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달마
불교 선종의 창시자 달마(達磨)를 일본식으로 읽은 발음이다.2. 일본의 장식물 겸 장난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다루마(장난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다루마(장난감)#|]][[다루마(장난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ROOTS26의 캐릭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ARUMA#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ARUMA#|]][[DARUMA#|]]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도착증 중 하나
사지가 절단된 사람에게 호감을 느끼는 acrotomophilia(절단애호증)의 대상자를 남성향에서 부르는 용어. 팔, 다리가 없는 모습이 2의 장난감과 닮았다고 해서 그렇게 불린다. 여성향에서는 테디 베어라는 은어로 통한다.영어로는 quadruple amputee(사지절단) 내지는[1] 원어를 살려 daruma라고 부른다.
한고조 유방의 아내였던 여태후는 아들인 혜제를 태자에서 폐위시키고 자신의 아들인 유여의를 태자에 책봉하려는 술책을 꾀했던 척부인의 두 귀를 불로 지지고, 벙어리가 되는 약을 먹이고, 두 눈을 파낸 뒤에, 사지를 자르고 돼지우리에 버려 분뇨 속에서 고통 속에 몸부림치게 했다고 한다. 다만, 그 광경을 본 여태후의 아들이자 유방의 아들인 혜제는 심적으로 충격을 받아 정사를 돌보지 못하고 술로 지새우다가 6년 후에 세상을 떴다.
이 취향 만화책으로는 오카 슨도메의 19금 상업지 메비나들의 오후(姬雛たちの午後)가 한글로 번역되어 있다. 영화에서는 흑기사(몬티 파이튼의 성배)가 대표적이다.
5. 원피스의 등장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달마(원피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달마(원피스)#|]][[달마(원피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검객이문록 소생하는 창홍의 칼날의 등장인물
성우는 노다 신이치.
7. 웹툰 외모지상주의의 등장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다루마(박태준 유니버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다루마(박태준 유니버스)#|]][[다루마(박태준 유니버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보통은 그냥 amputee(절단)로 줄여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