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04:34:36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1 챔피언십/결승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1 챔피언십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161>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1 챔피언십
경기 일정
}}}
그룹
(6/18)
A조 B조
녹아웃 플레이오프 (6/19)
결승 토너먼트 (6/19 ~ 6/20)
결승 (6/20)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1 챔피언십 우승
파일:시즌1 롤드컵 우승.png
첫 번째 우승


1. 개요2. 리그별 진출 팀
2.1. 유럽 : 2/2
3. 경기 내용
3.1. 2세트3.2. 3세트3.3. 총평
4. 둘러보기

1. 개요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1 챔피언십 결승
Fnatic against All authority
파일:590px-Fnatic_full_lightmode.png파일:Fnatic_old_logo_full_darkmode.png 파일:AAa_Logo_2.png파일:aAa_logotext_darkmode.png
2011년 6월 20일 옌셰핑 엘미아에서 개최되는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1 챔피언십의 결승전에 관한 문서이다.

2. 리그별 진출 팀

2.1. 유럽 : 2/2

3. 경기 내용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결승
(2011-06-21 06:00)
Fnatic 2[A] 1 against All authority
[A] × - ×
우승 결과 준우승
통합 MVP
파일:gragas3.jpg
마치에이 라투시니아크
(Shushei)

3.1. 2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밴픽
, blueteam=Fnatic, redteam=against All authority
, d_blueban1=누누(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워윅(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아무무
, p_blueban1=nunu, p_blueban2=warwick, p_blueban3=amumu
, d_redban1=그라가스, d_redban2=알리스타, d_redban3=럼블(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gragas, p_redban2=alistar, p_redban3=rumble
, d_bluepic1=브랜드(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람머스, d_bluepic3=말자하, d_bluepic4=코르키, d_bluepic5=잔나
, p_bluepic1=brand, p_bluepic2=rammus, p_bluepic3=malzahar, p_bluepic4=corki, p_bluepic5=janna
, d_redpic1=이렐리아, d_redpic2=자르반 4세, d_redpic3=애니비아, d_redpic4=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소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irelia, p_redpic2=jarvanIV, p_redpic3=anivia, p_redpic4=ashe, p_redpic5=sona)]

3.2. 3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밴픽
, blueteam=against All authority, redteam=Fnatic
, d_blueban1=알리스타, d_blueban2=그라가스, d_blueban3=애니비아
, p_blueban1=alistar, p_blueban2=gragas, p_blueban3=anivia
, d_redban1=럼블(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누누(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아무무
, p_redban1=rumble, p_redban2=nunu, p_redban3=amumu
, d_bluepic1=말자하, d_bluepic2=자르반 4세, d_bluepic3=이렐리아, d_bluepic4=코르키, d_bluepic5=잔나
, p_bluepic1=malzahar, p_bluepic2=jarvanIV, p_bluepic3=irelia, p_bluepic4=corki, p_bluepic5=janna
, d_redpic1=브랜드(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워윅(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3=카서스, d_redpic4=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소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brand, p_redpic2=warwick, p_redpic3=karthus, p_redpic4=ashe, p_redpic5=sona)]
That is one turret dead, second turret dead. FNATIC going to win the Season 1 Championship! if they can hold on. This nexus will go down. Congratulations to FNATIC! winning, the Season 1.
쌍둥이 포탑 하나가 무너졌고, 다른 하나도 무너집니다. 프나틱이 시즌 1 챔피언입니다! 그들이 버텨내면서 넥서스가 파괴됩니다. 프나틱, 시즌 1 우승을 축하합니다!
Phreak의 우승 콜.

3.3. 총평

파일:Ea9Z1rYXkAIAOsU.jpg

우승팀인 프나틱이 EU 메타라는 롤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메타를 사용하였는데 이 전략은 기본적으로 탑에 딜탱(브루져), 미드에 AP 메이지, 정글 탱커, 바텀 라인에 원딜과 서포터를 두는 메타로 대회에서 EU 메타를 확립하며 프나틱이 우승하였다.

롤의 양상은 10년이 지난 지금도 EU 메타를 쓴다는 점에서 이 당시 대회 규모는 피시방 대회 정도의 소규모 대회라 잘 언급이 안 되지만 메타를 정립했다는 점이 가치가 있다고 평가받는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lack><tablebgcolor=black>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역대 결승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10602, #220401, #120200)"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 ||


[A] 승자조 결승 승리팀 1승 어드밴티지[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