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03:27:14

리치(DEAD BY DAYLIGHT)

파일:데드 바이 데이라이트 로고 화이트 가로형.pn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데드 바이 데이라이트 로고 화이트 가로형.pn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margin:-5px -2px"

시리즈별 출시일순 정렬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 {{{#!wiki style="display:inline;font-family:Times New Roman,serif;font-style:Bold"
파일:DBD_DLC_Upcoming.png

파일:DBDCharBGKiller.png
파일:DBD리치01.png
{{{#!folding [ 배경 사진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D1D1D1,#151515><colcolor=black,white>
본명
<colbgcolor=#D1D1D1,#151515><colcolor=black,white> Vecna
베크나
성별
남성
출신지
파일:그레이호크 국기.png 그레이호크
영역
-
특수능력
-
특수 공격
= 
기본 공격?
-
무기
뒷북 단검
속도
115% | 4.6m/s
능력 사용 시
속도
-% | -m/s
공포 범위
32m
신장
평균
DLC
CHAPTER XXXII
파일:dnd logo.png
성우
매튜 머서[1]
난이도
어려움
고유 테마
-
이전
미지의 존재
다음
미정

1. 개요2. 스토리3. 고유 기술4. 무기 & 능력5. 애드온6. 평가
6.1. 장점6.2. 단점
7. 공략8. 조합9. 업적10. 패치 노트11. 즉결 처형12. 기타

1. 개요

파일:DBD살인마02.png
DEAD BY DAYLIGHT의 Dungeons & Dragons 챕터에 아스트리 야자르(베어마르 우라즈) 생존자와 같이 추가될 예정인 36번째 살인마이자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에 등장하는 베크나다.

2. 스토리

[ 배경 이야기 펼치기 · 접기 ]
||<table bgcolor=black><table bordercolor=#cc4a00><table align=left>{{{#!wiki style="margin: -5px -10px" ||

3. 고유 기술



파일:DBD리치퍽1.png
조율 엮기
WEAVE ATTUNEMENT
{{{-1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파일:DBD리치퍽2.png
힘없는 손길
LANGUID TOUCH
{{{-1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EAD BY DAYLIGHT/기술 문서
2.3.2.14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무기 & 능력

파일:DBD리치무기.png
뒷북 단검 (Afterthought Dagger)
무기
파일:DBDLeft.png설명파일:DBDRight.png
  • 기본적으로 단검을 공중에 띄워놓고 다닌다.
  • 기본 공격 시 단검을 손에 쥐고 벤다. 적중 시 웃으며 단검을 공중에 띄우고 한바퀴 돌린다.
  • 판자 및 발전기 손상 시 마법으로 보라색 수정을 소환해 파괴한다.
  • 능력으로 판자를 막거나 들어올릴 시 마법으로 만든 손이 나와 판자를 잡고 막거나 들어올린다.

[clearfix]
파일:살인마-능력.png
한글명 (Vile Darkness)
능력
파일:왼쪽 문구.png 설명 파일:오른쪽 문구.png
능력
  • 인게임 한국어 번역본을 그대로 가져와 주십시오. 만약 한국어 번역이 적용되지 않았을 경우 영어 원문을 직접 번역해 주십시오.

5. 애드온

<rowcolor=White> 아이콘 이름 중첩 희귀도 설명
파일:트래퍼애드온01.png <colcolor=White> 한글명 - 평범함 -
파일:트래퍼애드온02.png 한글명 - 평범함 -
파일:트래퍼애드온03.png 한글명 - 평범함 -
파일:트래퍼애드온04.png 한글명 - 평범함 -
파일:트래퍼애드온05.png 한글명 - 평범하지
않음
-
파일:트래퍼애드온06.png 한글명 - 평범하지
않음
-
파일:트래퍼애드온07.png 한글명 - 평범하지
않음
-
파일:트래퍼애드온08.png 한글명 - 평범하지
않음
-
파일:트래퍼애드온09.png 한글명 - 평범하지
않음
-
파일:트래퍼애드온10.png 한글명 - 희귀함 -
파일:트래퍼애드온11.png 한글명 - 희귀함 -
파일:트래퍼애드온12.png 한글명 - 희귀함 -
파일:트래퍼애드온13.png 한글명 - 희귀함 -
파일:트래퍼애드온14.png 한글명 - 희귀함 -
파일:트래퍼애드온15.png 한글명 - 아주
희귀함
-
파일:트래퍼애드온16.png 한글명 - 아주
희귀함
-
파일:트래퍼애드온17.png 한글명 - 아주
희귀함
-
파일:트래퍼애드온18.png 한글명 - 아주
희귀함
-
파일:트래퍼애드온19.png 한글명 - 굉장히
희귀함
-
파일:트래퍼애드온20.png 한글명 - 굉장히
희귀함
-
  • 인게임 한국어 번역본을 그대로 가져와 주십시오. 만약 한국어 번역이 적용되지 않았을 경우 영어 원문을 직접 번역해 주십시오. 글꼴의 굵기와 기울기 등은 게임피디아의 것을 따릅니다.
  • 효과의 수치를 기재할 경우 {\{{#Orange 수치}}}를 사용하여 설명 마지막에 붙여 주십시오. 효과의 수치는 게임피디아(공식 데드바이데이라이트 위키)나 일본 데드바이데이라이트 위키(https://www65.atwiki.jp/deadbydaylight)에서 검색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평가

원거리 공격, 색적기, 이동기, 판자막기 등 4가지의 능력을 통해 상황에 따라 능력을 바꿔가며 플레이 하는 것이 가능한 살인마다.

데바데 최초로 능력이 4가지나 되는만큼, 여러 상황에서 대처가 가능하며, 여타 다른 살인마들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능력을 구사하다보니 매우 재밌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능력은 죄다 하자가 있어서 써먹기 힘들며, 능력의 쿨타임도 길고, 리치의 능력에 대항하기 쉽게 만들거나 혹은 아예 살인마들처럼 특수 능력을 쓸 수 있게 해주는 마법 아이템 등의 문제로 인해서 성능 부분에서는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무엇보다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 자체가 공포물이 아니며, 데바데는 이전에도 배틀그라운드, 포 아너, 진격의 거인 등 공포와는 연관되지 않았던 작품들과도 콜라보 했으나, 캐릭터가 추가되는 챕터로써 콜라보 된게 아니라는 점에서 콜라보 자체가 데바데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반응이 존재한다.

6.1. 장점

  • 4가지 특수능력에서 비롯된 만능성
    리치는 살인마 중에서 유일하게 액티브 능력을 4종류씩이나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각각 방향전환이 자유로운 이동기, 관통형 원거리 공격기, 색적 겸 아이템 봉인, 판자 봉인으로 범용성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온갖 상황에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다.
  • 뜻밖의 이득을 보게 해주는 미믹
    리치의 보물상자 기믹은 얼핏 일방적인 디메리트같아 보이지만 사실 생존자들의 입장에서도 어느정도 리스크를 감수해야 하는데, 바로 미믹의 존재 때문이다. 생존자가 주사위 굴림에 실패하여 미믹을 열게 되면 트래퍼의 덫을 밟은것처럼 그 자리에 묶이며, 피해를 받고 비명을 질러 취약한 상태가 된다.[2] 리치가 능동적으로 노리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은 아니지만 운으로나마 불리한 게임을 뒤집게 해줄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6.2. 단점

  • 제한적인 능력 행사
    리치는 4개나 되는 액티브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각각의 능력을 따로따로 구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슬롯에 능력을 교체, 선택해서 사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다양한 능력을 가진 것 치고는 상황변화에 따른 즉각적인 대응력이 떨어진다. 게다가 능력 하나하나의 쿨타임도 비슷한 능력을 가진 다른 살인마들에 비하면 긴 편이어서 거슬리는 현자타임이 상당히 자주 발생한다.
  • 하자가 많은 능력들
    리치는 능력이 많은 만큼 다양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지만 능력들이 모두 어딘가 부족한 모습을 보인다.
    • '지옥의 비행'은 리치의 직접적인 대인전을 책임져야 할 원거리 공격 능력이지만, 선딜레이가 길고 가시성이 뚜렷하며 무엇보다 해골 오브젝트들이 서로 거리를 둔 채로 퍼지며 전진하는 방식이다보니 생존자가 해골들의 진행경로를 읽고 피하기가 꽤나 쉬운 편이다. 이 뿐만 아니라 투사체가 작고 판정도 썩 좋지 않아서 방향이 조금만 틀어져도 쉽게 빗나가며, 투사체가 고정된 높이로 발사되기 때문에 평지에서는 앉기만 해도 피하는게 가능하다.[3][4]
    • '비행'의 경우 후딜레이가 너무 길어서 능력이 끝났을 때 오히려 생존자와의 거리가 벌어지기 쉽다. 판자와 창틀을 넘는 효과도 거리 계산을 조금만 잘못하면 생존자는 넘어서 도망가고 리치만 뒤에 남아 후딜을 태우거나, 반대로 리치만 훌쩍 넘어가버리고 생존자는 반대 방향으로 도망쳐서 평범하게 쫓을 때보다 거리가 더 벌어지기도 한다.
    • '구체 무력화'는 큼직한 이펙트가 훤히 보이는데다 선딜레이가 원체 느려서 사용 여부와 위치만 파악한다면 피하기 쉬운 편이다.
    • '마법사의 손'은 지속시간이 짧고 시전 시 잠시 느려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어설프게 사용해봤자 생존자가 자리를 피하면 그만이다. 심지어 내려진 판자를 들어올리는 용도로 썼을 경우 생존자가 즉각 판자를 다시 내릴 수 있어서 상황에 따라서는 아무 의미가 없을 때도 있다.
  • 생존자에게 대처법을 제공하는 마법 아이템
    리치와 게임을 하게 되면 생존자들은 보물상자에서 마법 아이템들을 얻을 수 있는데, 이들 각각이 리치의 능력 하나를 쉽게 대처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특히 대인전의 핵심인 '마법사의 손'과 '지옥의 비행'에 대응되는 '침입자' 아이템과 '야간 경비대' 아이템을 함께 장착한 생존자를 마주쳤을 경우 평타뿐인 뚜벅이 살인마나 다름없는 신세가 될 수 있고, 드물게 획득하는 '베크나의 손/눈' 아이템은 사방에 널린 캐비넷을 이용해 리치를 거의 확정적으로 따돌리게 해주기 때문에 되려 다른 살인마들보다 게임이 고달파지는 경우도 적지 않다.

7. 공략

8. 조합

9. 업적

현재 총 n개의 캐릭터이름과 관련된 업적이 있다.
<rowcolor=White> 아이콘 이름 조건
파일:트래퍼업적1.jpg 영문명
한글명
-
파일:트래퍼업적2.jpg 영문명
한글명
-
  • 한글명과 설명의 경우 스팀 내 도전과제를 참고하여 기재하십시오.
  • 굵기. 기울기, 색 등은 게임피디아의 것을 따르시오.
  • 콘솔 버전 업적 달성조건이 따로 있을 경우 아래 안내를 틀 윗 줄에 기재해 주십시오.
{{{#!wiki style="font-style:italic;"
'''콘솔 버전'''의 업적 달성조건은 PC 버전과 다르기 때문에 {{{#cc3ad4 '''보라색'''}}}으로 기재됨.}}}

10. 패치 노트

X.X.X 패치 - 20XX년 XX월
살인마의 조정 내역을 기재해 주십시오. 해당 내역이 PTB의 내용이라면 상단에 PTB라는 문구를 적어주십시오. 변화된 내용없이 본서버에 그대로 적용되었다면 문구를 삭제해 주십시오. PTB에서 변화되어 적용된 내용이라면 PTB의 내용과 별개로 PTB에서와의 변화점이라는 문구를 적어주십시오. 능력의 세부적인 수치가 변경된 것이라면 수치를 볼드체로 강조해 주십시오. 애드온의 효과가 변경된 것이라면 해당 애드온 명의 글씨체를 눕혀 알아보기 쉽게 해주십시오. 조정된 내용이 상향과 관련되었다면 (버프), 효과가 완전히 변경되거나 상향이나 하향이라고 하기 애매한 경우에는 (조정), 하향과 관련되었다면 (너프)를 조정 내역의 끝에 붙여주십시오.

11. 즉결 처형

파일:DBD_즉처.png
{{{#!wiki style="display:inline;font-family:Times New Roman,serif;font-style:Bold;"
스켈레톤 3마리를 소환하여 생존자를 붙잡은 뒤 스켈레톤이 손으로 생존자의 살가죽을 전부 벗겨 죽여버리고 생존자는 뼈만 남아버린다. 생존자가 마법 아이템 "베크나의 손"과 "베크나의 눈"아이템을 가지고 있는 상태라면, 누워있는 생존자의 바로 아래에 수정을 소환해 꽃아버린 뒤 양 옆에서 스켈레톤 두 명이 나와 순식간에 생존자의 머리와 다리를 잡고 아래로 당겨 죽인다.

12. 기타

  • '리치(Lich)'는 고대 영어로 '시신, 시체, 사체, 송장, 주검'을 의미하는 'Lic'로부터 내려온 단어다. 다만, 흔히 사용되는 단어는 아니며 주로 게임이나 판타지물에서 사용된다.[5]
  • 티저에 외눈박이 괴물이 등장한다는 점에서 비홀더를 살인마로 예상하는 반응이 있으나, 티저를 올림과 동시에 어둠 속에서 들려오는 목소리를 잘 들어보라는 공식 트윗의 문구나, 티저가 끝나면서 웃음소리가 들리고, 이전 유출에서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의 베크나가 나올것이라는 유출이 공개되었다는 점 때문에 베크나로 추측하는 반응 역시 나왔으며, 결국 출시가 확정되었다.
  • 설정상 마법과 비밀의 으로, 콜라보 캐릭터이지만 여지껏 추가된 살인마 가운데 아예 신이라는 초월적인 존재가 등장한 첫 번째 사례이다.[6] 신임에도 희생제에 참여한 이유는 엔티티의 힘을 손에 넣을 방법을 찾고자 엔티티의 영역으로 순순히 넘어온 것.
  • 판자를 넘어다닐 수 있으면서, 최초로 판자를 들어올리거나 막을 수 있는 살인마다.
  • 최초로 능력이 네 개나 되는 살인마다.
  • 처형자와 원령처럼 공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즉결 처형을 하는 것이 가능한 살인마다. 아이템 "베크나의 눈, 손"을 가진 생존자의 갈고리 진행도가 저항 단계에 도달했다면, 리치는 빈사 상태의 해당 생존자 위에서 공격 버튼을 길게 눌러 "회복 유물"을 발동할 수 있다. "회복 유물"을 발동하면 해당 생존자를 그 자리에서 살해한다. 즉결 처형 공물을 사용했을 경우 "살해" 대신 "회복 유물"이 우선적으로 발동된다.
  • 비토리오의 고유 기술로 마법효과가 구현된 적은 있으나, 직접적으로 마법과 관련된 캐릭터가 등장하는 것은 리치가 최초이다.
  • 피부가 보라색 계열인데다가, 보석이 박혀있는 황금빛 건틀릿 때문에 살빠진 타노스같다는 반응도 나오고 있다.
  • 네메시스의 좀비나 기사의 경비대와는 좀 다르지만, 보물 상자로 위장해 생존자를 공격하는 미믹이 존재한다.
  • 생존자를 들었을 때 생존자의 목을 붙잡지만, 본인의 손이 아닌 마법으로 만든 손을 이용해 잡는다.
  • 던전 앤 드래곤 콜라보가 공개된 뒤 보너스로 악마성 시리즈와의 콜라보 티저까지 공개되었다. 재밌게도 앨런 웨이크, 던전 앤 드래곤, 악마성 시리즈 모두 설문조사중 콜라보 했으면 하는 작품 목록에 들어가있는 작품들이다.
  • 이름인 리치는 그가 신이기 이전에 강력한 리치였기 때문에 붙은 것으로 보인다.
  • 당연한 이야기지만 개발자 매튜 코테는 기묘한 이야기에 등장하는 베크나가 리치의 전설급 스킨으로 등장할 수 없다고 인터뷰했다. 다만 어디까지나 서로 IP가 다르기 때문에 리치의 스킨으로써 등장하지 못할 뿐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의 베크나가 있다고 해서 기묘한 이야기의 베크나를 도입할 가능성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답했다.
  • 살인마 최초로 공포 장르 출신 캐릭터가 아니다. 리치의 캐릭터성 자체는 살인마에 부합하지만, 그가 등장한 작품인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는 RPG게임으로 공포와는 연관이 없다.[7] 그러나 모든 콜라보를 기준으로 보았을때는 배틀그라운드나 진격의 거인, 레인보우 식스 시즈등 장르가 공포가 아닌 작품들과 콜라보한 전적이 있어 단순히 콜라보로 비교한다면 최초는 아니게된다.
  • 미믹이 등장하는데다가, 잡히는 순간 일정시간 동안 속박되는 점 때문에 장송의 프리렌프리렌과 엮기도 한다.
  • 살인마 최초로 엔티티에 의해 힘이 제한된 것이 묘사된 살인마로 리치의 목 바로 아래에 부정의 표식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8] 부정의 표식이라는 개념 자체는 8주년 방송에서 처음으로 공개되었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리치에게만 있으나, 추후 수도사나 처형자처럼 엔티티도 제어가 불가능할정도로 강력한 힘을 가진 살인마들에게서 부정의 표식이 보일 가능성이 존재한다.


[1] 국내에는 오버워치콜 캐서디로 유명한 성우로, D&D 실황 방송인 Critical Role에서 던전 마스터 역할도 맡고 있어서 매우 실감나는 D&D 빌런 연기를 들을 수 있다. 바이오하자드 6과 이후 CG 영화 시리즈에서 레온 S. 케네디 역시 전담하고 있는데, 생존자인 바이오하자드 RE2 콜라보 레온은 다른 성우가 맡았다.[2] 미믹의 스킬체크를 실패할 경우 미믹에게 한 번 물린 뒤 풀려나는데 미믹에게 잡힌 상태로 스킬체크를 실패할 때마다 부상상태, 심각한 부상상태, 빈사상태 순으로 대미지를 입는다.[3] 이 때문에 AI전에서 지옥의 비행을 사용할 경우 AI들이 대놓고 앉아서 공격을 피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4] 애드온을 사용하면 투사체 고도를 낮출 수 있지만, 균일한 부채꼴로 발사되는 특성상 해골의 수가 변해서 짝수가 되면 정중앙으로 날아가지 않기 때문에 그냥 정면으로 쏴도 알아서 비껴긴다(...)[5] 게임을 좀 해본 이들은 워크래프트 시리즈켈투자드리그 오브 레전드카서스 등의 전형적인 '리치' 모습에 익숙할 것이다.[6] 처형자와 수도사 역시 신의 대리인이나 지옥의 수도사처럼 인간의 범주에서 벗어난 경지에 있지만, 아예 신의 반열에 들 정도는 아니다.[7] 영화 출신 살인마인 쉐이프, 카니발, 나이트메어, 피그, 고스트페이스, 수도사, 원령, 제노모프, 착한 아이 모두 공포영화 출신 캐릭터들이며, 바이오하자드 시리즈의 마스터마인드, 네메시스 사일런트 힐 시리즈의 처형자 역시 공포게임에 등장하는 적들이며, 드라마 출신 캐릭터인 데모고르곤이 나온 기묘한 이야기 역시 공포 장르에 포함되어있다.[8] 스토리상 리치는 엔티티의 힘을 가지고 싶어해서 일부로 복종해 희생제에 있는 것이며, 그 전까지는 엔티티의 힘으로 희생제에 끌려가려는 것을 본인의 힘으로 막아버리는 모습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