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DDF6EC><colcolor=#000> 러시아의 아나스타시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великая княжна Анастаси́я Никола́евна России | |||
| |||
이름 | 아나스타시야 니콜라예브나 로마노바 (Анастасия Николаевна Романова) | ||
출생 | 1901년 6월 18일 | ||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여름궁전 | |||
사망 | 1918년 7월 17일 (향년 17세) | ||
러시아 소비에트 공화국 예카테린부르크 이파티예프 하우스 | |||
아버지 | 니콜라이 2세 | ||
어머니 | 헤센의 알릭스 공녀 | ||
형제 | 올가, 타티야나, 마리야, 알렉세이 | ||
종교 | 러시아 정교회 | ||
서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373a3c,#ddd {{{#!folding [ 시성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F6EC><colcolor=#000> 시성 | 1981년: 해외 러시아 정교회 2000년: 러시아 정교회 | |
축일 | 그레고리력: 7월 17일 율리우스력: 7월 4일 | ||
호칭 | 해외 러시아 정교회: 황실 순교자[1] 러시아 정교회: 황실 수난자[2] | ||
성인 추대 교파 | 러시아 정교회 해외 러시아 정교회 그리스 교회 세르비아 정교회 안티오키아 정교회 루마니아 정교회 불가리아 정교회 | }}}}}}}}}}}} |
1. 개요
러시아 제국의 황녀. 니콜라이 2세와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황후의 넷째이자 4녀이다.일가족과 함께 총살된 이후에도 살아있었다고 주장하는 사람이나 관련된 이야기들이 등장하며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 이후 시신이 발견되면서 사망한 것이 확인되었다.
2. 생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나스타시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생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나스타시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생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생존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나스타시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생존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나스타시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생존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가족관계
4.1. 조상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러시아의 아나스타시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Великая княгиня Анастасия Николаевна Российская) | 니콜라이 2세 (Николай II) | 알렉산드르 3세 (Аляксандр III) | |
알렉산드르 2세 (Аляксандр III) | |||
헤센의 마리 공녀 (Prinzessin Marie von Hessen) | |||
덴마크의 다우마 공주 (Prinsesse Dagmar af Danmark) | |||
크리스티안 9세 (Christian IX) | |||
헤센카셀의 루이제 (Prinzessin Louise von Hessen-Kassel) | |||
헤센의 알릭스 공녀 (Prinzessin Aliz von Hessen-Kassel) | |||
헤센 대공 루트비히 4세 (Ludwig IV., Großherzog von Hessen) | |||
헤센의 카를 공자 (Prinz Karl von Hessen und bei Rhein) | |||
프로이센의 엘리자베트 공주 (Prinzessin Elisabeth von Preußen) | |||
영국의 앨리스 공주 (Princess Alice of the United Kingdom) | |||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알베르트 공자 (Prinz Albert von Sachsen-Coburg und Gotha) | |||
빅토리아 여왕 (Victoria) |
5. 대중매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나스타시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대중매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나스타시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대중매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여담
- 가족들 사이에서 '나스탸(Настя)'라고 불렸다. 그 외에도 '나스텐카(Настенька)', '스비브지크(Швыбзик, 작은 장난끼)', '말렌카야(Маленькая, 작은 것)', '우리 착하고 통통한 투투' 등의 애칭도 있었다.
- 취미는 사진 촬영이었으며, 아나스타시야가 찍은 사진집은 후에 정리되어 책으로 발간되기도 하였다.
- 망명 생활을 할 동안 애지중지하던 애완견 지미와 늘 함께 다니며 극진히 보살폈다. 지미는 아나스타시야가 처형당하던 그 순간까지도 주인과 함께 하다가 같이 최후를 맞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