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19:35

데이터센터 각

데이터 센터 각에서 넘어옴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03c75a><colcolor=#fff> 포털·SNS 네이버
글로벌 포시마크
콘텐츠·미디어 웹툰 엔터테인먼트 (네이버 웹툰 · 스튜디오N · 스튜디오 리코 · 플레이리스트 · 문피아 · 왓패드 · 욘더 · 로커스) | 스노우 (네이버제트 · KREAM) | 작가컴퍼니
금융·투자 네이버파이낸셜
AI·B2B 네이버랩스 | 네이버클라우드 (엔아이티서비스)
운영 네이버 I&S | 엔테크서비스
ESG 네이버 문화재단 | 네이버 커넥트 | 해피빈 | 네이버 핸즈 | 엔비전스
관계기업 LY 주식회사 (라인 · 야후! 재팬) | 위버스 컴퍼니
경영진 총수 | CEO
}}}}}}}}} ||

파일:춘천시 CI_White.svg 춘천시의 산업단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거두농공단지 남면일반산업단지 남춘천일반산업단지 네이버 도시첨단산업단지 당림농공단지
도시첨단문화산업단지 도시첨단정보산업단지 동춘천일반산업단지 삼성SDS 춘천센터 도시첨단산업단지 수동농공단지
전력 IT문화복합산업단지 창촌농공단지 퇴계농공단지 퇴계 제2농공단지 후평일반산업단지 }}}}}}}}}
데이터센터 각
DATA CENTER GAK
파일:데이터센터 각.png
<colbgcolor=#010101><colcolor=#fff>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주소 데이터센터 각 춘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면 순환대로 1154-79
데이터센터 각 세종
세종특별자치시 행복대로 824
산업 데이터 보관 및 관리
링크 데이터센터 각

1. 개요2. 위치
2.1. 각 춘천2.2. 각 세종
3. 저장되는 데이터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과거와 현재의 기록을 담아 미래에 남깁니다.

대한민국의 대형 포털사이트 운영 기업 네이버데이터 센터.

춘천에 있는 첫번째 데이터센터 각은 2013년에 완공되었고 세종시에 제2 데이터센터가 2023년 완공되었다.

2. 위치

2.1. 각 춘천

파일:데이터센터 각 춘천.jpg 파일:20141216_CLO.jpg
데이터센터 각 춘천

2013년 6월 가동을 시작한 네이버의 첫번째 데이터 센터이다. 축구장 7배 크기인 5만 4,229㎡의 부지 위에 지하 3층, 지상 2층 규모의 관리동인 본관 1개동과 지하 2층 지상 3층의 서버관 3개동 등 모두 4개 동으로 이루어졌다.

팔만대장경의 보관소인 장경각에서 모티브를 얻었다고 하며, 외부 디자인은 계단식 논에서 아이디어를 생각해냈다고 한다. 또한 데이터 센터에서 발생되는 엄청난 열을 친환경적으로 식히기 위해 여러 기술과 노력이 담겨 있으며, LEED[1]에서 95점으로 데이터 센터로는 세계 최고 등급인 플래티넘 등급을 획득했다. 또한 진도 9 이상의 지진뿐만 아니라 홍수, 태풍, 화재 등의 천재지변에서도 무중단 운영이 가능하도록 했다. 비상시 외부로부터 전력 공급이 단절될 경우에도 2.5초만에 전력 공급이 가능하며 72시간까지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해낼 수 있다.

서버서버랙을 자체 기술로 개발하였으며, AMU[2] 적용, 계단식 건물 구조, 외부 공기 사용 등 신경 쓴 부분이 많다. 심지어 남는 에너지로 식물을 기르기도 한다.

특히, 2022년 10월 15일 SK C&C의 화재가 계열사 SK온의 자회사 SK모바일에너지에서 공급한 리튬폴리머 배터리 시스템에 의해 발생[3]한 만큼 IDC의 전력 공급 시스템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 네이버는 1Tier 급 IDC에 주로 적용되는 네덜란드 HITEC사의 POWERPRO 2700, 전 세계 최중요 시설에 주로 적용되는 독일 PILLER 사의 UNIBLOCK UBT+D + Critical Power Module 옵션 사양으로 설치하였으며 이를 STS 장치와 함께 운용해 가용성을 극대화 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 부분은 네이버그룹의 데이터센터 관련 홍보자료에도 명기가 되어있을 정도로 중요한 사항이다.

한국에서 IXP(인터넷 익스체인지 포인트)[4]가 아닌 IDC임에도 불구하고 독일 필러 사의 UBT UPS를 설치한 몇 안 되는 데이터센터다.

2.2. 각 세종

파일:데이터센터각세종.jpg 파일:네이버데이터센터각세종서버실.jpg
데이터센터 각 세종

원래는 경기도 용인시 공세동에 제2데이터센터 건립을 추진하였으나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기사 그러자 다른 지자체에서 유치전에 뛰어들었고, 다시 신청한 용인시를 포함하여 총 136개 지자체/단체 및 기업이 제2데이터센터 유치에 뛰었고, 8월 14일까지 접수된 의향서 제출일자에는 최종적으로 96곳이 접수했다고 알려졌다.

2019년 9월 30일 10곳의 우선협상 대상부지로 압축되었는데 경상북도 구미시김천시, 대구광역시, 부산광역시,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2곳), 충청북도 음성군, 경기도 평택시(2곳)이다.

2019년 10월 25일 세종특별자치시가 우선 협상지로 선정되었으며 집현동 4-2 생활권 산업단지 부지 내에 들어설 예정이다. # 이때 데이터센터 부지는 기존에는 대학캠퍼스 부지였으나 용도변경을 통해 데이터센터 부지로 제공되었다. [5]


2023년 11월 8일 가동을 시작했다.


내부가 매우 넓어서 자체적으로 자율주행 자동차를 운영한다. 또한 네이버랩스가 개발한 로봇 자동화 시스템으로 서버를 관리하는 역할의 ‘세로’와 서버실과 창고를 오가며 고중량의 자산을 운반하는 ‘가로’가 서버 관련 자산 흐름을 실시간 추적해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 관리한다.@

각 세종의 전기설계는 국내에서 몇 안되는 대규모, 고에너지 밀도 전력설계사인 (주)정우디씨 가 진행하게 되었고[6], 이 때도 정우디씨는 프로젝트의 기계설계 협력사인 (주)한일엠이씨와 같이 매우 특이한 전기 설계를 해서 눈길을 이끌었는데 그것이 바로 커민스QSK95 장착 사양의 C3500 D6E를 서버동당 6개 이상 구성한 것이다. 각 춘천때와는 다르게 구성된 C3500 D6E는 Tier2 배기가스 규제를 충족하는 커민스의 플래그십 비상발전기로 스텐바이 3500kVA, 연속 2750Kva 의 막강한 성능을 보유함은 물론, 매우 빠른 시동[7]이다.

또한 스테틱 UPS도 특이한 것을 사용했는데,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Galaxy VX 1250kVA 사양을 리던던시로 대거 설치한것이다. 춘천의 경우와 달리 스테틱을 적극적으로 도입한 이유는, 면적의 한계를 벗어날 수 있어 대규모 칠링 시스템 구성이 가능해진 부분[8], 춘천과 같이 극단적으로 높은 전력밀도를 구현하지 않아도 되는 풍부한 연면적, 배터리뱅크를 배치할 수 있는 연면적[9], 춘천과 달리 154kV 전력망을 바로 받을 수 있는 점 등등 결론적으로 공간이 널널해지며 다이나믹 UPS가 필요하지 않아졌기 때문으로 밝혔으며, 그 과정에서도 여러 선택지 중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UPS 를 선택하며 여전히 네이버가 전력 설계에 있어 매우 신경쓰고 있다는 모습을 볼 수 있는 두 번째 대목으로 평가되고 있다.

2023년 말 기준 한국 최대 성능(세계 기준 22위) 슈퍼컴퓨터 '세종'을 보유하고 있다.# 문서 참조.

3. 저장되는 데이터

4. 여담

  • 2023년 4월 1일 만우절, 에 '데이터 센터 각 문'을 짓는다는 만우절 장난을 하기도 했다. #

5. 관련 문서



[1] 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친환경 건물 인증 제도)[2] Air Misting Unit. 외부 공기를 내부로 들이는데 깨끗하고 차갑게 만들어 냉각에 도움을 준다.[3] 일반적으로 3티어급 ISP 들이 배터리백업 UPS에 요즘 리튬배터리 적용을 많이 한다. VGS계열의 고안전성 납배터리의 가격이나 전기차용으로 개발된 배터리나 거기서 거기이기 때문. 총 설비면적이나 공간으로 보았을 땐 당장은 리튬배터리가 나아보일 것이다. 하지만 높은 사고위험성 때문에 2티어급 이상으로 갈 경우 LiFePO4 배터리나 LTO 배터리, 또는 추세가 줄어드는 편이지만 Ni-MH 배터리를 적용하고 있다.[4]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각 회사들의 백본 사이를 이어주는 초대규모 네트워크 스위칭 설비 및 이를 탑재한 건물을 의미한다. IXP가 날아가면 IDC가 날아간 것과는 비교도 안 되는 레벨의, 어디 전화국 하나 화재나서 지역이 마비되는 것 정도는 아주 사소하게 느껴질 정도의 초대규모 재앙이 벌어지며, 이를 막기 위해 IDC에 돈을 아끼는 KT마저 IXP에는 특정회사 파란색 UPS가 들어간다.[5] #, 김학서 의원 5분발언[6] 전체 종합설계는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가 진행하였다.[7] 3MW급 4행정에서 가장 빠른 9초. 0->3500kVA 를 한번에 때렸을 때의 스풀업 시간은 0.7초로 2행정 비상발전기보다는 다소 늦지만 4행정에선 최고 수준이다.[8] 스테틱 UPS는 본체와 배터리팩에서 지속적인 발열이 발생하기에 별도의 냉각이 요구된다.[9] 춘천의 경우 서버동이 중앙 공급동을 둘러싼 형상으로 구현하여 공간을 최대한 아끼게되었는데, 그래서 일반 UPS를 구성하기엔 연면적이 부족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