상황에서 비교할 경우 전반적으로 가장 출력이 높다.[5] 인간의 귀는 음량의 변화를 로그스케일로 인식하기 때문에 코원의 방식이 보다 인간공학에 부합한다. 또한, 입력감도를 비롯한 이외의 요소도 물론 작용하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나오는 소리크기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 임피던스가 40Ω미만인 보급형 이어폰과 높게는 200Ω에 달하는 고급기 모두에 걸쳐 듣기에 적정한 음량으로 울려주는 장점도 있다.[6] 2011년에 들어서는 시판되는 휴대용 감상기기 중 마데전자저가형 몇가지를 제외하고는 모두 상술한 코원의 방식과 동일한 볼륨커브를 사용하게 되었다. 인간의 청각 특성과 베버의 법칙 혹은 스티븐의 power law를 생각하면 이는 당연한 귀결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음량이 10dB 증가하면 두 배 큰 소리로 인식하고 3dB 증가하면 '소리가 커졌다'는 것을 명확히 인식할 수 있다. dB는 로그 스케일을 사용하므로, 볼륨을 한 칸 올릴 때마다 dB가 등차수열로 증가하려면 출력은 등비수열로 증가해야 한다.[7] 전자공학, 음압 측정법 등등.[8] 특히 일본S모 회사가 그러한데, 보급형 이어폰에서의 저음 감쇄 현상을 고려하여 저음부를 일부러 강조했다는 말이 있다. 하지만 저음부의 고의적인 증폭을 제외하면 이 회사의 기종들은 RMAA 측정에서 우수하게 나오는 편이다.[9] 40옴이하의 리시버 직결.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