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전적 의미
주로 명사의 뜻인 "손상, 피해"만을 따 와서 쓴다. 특히 게임에서 많이 볼 수 있으나 물류나 토건 등에서도 흔하게 쓰이는 단어다.줄임말로 '뎀', '뎀지' 등이 쓰인다. 용법을 굳이 구별해보자면 뎀은 줄임말에서 접미사처럼 쓰이는 경우가 많고(예: 고정 대미지 → 고뎀, 추가 대미지 → 추뎀, 퍼센트 대미지 → 퍼뎀) 뎀지는 데미지를 쓰이는 문맥에서 한글자만을 줄이는 용도로 쓰인다. (예: 고정 뎀지, 추가 뎀지, 최고 뎀지)
'딜'이라는 말도 자주 사용한다. 대미지 딜러를 '딜러'라고 줄임에 따라 '딜'도 "피해"와 유사한 의미로 쓰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이 '대미지 딜러'라는 것은 '피해를 주다' 라는 뜻의 to deal damage라는 표현에서 '주다, 가하다'라는 뜻의 동사 deal을 떼어낸 것으로, '피해'라는 의미로 쓰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1.1. 표준 표기 '대미지'
IPA-한글 대응에 따르면 [æ]는 'ㅐ'로 적는 것이 표준 표기이므로[1][2] [dæmɪdƷ] 역시 '대미지'로 적는 것이 타당하나 어째서인지 '데미지'라는 비표준 표기가 더 널리 쓰이게 되었다.현재 각종 매체에서는 데미지/대미지가 공존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구글 검색 결과도 데미지 21,100,000개 (0.22초), 대미지 9,620,000개 (0.22초)로 현재도 데미지 쪽이 2배 가량 우세하다. 나무위키에서도 2019년 3월 25일 토론 합의로 본 문서의 표제어를 '데미지'로 하는 것으로 합의가 도출되었다. 시대가 흘러감에 따라 Damage를 한국어로 표기할 경우 공식 매체에서는 '대미지'로 쓰는 사례가 늘고 있는 반면, 이와 대조적으로 맞춤법도 신경을 쓰거나 퇴고를 별도로 거치는 정식 포스팅/기사류의 글을 제외한 일반적인 글에서는 여전히 '데미지'라는 표기가 자주 쓰이고 있다. 게임 등에서 줄여 쓸 때는 '뎀'/'뎀지'로 표기하는데, 이때도 '댐', '댐지'가 표준적이겠지만 줄여쓸 때에는 '뎀'이 훨씬 압도적이다.
표기 문제를 회피하면서 겸사겸사 언어순화 운동 차원에서 '피해'/'피해량'을 쓰는 방법을 택할 수도 있다.[3]
1.1.1. 원인 추측
'데미지'라는 표기가 널리 쓰이는 것은 '네비게이션'처럼 외래어를 표기할 때 'ㅐ'보다 'ㅔ'가 어울린다는 생각이 주된 원인이라는 설이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보기에는 마찬가지로 [æ]를 포함하고 있으면서도 'ㅐ'로 표기하는 단어들이 매우 많다. 초기 매체에서의 잘못이 퍼졌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어째서 '네비게이션', '데미지'에서만 이 현상이 두드러졌는지는 이유를 찾기 어렵다.21세기 현대 한국어에서 '에'와 '애'를 구분해서 발음하지 않는 탓일 수 있다. '에'와 '애'를 구분해 발음하지 않으면서 '결제'와 '결재'를 헷갈려 하는 것 등에 영향이 있다.
이에 관해 일본어 영향이라는 설도 있으나 가타카나로 'damage'를 표기할 때는 'ダメージ(다메-지)'로 표기하기에 그렇게 보기는 어려울 듯하다.
2. 관련 용어
- 고정 피해(트루 대미지)
- 극딜
- 깡뎀
- 대미지 딜러
- 대미지 박스
- 대미지 보정
- 속성 대미지
- 스플래시 대미지
- DOT(damage over time = 지속 피해)
- DPS(damage per second = 초당 피해량)
- 대미지(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3. 고유명사
4. 여담
- 이미지의 별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