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9 17:35:55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마스터스 상하이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131313><tablebgcolor=#131313> 파일:VCT_Masters_Logo.png발로란트 마스터스
역대 대회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normal"
2회 3회 4회 5회 6회
[[아이슬란드|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
2021 S2
아이슬란드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
2021 S3
독일
[[아이슬란드|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
2022 S1
아이슬란드
[[덴마크|
파일:덴마크 국기.svg
]]
2022 S2
덴마크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2023
일본
7회 8회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
2024 MA
스페인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2024 SH
중국
}}}}}}}}} ||

파일:VCT_Masters_Logo_Small.png 발로란트 마스터스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마드리드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우승팀
Sentinels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Gen.G
미정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결승 MVP
재커리 패트론
(SEN zekken)
김나라
(GEN t3xture)
미정

파일:2024 MASTERS SHANGHAI WINNER_GEN.G.png

파일:600px-VCT_Masters_Shanghai_allmode.png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대회 기간 2024년 5월 23일 ~ 6월 9일
주최 라이엇 게임즈
주관
개최지
[[중국|]][[틀:국기|]][[틀:국기|]] 상하이
참가팀 12팀
패치 버전 8.09
경기장 VCT CN 아레나[1]
메르세데스-벤츠 아레나(상하이시)[2]
중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플랫폼 온라인
<colbgcolor=#f5f5f5>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파일:네이버 e스포츠 아이콘.ico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미국 영국|]][[틀:국기|]][[틀:국기|]]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중국|]][[틀:국기|]][[틀:국기|]]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중계진 캐스터
채민준 , 정용검 , 김수현
해설자
김진영, 정인호, 유정선, 박동진
현지 통역 및 인터뷰어
이정현
}}}}}} ||
결과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우승 파일:Gen.G 로고 심플.svg Gen.G Esports
준우승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Team Heretics
결승 MVP 파일:Gen.G 로고 심플.svg 김나라 (GEN t3xture)
}}}}}}

1. 개요2. 참가팀3. 일정4. 대회 진행
4.1. 진행 방식
5. 이벤트 경기 - 신규 전장 쇼 매치
5.1. 경기 내용
6. 결과 및 총평7. 글로벌 파트너8. 공식 영상9. 논란 및 사건사고
9.1. 마스터스 오프닝 티저 중 일부 팀 패싱 논란9.2. 중국 관중 젠지 차별, 참가 팀 솔랭/스크림 피해 논란9.3. 부모님의 인터뷰 발언 논란
10. 여담11.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Thrill Unleashed // 열광의 현장으로
2024년 5월 23일부터 6월 9일까지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하는 제8회 발로란트 마스터스.

2. 참가팀

파일:VCT_Masters_Logo_Small.png 참가팀
파일:valorant_americas_league_심볼.png Americas
파일:100 Thieves 로고.svg파일:100 Thieves 로고 white.svg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파일:Leviatán_2021.png
100 Thieves G2 Esports Leviatán
파일:VCT CN Logo white.png China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FPX 로고 2021.svg 파일:Dragon_Ranger_Gaming_logo_without_text_allmode.png
Edward Gaming FunPlus Pheonix Dragon Ranger
Gaming
파일:VCT-EMEA-logo_Black.png EMEA
파일:Fnatic 로고.svg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svg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Fnatic Team Heretics FUT Esports
파일:VCT 퍼시픽 심볼 화이트.svg Pacific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T1 로고.svg
Paper Rex Gen.G T1

===# 리그별 진출 현황 #===
파일:VCT_Masters_Logo_Small.png 2024 Masters SH 리그 별 진출팀
파일:100 Thieves 로고.svg파일:100 Thieves 로고 white.svg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파일:Leviatán_2021.png
<rowcolor=black>
1시드
2시드
3시드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FPX 로고 2021.svg 파일:Dragon_Ranger_Gaming_logo_without_text_allmode.png
<rowcolor=black>
1시드
2시드
3시드
파일:Fnatic 로고.svg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svg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rowcolor=black>
1시드
2시드
3시드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T1 로고.svg
<rowcolor=black>
1시드
2시드
3시드
파일:VCT_Masters_Logo_Small.png 2024 Masters SH 리그 별 진출팀
AMER CN
파일:100TMasters2024S2.jpg 파일:G2Masters2024S2.jpg 파일:LEVMasters2024S2.jpg 파일:EDGMasters2024S2.jpg 파일:FPXMasters2024S2.jpg 파일:DRGMasters2024S2.jpg
1시드 2시드 3시드 1시드 2시드 3시드
EMEA PAC
파일:FNCMasters2024S2.jpg 파일:THMasters2024S2.jpg 파일:FUTMasters2024S2.jpg 파일:PRXMasters2024S2.jpg 파일:GENMasters2024S2.jpg 파일:T1Masters2024S2.jpg
1시드 2시드 3시드 1시드 2시드 3시드

2.1. 로스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로스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일정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91919> 파일:VCT_Masters_Logo_Small.png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경기 일정
}}} ||
스위스
(5/23 ~ 5/27)
||
플레이오프
(5/30 ~ 6/9)
승자조 패자조
결승
결산

4. 대회 진행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191919> 파일:VCT_Masters_Logo_Small.png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스위스 스테이지
대진표 ( 0-0 | 1-0 | 0-1 | 1-1 )
}}} ||
<rowcolor=white>
1라운드 (5/23~24)
2라운드 (5/25~26)
3라운드 (5/27)
0-0 (Bo3, 5/23~24)
1경기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2 1 파일:T1 로고.svg
2경기
파일:FPX 로고 2021.svg 2 1 파일:FUT Esports 로고.svg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3경기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2 1 파일:Leviatán_2021.png
4경기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2 0 파일:Dragon_Ranger_Gaming_logo_without_text_allmode.png

초록색: 승리 | 파란색: 플레이오프 진출 | 빨간색: 탈락
파일:VCT_Masters_Logo_Small.png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스위스 스테이지 순위표
<rowcolor=white> 순위 R1 상대 R2 상대 R3 상대
1 파일:G2 Esports 로고.svg G2 2 0 파일:T1 로고.svg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
1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GEN 2 0 파일:Leviatán_2021.png 파일:FPX 로고 2021.svg -
3 파일:FUT Esports 로고.svg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FUT 2 1 파일:FPX 로고 2021.svg 파일:Dragon_Ranger_Gaming_logo_without_text_allmode.png 파일:Leviatán_2021.png
3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TH 2 1 파일:Dragon_Ranger_Gaming_logo_without_text_allmode.png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FPX 로고 2021.svg
5 파일:FPX 로고 2021.svg FPX 1 2 파일:FUT Esports 로고.svg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5 파일:Leviatán_2021.png LEV 1 2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T1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svg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7 파일:Dragon_Ranger_Gaming_logo_without_text_allmode.png DRG 0 2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svg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
7 파일:T1 로고.svg T1 0 2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Leviatán_2021.png -
초록색: 라운드 승리 | 빨간색: 라운드 패배
파란색: 플레이오프 진출 | 노란색: 탈락 | 회색: 라운드 미참여
파일:VCT_Masters_Logo_Small.png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플레이오프 대진표
<rowcolor=#fff>
1라운드
2라운드
3라운드
4라운드
{{{#!wiki style="margin: -12px -5px"<tablealign=center><table bgcolor=#fff,#191919>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1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2
5.31 17: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2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1
6.02 20: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0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2
6.07 16: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0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2
5.31 20: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svg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 white.svg 2
파일:FUT Esports 로고.svg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0
5.30 17: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svg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 white.svg 0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2
6.02 17: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파일:Fnatic 로고.svg 1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2
5.30 20: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3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2


{{{#!wiki style="margin: 30px -5px -12px -5px"<tablealign=center><table bgcolor=#fff,#191919>
<colbgcolor=#F5F5F5,#282828>
M4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0
M3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2
6.01 20: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30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M7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svg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 white.svg 2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1
6.03 17: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svg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 white.svg 0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2
6.07 19: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60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M11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0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3
6.08 16:00
}}}
{{{#!wiki style="margin: 30px -5px -12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M2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Fnatic 로고.svg 1
M1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FUT Esports 로고.svg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2
6.01 17: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30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M8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2
파일:FUT Esports 로고.svg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0
6.03 20:00
}}}


초록색: 다음 라운드 진출 | 노란색: 우승

4.1. 진행 방식

진행 방식 안내
각 권역 우승팀들은 플레이오프 라운드 시드를 받는다.
* 스위스 라운드
마스터스 마드리드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된다. 스위스 스테이지는 총 3라운드로 진행되며 1라운드는 각 권역 2시드 팀이 3시드 팀을(같은 권역팀 제외) 상대하며 2라운드 부터는 성적에 따라 상대팀이 결정된다. 모든 시합이 3판 2선승제로 진행되며 2승을 거두면 플레이오프 진출, 2패를 하면 탈락한다.
* 플레이오프 라운드
스위스 라운드를 통과한 네 팀과 권역 리그를 우승한 네 팀이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진행한다.

5. 이벤트 경기 - 신규 전장 쇼 매치

5.1. 경기 내용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어비스, set=1, teamD=CN, teamA=INTL,
dpic1=제트, dpic2=게코, dpic3=소바, dpic4=오멘, dpic5=피닉스,
apic1=레이즈, apic2=네온, apic3=오멘, apic4=게코, apic5=제트,
dplayer1=DANK1NG, dplayer2=Zhang Yanqi, dplayer3=Lizhi, dplayer4=XiaoJue, dplayer5=EQ118,
aplayer1=Masayoshi, aplayer2=Mittiii, aplayer3=Mixwell, aplayer4=Spicyuuu, aplayer5=Dohyeon,
dScore=<b>13, aScore=11)]

신규 맵 어비스에서 이벤트 쇼매치가 진행되며, 팀 인터내셔널에 한국인 인플루언서 도현이 참가했다.

6. 결과 및 총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결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글로벌 파트너

8. 공식 영상

9. 논란 및 사건사고

9.1. 마스터스 오프닝 티저 중 일부 팀 패싱 논란


대회 당일인 5월 23일, 마스터스 상하이의 오프닝 티저가 공개되었다. 그런데 티저 영상에서 일부 팀들이 나오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었다. VCT 팬들이 영상을 확인해본 결과 VCT CN 리그 3시드의 DRG는 영상에서 나오지 않았고, VCT EMEA 리그 3시드의 FUTVCT Pacific 리그 2시드의 GEN.G는 2초 내외로 정말 짧게 스쳐지나갔다.

보통 대회에 참여하는 모든 팀들이 오프닝 티저에 나오기 마련인데 일부 팀들을 패싱하게 되었으며, 자국에서 열리는 마스터스인데도 불구하고 중국팀의 3시드인 DRG는 영상 자체에 안나왔다는 것을 보면 오프닝 티저 검토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9.2. 중국 관중 젠지 차별, 참가 팀 솔랭/스크림 피해 논란

마스터스 마드리드에서 중국의 인기 팀인 EDG가 탈락한 상황에서, 젠지 프론트가 작년에 대형 사고를 치는 바람에 상하이 현장의 관중들이 젠지의 플레이에 일제히 침묵하거나 상하이라는 지역 특성상 중국 서버에서 랭크 게임을 돌리게 되는데 젠지 선수라는 것을 들키면 욕을 듣거나 트롤링을 하는 모습이라 고의 트롤링을 막기 위해 팀 스킨조차 빼고 신분을 숨기고 플레이하는# 황당한 상황이 이어지며 애꿎은 젠지 선수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 심지어 "Meteor" 김태오 선수가 직접 중국 관중들이 노골적인 침묵 외에도 상황에 따라 소리를 질러서 플레이를 방해하는 트롤링을 했으며, 그로 인해 "Munchkin" 변상범 선수가 분노했다고 회고하기도 했다.# 서구권 시청자들도 젠지를 노골적으로 무시, 홀대하는 중국 관중들의 관람 매너에 비판적인 의견을 내고 있는 상황.#

비단 관중 매너뿐만 아니라 현지에서 대부분의 팀들이 스크림을 못하고 있다는 인터뷰가 올라오면서 CN 지역에 대한 막장 운영과 부족한 인프라에 대한 우려도 이는 상황이다.#[3] 라이엇 측은 이런 참가팀 광역 피해 사례에 대해서 별다른 대책을 내지 않은 채 방치로 일관했다.

그러나 이런 라이엇의 노골적인 중국 푸시가 무색하게 중국 팀들은 EDG를 제외하고는 전부 광탈해버렸고, EDG도 플레이오프에서 연패하면서 가장 먼저 짐을 싸버린 뒤에[4] 중국 관중들의 노골적인 유럽, 북미 팀 자아 의탁에도 불구하고 가장 홀대받던 젠지가 우승을 차지하면서 4년 만에 종목을 바꿔서 상하이 라이브러리가 개장됐다.# 실제로 중계를 진행하던 타릭은 침묵하는 중국 관중 매너에 대해 비판적인 발언을 이어갔고, 젠지의 우승이 확정되자 '중국 관중은 최악'이라고 대놓고 비판하며 그의 채팅창도 상하이 라이브러리로 뒤덮였다.## 당일 인플루언서로 결승 직관에 참여한 도현의 발언에 따르면 젠지의 우승 당시 나오는 환호가 없던 것은 아니라고, 이로 인해 중계 송출에서 의도적으로 줄인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기도 했다. 실제로 젠지를 응원하는 치어풀을 들고 있는 관중도 비치긴 했으나, 절대적인 관중 수에서 너무 많은 차이가 나서 소리 차이가 난 것으로 추정된다.

9.3. 부모님의 인터뷰 발언 논란

6월 1일 PRXEDG의 패자조 경기가 있던 날, 전반전이 마무리된 이후 의 어머니와 엑스큐레이트의 인터뷰가 있었다. 인터뷰어가 찡의 어머니에게 "상하이에서 어떻게 지내고 계시나요?"라고 질문하자 찡의 어머니는 "좋아요. 상하이가 좋습니다. 한국보다 훨씬 더(much better than korea)"라고 말했는데, 인터뷰어는 "상하이가 그만큼 좋다는 뜻이겠죠"라면서 급하게 수습을 했고[5] 옆에서 인터뷰를 기다리던 엑스큐레이트는 그대로 얼어버렸다.#

권역별 경쟁 심리가 존재하는 발로란트 씬에서 한국과 같은 아시아 태평양 권역 소속인 PRX의 관계자가 팀 소속의 퍼시픽 리그가 열리는 국가인 한국을 대놓고 언급하며 비교하는 발언을 한 것이기 때문에 경솔하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상황이었다. 실제로 중계를 하던 타릭은 그대로 놀라 "What?"이라며 당황하는 반응을 보였고#, 그와 동시에 트위치 채팅창도 비판이 쏟아졌다.

국내 발로란트 커뮤니티와 유튜브에서도 여론은 좋지 않았고,## 결국 찡의 어머니는 인스타그램을 비공개 계정으로 전환하였다.#

10. 여담

  • 라이엇 e스포츠 사상 최초로 T1의 감독 AutumnFPX 선수 autumn이 동일 닉네임으로 참가하게 되었다. 라이엇은 닉네임 등록 규정이 존재해 현재 등록 중인 닉네임은 신규 등록이 불가능한데 왜 이렇게 됐는지는 불명. 그러나 이미 2021년에 롤에서 선수와 코치 닉네임이 겹친 경우가 존재했고 o나 0으로 달리하면 문제가 없었기 때문에 큰 문제는 아니다.

11.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4654>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
파일:vct_logo_text.svg
국제 대회
}}} ||
{{{#!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4px -1px -16px"
파일:VCT_Masters_Logo.png 파일:VCT_Champions_Logo.png
마스터스 챔피언스
2021 S1 S2 S3 | 2022 S1 S2 | 2023 | 2024 MA SH 2021 2022 2023 2024
지역 챌린저스 | 국제 리그
}}}}}}}}} ||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2024 시즌
국제 대회
파일:2024_Masters_Madrid.png 파일:600px-VCT_Masters_Shanghai_allmode.png 파일:발로란트 2024 챔피언스 서울 로고.png
마스터스 마드리드 마스터스 상하이 챔피언스 서울
국제 리그
파일:600px-VCT_2023_Americas_League_full_allmode.png 파일:VCT_China_vertical_full_allmode.png 파일:600px-VCT_2024_EMEA_League_full_darkmode.png 파일:600px-VCT_2023_Pacific_League_full_allmode.png
킥오프스테이지 1스테이지 2 킥오프스테이지 1스테이지 2 킥오프스테이지 1스테이지 2 킥오프스테이지 1스테이지 2

[1] 5월 23일 ~ 6월 3일[2] 6월 4일 ~ 6월 9일 승자조 및 패자조 결승, 그랜드 파이널[3] 이는 현지에서 중국 서버만 가능하고 바로 옆 아시아 서버를 플레이할 수 없어서 마스터스 출전 팀을 제외하고 스크림을 할 상대를 찾지 못하고 있음이 정론으로 보고 있다.#[4] 이런 중국 팀들의 부진으로 인해 중국 권역이 실력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시드권을 분배받고 있지 않느냐는 비판 여론으로도 이어지고 있다.[5] 이 과정에서 크게 당황한 나머지 엑스큐레이트의 이름을 f0rsakeN으로 부르는 실수를 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