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21:33:58

러브 라이브! 시리즈 오피셜 카드 게임/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러브 라이브! 시리즈 오피셜 카드 게임|러브 라이브! 시리즈 오피셜 카드 게임]]

<colbgcolor=#e9218b,#e9218b> 파일:러브카 로고.png
러브 라이브! 시리즈 오피셜 카드 게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fad2e7><colcolor=#000,#fff> 카드 팩 스타터 덱 니지가사키 · 슈퍼스타!!
부스터 팩 부스터 팩 vol.1 · 프리미엄 부스터 슈퍼스타!! · NEXT STEP
멤버별 카드 일람 선샤인 치카 · 리코 · 카난 · 다이아 · 요우 · 요시코 · 하나마루 · 마리 · 루비
니지가사키 아유무 · 카스미 · 시즈쿠 · 카린 · 아이 · 카나타 · 세츠나 · 엠마 · 리나 · 시오리코 · 미아 · 란쥬
슈퍼스타 카논 · 쿠쿠 · 치사토 · 스미레 · · 키나코 · 메이 · 시키 · 나츠미 · 마르가레테 · 토마리
하스노소라 카호 · 사야카 · 코즈에 · 츠즈리 · 루리노 · 메구미 · 긴코 · 코스즈 · 히메
기타 · 템플릿
}}}}}} ||

1. 개요2. 카드
2.1. 종류
2.1.1. 멤버 카드2.1.2. 라이브 카드2.1.3. 에너지 카드
2.2. 카드 레어도
3. 덱 구성4. 게임 준비5. 게임 진행
5.1. 통상 페이즈5.2. 라이브 페이즈
5.2.1. 라이브 성공 판정(점수 계산)5.2.2. 라이브 승패 판정
5.3. 기타
6. 외부 링크

1. 개요

★8분만에 배우는★러브카 플레이 방법[1]

러브 라이브! 시리즈 오피셜 카드 게임의 규칙을 정리한 문서.

서로 만든 덱으로 1:1로 대결해 매 턴마다 라이브를 진행, 상대보다 먼저 3번 라이브를 성공시키는 쪽이 승리한다.

2. 카드

2.1. 종류

  • 멤버 카드
    • 캐릭터가 그려진 카드. 우상단에 코스트가 적혀있다.
    • 에너지 카드를 코스트로 해서 스테이지에 '등장' 시키거나, 이미 등장한 다른 멤버를 대기실로 보내고 추가로 부족한 코스트를 채워 '바톤터치'로 등장시킬 수 있다.
  • 라이브 카드
    • 음반과 오선보에 하트가 그려진 카드. 가로로 두면 우상단에 음표 모양으로 '스코어'가 적혀있다.
    • 매 턴마다 라이브의 승패 판정에 쓰인다.
  • 에너지 카드
    • 상단과 하단에 물결 무늬가 그려진 카드로, 숫자 표기가 없는 알파벳 E가 적힌 티켓 모양의 마크(파일:러브카 에너지.png)가 있다.

2.1.1. 멤버 카드

파일:아유무 PL!N-sd1-001-SD.png
<rowcolor=#ffffff> 멤버 카드
<rowcolor=#ffffff> 명칭 설명
<colbgcolor=#fff0f1> 코스트 우상단에 티켓 마크에 적힌 숫자. 해당 카드를 스테이지에 내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 양
하트 좌상단 아이콘 중에 정방향으로 그려진 하트 마크들. 라이브 카드에 적힌 필요 하트를 체크할 때에 '스테이지에 나와있는 멤버 카드'의 하트를 이용한다. 하트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6종류(파일:하트01.png파일:하트02.png파일:하트03.png파일:하트04.png파일:하트05.png파일:하트06.png)가 있다.
블레이드 '하트' 위에 표시되는 블레이드 아이콘들. 라이브 점수 계산시에 '옐(응원)'에 사용된다. 카드에 따라 블레이드가 없는 카드도 있다.
블레이드 하트 '블레이드' 위에 표시되는 90도로 눕혀진, 하트 아이콘에 블레이드가 겹쳐진 마크.(파일:블레이드하트01.png파일:블레이드하트02.png파일:블레이드하트03.png파일:블레이드하트04.png파일:블레이드하트05.png파일:블레이드하트06.png) '옐(응원)' 상황에서 사용하기 위한 하트로, '스테이지'에 나와 있을 때에는 일반 하트로 세지 않는다. 카드에 따라 블레이드 하트가 없는 카드도 있다.
카드 텍스트
기동
(起動)
코스트를 써서 능동적으로 발동하는 효과.
자동(自動) 게임 중 특정 상황이 되면 자동으로 발동되는 효과.
(常時)항상 발동되는 효과.
턴 1회
(ターン 1 回)
한 턴마다 한 번 적용되는 효과. 다른 카드의 같은 효과도 같은 턴에는 사용 불가
등장
(登場)
멤버 카드를 멤버 에리어에 둘 때 적용되는 효과.
라이브 개시 시
(ライブ開始時)
'라이브'가 진행될 때 적용되는 효과. '라이브 카드 존'에 세트했던 카드 중에 '라이브 카드'가 없다면 라이브가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보고 해당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
라이브 성공 시
(ライブ成功時)
'라이브'에 성공했을 때 적용되는 효과. 상대와 점수 비교 전에 자신의 라이브가 성공했는지 여부를 따진다.

2.1.2. 라이브 카드

<nopad> 파일:PL!SP-sd1-026-SD.png
<rowcolor=#ffffff> 라이브 카드
<rowcolor=#ffffff> 명칭 설명
<colbgcolor=#fff0f1> 스코어 우상단 음표 마크에 쓰여진 숫자. '라이브'가 성공하면 해당 카드의 점수가 된다.
필요 하트 오선보에 그려진 하트들. 해당 '라이브'를 성공시키기 위한 하트의 종류와 수. 회색 하트는 다른 색의 필요 하트를 모두 충족시킨 뒤 남은 하트가 그만큼 더 필요하다는 의미이다.[2]
블레이드 하트 좌하단에 표시되는 하트 아이콘에 블레이드가 겹쳐진 마크.멤버 카드와 동일하다.
카드 텍스트 멤버 카드와 동일하다.
(기타) 블레이드 하트 위치에 같이 그려진 '하트가 그려진 흰색 카드' 아이콘은, 옐(응원) 과정 중에 해당 아이콘이 그려진 카드를 뽑으면 적혀진 숫자 만큼 추가로 카드를 뽑아 (옐로 쓰는게 아닌) 손으로 가져오는 효과다.

2.1.3. 에너지 카드

파일:카호 PL!HS-bp1-000-LLE.png
<rowcolor=#ffffff> 에너지 카드

2.2. 카드 레어도

기본 레어도
<colbgcolor=#ffcce6,#33001a> 멤버카드
R
레어
멤버카드의 다른 일러스트
멤버카드의 다른 일러스트
라이브카드
패러렐 레어도
P
패러렐
멤버카드의 다른 일러스트
에너지 카드. 담당 캐스트의 사진. 1박스에 1장 포함이라고 공개되었다.
멤버카드의 다른 일러스트에 금박 추가
PE+
패러렐 에너지 플러스
에너지 카드. 담당 캐스트의 사진에 사인과 금박 추가
멤버 카드. 멤버 사인이 무지개색
SECE
시크릿 에너지
에너지 카드. 멤버 아이콘과 사인에 금박 추가
에너지 카드.
LLE
러브 라이브 에너지
에너지 카드. 멤버 사인과 핑크색으로 박 인쇄
기타
SD
스타터 덱
스타터덱에 포함된 카드
PR
프로모션
프로모션으로 배포하는 카드
멤버 카드. 직필 사인에 특수한 박 인쇄가 추가된 카드로 교환권 이벤트로만 극소량 생산

3. 덱 구성

덱은 다음과 같이 2개로 구성해서 따로 관리한다.
  • 메인 덱 60장 = 멤버 카드 48장 + 라이브 카드 12장
    • 메인 덱에 들어가는 카드는 동일한 카드는 4장까지만 넣을 수 있다. 카드 넘버에서 '레어도'를 제외하고 나머지가 일치하면 동일한 카드로 취급한다.
  • 에너지 덱 12장 = 에너지 카드 12장
    • 에너지 덱은 동일한 카드 제한이 없기에 같은 카드 12장을 넣어도 무방하다.
    • 카드 프로텍터(슬리브)를 사용하는 경우, 메인 덱과 다른 무늬나 일러스트로 조합해야 한다.

4. 게임 준비

  • 메인 덱을 셔플한다.
  • 가위바위보에서 이긴 사람이 선공/후공을 정한다.
  • 두 플레이어 모두 메인 덱에서 6장씩 뽑는다.
  • 교환을 원하는 장수만큼 뒷면으로 내려놓고, 메인 덱에서 그만큼 다시 뽑는다. 내려놓았던 카드는 다시 메인 덱에 섞어 셔플한다.
  • 에너지 덱에서 카드를 3장 뽑아 에너지 존에 앞면으로 둔다.

5. 게임 진행

매 턴마다 다음 순서로 진행한다. 선공이 '모든 행동을 완료하고' 후공에 턴을 넘기면 후공이 자기가 할 일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라이브에서 승패 판정으로 승리한 사람이 다음 턴의 선공이 된다.
  • 통상 페이즈 (선공 → 후공)
  • 라이브 페이즈 (선공 세트 → 후공 세트 → 선공 퍼포먼스 → 후공 퍼포먼스 → 라이브 승패 판정)

5.1. 통상 페이즈

  • 액티브 페이즈
    • 가로로 눕혔던 에너지 카드를 모두 세로 방향으로(액티브로) 둔다.
  • 에너지 페이즈
    • 에너지 덱에서 카드를 1장 뽑아 에너지 존에 세로 방향으로(액티브로) 둔다.
  • 드로우 페이즈
    • 메인 덱에서 카드를 1장 뽑는다.
  • 메인 페이즈
    • 다음 행동을 가능한 만큼 순서에 상관 없이 할 수 있다.
      • 멤버 카드의
        기동
        능력을 사용
      • 멤버 카드를 스테이지에 '등장'시킨다. ('바톤터치' 포함)

단, 멤버 카드를 등장시킨 턴에 같은 카드를 바톤터치 시킬 수는 없다.

위 행동을 모두 완료하면 후공에게 턴을 넘겨, 후공도 동일한 과정을 진행한다.

5.2. 라이브 페이즈

후공의 통상 페이즈가 완료되면 라이브 페이즈를 진행한다.
  • 라이브 카드 세트 페이즈
    • 선공이 '멤버/라이브 카드 종류에 상관없이' 0~3장의 카드를 라이브 카드 존에 뒷면으로 둔다.
    • 위에서 둔 장수만큼 메인 덱에서 카드를 뽑는다.
    • 선공이 완료되면 후공도 동일한 과정을 진행한다.
  • 퍼포먼스 페이즈
    • 선공부터 라이브 카드 존에 세트한 카드를 모두 앞면으로 한다.
    • 세트한 카드 중에 멤버 카드는 모두 대기실로 보내고, 라이브 카드가 있으면 '라이브'를 진행해 성공 여부를 판단하고 점수를 계산한다. (하단 참고)
    • 선공이 완료되면 후공도 동일한 과정을 진행해, 점수를 비교해 라이브의 승리/패배를 가린다.

5.2.1. 라이브 성공 판정(점수 계산)

5.2.2. 라이브 승패 판정

5.3. 기타

  • 덱 파괴는 없기 때문에 플레이 중 메인 덱의 카드가 모두 사용된 경우에는 대기실의 카드를 셔플한 뒤 다시 덱으로 되돌려서 게임을 진행한다. 카드를 뽑는 효과 처리 도중에 덱이 떨어진 경우, 가능한 만큼 먼저 뽑고 나서 대기실 카드들을 되돌리고, 남은 수만큼 카드를 뽑는다.

6. 외부 링크


[1] 자막 영상[2] 따라서 다음 1,2번을 모두 만족해야 하는 것과 같다. 1. 회색을 제외한 다른 색의 하트 개수 조건을 모두 만족하고, 2. 획득한 하트의 개수 총 합이 회색을 포함한 하트 개수 조건 전체 합보다 크거나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