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11:24:50

다르마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선종의 창시자에 대한 내용은 달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Massive New Krew의 곡에 대한 내용은 Dharma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Dharma2. 법의 신

1. Dharma

산스크리트어달마라고도 한다. 한자문화권에서는 (法)이라고 번역한다. 카르마(업)와 마찬가지로 인도 신화와 인도 철학에 나오는 주요 개념이다. 그러면서, 고대 수메르의 '메'(me)와 중국의 '도'(道), 이집트의 '마트'(matt) 및 베다의 '르타'(rta)처럼 존재하는 사물의 본질적인 법칙이자 우주 삼라만상의 질서와 같은 것이며, 우주의 질서를 유지하는 의무와 같다고 한다.

다르마는 여러 가지로 해석되는 개념이다.
  • 윤회사상에 나오는 우주의 법칙
  • 인도의 의례와 통과 의례(베다)
  • 개인 행동으로서의 요가
  • 아힘사(비폭력)와 같은
  • 법과 정의
  • 산야사와 아슈라마
  • 스승으로부터의 배움과 같은 의무
  • 세상의 실상
  • 존재하는 무언가의 상태
  • 현상(phenomena)[1]

보통 힌두교에만 나오는 개념으로 생각하지만 기원전 6세기~5세기(십육대국시대)에 나타난 불교자이나교에도 있는 개념이다. 한자문화권에서 다르마를 (法)이라고 하는 것도 불교의 '다르마'를 한자로 바꾼 것이다.

그러면서, 산스크리트어으로는 '나르다', '붙잡다'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한다. 힌두교에서의 다르마는 일반적으로 '인간의 참된 본질'을 정의하는데 관계되는 용어로 '의'(義), 즉 인간도덕윤리의 기초, 우주법칙, 그리고 모든 종교의 기초를 뜻한다. 그렇기에 힌두교에서는 자신들의 전통을 '사나타나 다르마', 즉 '영원한 종교'로 부른다. 다르마가 각 개인에게 적용되는 용어로 사용될 때는 카르마, 즉 인간 행위의 '업'(業)이라는 뜻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게 된다. 왜냐하면, 인간 행위의 규범으로써의 다르마는 카르마라는 인간 행위를 수반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며, 따라서 정의롭고 올바른 행위, 곧 선업(善業)을 행하는 것은 바른 다르마를 수행하는 길이 된다.

불교에서의 다르마는 여려가지 의미로 사용되는데, 우선 우주적인 법칙으로써 말하는 다르마는 이 세계를 넘어서서, 또는 이 세계의 배후에 존재하는 법칙으로, 인간 행위인 카르마의 결과에 따라 환생이 결정되는 법칙을 의미하나, 또 한편으로는 이 '법칙으로써의 다르마'를 깨달은 부처의 가르침을 의미한다고 한다.[2] 그렇기에 불교에서 말하는 다르마는 우주적인 진리를 뜻하며, 붓다가 탄생하기 이전에도 존재했던 영원한 진리가 되는 것이고, 그 진리 속에서 불자들은 안식을 취하게 된다고 한다.

거기에 불자들에게 있어서 행위의 규범이 되기도 하며, 사건의 일반현상이나 사물의 실재가 드러나는 것을 뜻하기도 하고, 인간의 정신작용으로 나타나는 사고의 대상을 뜻하기도 하는 등, 감각적•정신적 모든 존재들의 요소를 의미하고 이 세계의 삼라만상과 모든 존재가 조건에 의해 어떠한 현상을 나타내는 것 혹은 모든 존재(현상)이 곧 다르마이며 연기이며 공(空)이라 할 수 있고 세계의 모든 존재는 다르마, 이 연기가 바로 공이고 모든 존재는 법칙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며 삼라만상은 연기하는 다르마, 이 세계의 일체는 연기하는 다르마가 있고 있다고 하는 모든 것이 다르마로 존재한다.

카르마가 이미 정해진 숙명을 뜻한다면 다르마는 운명이고 운명과 업에서 스스로가 감당해야 할 부분이고 판단과 행동에 따라 선택되는 과정과 같고 우주 삼라만상 전체를 지탱 및 유지하고 다스리고 포괄하는 의무이며 곧 자연의 질서를 조절하는 법칙이며 법으로 사람과 우주는 조화 속에 조화를 유지하고 우주만물을 구성하는 근원적 법칙으로 자연과 인간을 포함해 모든 것은 형태가 달라도 궁극적으로는 다르마의 이치로 돌아간다고 여겨졌다.[3]

자이나교에서 다르마는 우주자연 질서이며 만물과 존재를 다스리고 지배하는 법칙, 진리, 이법이고 모든 개인이 따라야 할 의무의 길을 뜻하고 다르마의 궁극적 단계를 '시나타나 다르마'라고 부르는데 영원법칙우주의 참된 본질로 브라흐만이 만물을 형성하고 브라흐만이 형태를 변하며 만물이 생성유지, 소멸을 반복하는 진리를 뜻한다.

'있다'고 하는 세계의 모든 것이 곧 다르마이자 법이고[4] 우주인생, 삼라만상생성소멸을 관장하고 우주인생을 움직이는 원초의 원리이자 법칙,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사건과 물건의 존재 이유 및 이치이고 자연스러운 법칙을 근거로 우주만물을 존재 및 유지하게 하며 삼라만상에 존재하는 모든 법칙이라 할 수 있다.

의외로 기업을 뜻하는 firm과 어원이 같다.

2. 법의 신

다르마는 개념적인 존재지만 개념이 의신화된 경우도 존재하며, 이가 바로 법의 신 다르마이다. 명계의 신 야마와 동일시되며, 대서사시 《마하바라타》의 등장인물인 유디슈티라는 다르마 신과 쿤티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진다.

창조의 신 브라흐마가 가슴으로 낳은 아들로 다르마는 10명의 아내에게서 수많은 아들을 두었다. 그 중에 하리, 크리슈나, 나라야나, 나라가 있었다고 한다. 나라야나와 나라는 수행자가 되어 히말라야 산맥의 바다리까 아쉬람에서 고행을 하며 살았다. 이들의 1,000년 고행은 온 세상을 불태울 정도였다고 하는데, 서사 시대로 접어들어 이들은 비슈누의 화신으로 알려지게 되었고 《마하바라타》에서 나라야나는 아르주나와, 나라는 비슈누로도 여겨지는 크리슈나와 동일시되었다.

판두 왕은 저주를 받아 아이를 가질 수 없는 몸이었는데, 아이를 가지는 것은 크샤트리아의 의무였기 때문에 정비(正妃)인 쿤티에게 브라만과의 사이에서 아들을 낳아달라고 요청했다. 그러자 쿤티는 공주 시절에 성격이 까다로운 성자를 잘 모셔서, 이때문에 신을 불러 아이를 가질 수 있는 만트라를 배웠다고 고백했다. 그러자 왕은 기뻐하면서 훗날 왕이 될 후계자를 낳아달라 요청했고, 왕이 될 인물이라면 다르마를 잘 알아야 할 테니 다르마 신과의 사이에서 아들을 낳아달라고 했다. 그렇게 해서 태어난 아들이 유디슈티라이다.

유디슈티라는 쿠룩셰트라 전투 이후 왕이 되는 인물이며 아버지가 다르마 신이라서 그런지 유디슈티라는 유달리 다르마와 관련된 말을 많이 듣거나 설파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쿠룩셰트라 대전투 도중에 유디슈티라가 왕이 할 다르마를 설명하는 '산티'와 '아누샤샤나'를 듣는 것이 그 예시이다.[5]

판다바 형제가 추방된 지 12년째, 이들은 한 숲속 연못에서 물을 마시려다가 야크샤를 만나게 되었다. 야크샤는 자신이 던지는 질문에 대답해야 하고, 그냥 먹으면 죽으리라고 경고했다. 다른 형제들은 이를 무시하고 마셨다가 쓰러졌으나, 마지막으로 온 유디슈티라는 야크샤가 허튼 소리를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그가 하는 질문에 진지하게 대답해주었다. 이 대담은 《바가바드 기타》와 비슷한 역할을 하며, 인도에서 사람들이 지켜야 할 다르마가 무엇을 뜻하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야크샤는 형제들 중 한 명만 살려줄 수 있다면 누구를 살릴 거냐고 물었는데, 이에 유디슈티라는 막내인 나쿨라를 살려달라고 부탁했다. 그 말에 야크샤는 가장 강한 것도 아니고 너와 피가 이어지지 않은 의붓 남동생을 살리려는 이유가 뭐냐고 물었다.[6] 유디슈티라는 이에 '그렇기에 한 사람씩 살아있어야 공정하다'고 대답했다.

이에 야크샤는 자신의 정체가 다르마 신이라는 것을 밝히고 모든 형제들을 살려준 뒤, 남은 1년 동안 형제들이 어디를 돌아다녀도 사람들이 눈치채지 못하는 축복을 주고 사라졌다.


[1] 현상으로써의 다르마는 인간으로써의 경험을 구성하는 수많은 생각, 인식 및 사건의 일상적 존재의 기초에 해당된다. 원하든 원치 않든, 좋든 싫든, 기대하든 기대하지 않든 우리의 삶에 존재하고 갑작스러운 질병, 관계의 붕괴, 돌연사 등은 다르마의 돌파를 표현하는 것이고 영원한 법은 우리 삶 속에 파고든다.[2] 부처의 가르침은 우주의 구성 요소와 작동 방식, 종교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표현한다.[3] 그 중 인간 사회의 다르마는 윤리, 규범, 도덕, 법률 등 사회적 의무의 형태로 나타나고 이 다르마를 준수해야 사회의 조화와 안정, 나아가 삼라만상의 유지가 가능하다고 여겼는데 이는 인간 사회가 스스로 법을 만드는 것이 아닌 신과 같은 초월적인 기존의 개념을 준수해야 한다고 믿은 것이고 다르마를 따라 구현된 사회제도 증 대표적인 게 그 유명한 카스트로 각 카스트마다 따라야 하는 다르마가 각자 있었다. 간단히 말해 자기 계급에 맞는 의무를 다하여 분수를 맞게 살아야 사회가 조화를 이룸을 가르치는 것이다.[4] 인식을 작용, 대상, 기능의 각 측면에서 분석하고 존재하는 모두를 '다르마'로 분류한다.[5] 이들 이야기는 《바가바드 기타》처럼 별도의 독립된 이야기이기도 하다.[6] 유디슈티라는 다르마 신과 정비 쿤티의 아들이었고, 나쿨라는 쌍둥이 신 아스윈과 후비 마드리의 아들이었다. 어느 쪽이든 판두 왕의 아들로 입적되어 형제로 취급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