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20:30:50

마인드 오버 매직

1. 개요2. 플레이 정보
2.1. 직업2.2. 마법사 특징2.3. 직업별 특징

1. 개요


Mind Over Magic

Sparkypants 개발, Klei Publishing 배급의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산소미포함과 비교적 흡사한 방식의 게임이다. 스팀 판매 중 이며 24년 현재 얼리억세스이다. 정식 한글화는 아직 지원하지 않으며 스팀 창작마당에 올라온 유저 한글패치를 이용하면 높은 퀄리티의 한글모드를 플레이 할 수 있다.

게임은 지속적으로 몰려오는 안개를 걷어내며, 건설, 생존, 마법사들을 교육시키고 전투하면서 엔딩까지 나아가는 내용이다. 땅을 직접 파 내려가지는 않으며 지상에 자신만의 마법사 학교를 직접 건설하고 지하로는 던전들을 탐험하면서 구역들을 발견한다.

2. 플레이 정보

해당 게임 특성상 처음 접하는 유저들이 플레이시 겪게 되는, 특유의 불친절한 게임설명을 먼저 보충한다.

2.1. 직업

게임에 나오는 마법사는 총 3가지 계급으로 학생, 수습생, 교사가 있다, 마법봉도 총 3가지 단계가 있으며 각각 전직이나 업그레이드시 최대 레벨 제한이 일정량 풀린다. 해당 계급에서 경험치와 모든 스킬을 다 획득하게 되면 화면 상단 초상화에 별이 붙으며, 이 상태에서만 의식 문장에서 승급(전직)이 가능해진다. 현재 최종 계급은 교사이며 최종 레벨은 18랩이다.[1]

특이한 점은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학생에서 바로 교사로 전직시킬수도 있고, 학생 - 수습생을 거쳐 - 교사로 전직 시킬수도 있으며. 학생에서 교육이 끝나자마자 바로 졸업시킬수도 있다. 각각 장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플레이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매번 선택하게 될것이다. 각각 선택지는

학생 - 만레벨(3레벨) - 졸업
별이 붙자마자 바로 졸업시키는 경우다. 이 경우 학교를 떠나게 되며, 이때 유물을 남기는데 이 유물을 얻기위해 졸업시키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유물은 마법사들에게 직접 착용시키거나 아니면 쪼개서 노시스의 조각을 만드는데, 이게 수습생이나 교사 임용 등의 승급 의식에 들어가는 필수재료이다. 덕분에 초중반 좋든 싫든 많은 신입생들을 받고 교육하고 원하는 몇명만 빼고 대부분 졸업시키게 되는 선택지다.

학생 - 교사
초반 레벨업이 끝나자마자, 교사로 임용하는 경우다. 단점은 확실한데 최대 레벨이 턱없이 부족해진다. 따로 마법봉 업글을 안해줄 경우 만렙이 6렙에서 멈추는데, 문제는 이 경우 레벨은 숫자만 오르고 실제 작업스킬은 3~4단계, 전투스킬은 1단계 정도에 그치게 되면서, 던전 전투는 물론이고 일상 작업에서도 여러모로 불리해진다. 극초반 어쩔수없이 교사가 더 필요하게 되는데 이때 대충 쓸만한 학생을 골라 교사로 임용하고 중반까지 쓰다, 스타팅 멤버 교사들과 더불어 퇴직시키고 물갈이 한다는 개념이다.

학생 - 수습생
초반 레벨업이 끝나고 수습생으로 전직하는 경우다. 해당 계열 마법사의 돌을 연구/ 제작 한 다음, 노시스의 조각을 재료로 넣고 의식을 거쳐 전직한다. 장점은 최종 레벨까지 도달가능한 루트다 보니 교사에 비해 만렙과 스킬레벨을[2]넉넉하게 풀어준다. 그리고 전직시 한 가지 마법을 추가로 배울 수 있는데, 이때 한쪽 전문화로 계속 가도 되고 원할경우 다른 계열의 보조마법을 배울 수도 있다.[3]

학생 - 수습생 - 교사
수습생으로 만렙찍고 교사로 전직하는 경우다. 플레이 해보면 알겠지만 마법사들을 무한으로 데리고 갈 수는 없고 실제로 여러 가지 제한이 걸리기 때문에 소수의 선택받은 마법사들만 골라서 끝까지 가게 되는 루트다. 단점은 키우는데 오래 걸리고 중간에 다른 멤버로 교체하기 쉽지 않다. 장점은 기술했듯이 보조로 두번째 마법을 배울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선택지가 생긴다. 그리고 최종 레벨까지 도달 가능하기에 당연히 스킬 레벨도 높아서, 후반으로 갈수록 여러 상황에서 필요해지는 순간이 온다.

2.2. 마법사 특징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일명 게임 내 일꾼들의 특징이다. 스타크래프트의 SCV 처럼 시키면 24시간 일하는 개체가 아니라, 산소미포함의 듀플들 처럼 먹고, 자고, 휴식하고 전투 후 피가 없으면 치료시켜주고 할꺼 다 하는, 즉 다 챙겨줘야 하는 개체들이다. 다행히 화장실은 가지 않는다. 만족도 개념이 존재하며 난이도에 따라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경고 후 폭주하고, 일정 시간 지속 후에 기절, 그대로 방치하면 시체가 된다.

2.3. 직업별 특징

학생
가장 큰 특징은 작업을 못한다. 지극히 제한적인 일만 가능하기에 수업 받는거랑 물건운반 정도의 일만 가능하고, 그 외에 다른 일은 할 수 있는게 없다. 특히 초중반 일손이 격하게 부족한데 아무리 스케줄 조정을 해서 일을 시켜봤자, 우선순위 메뉴를 열어보면 알겠지만 학생은 애초에 할 수 있는 작업 자체를 다 막아놔서 다른건 못한다. 차라리 최대한 빨리 레벨을 찍어서 졸업이나 전직시키는게 최선이다. 한번에 보유하고있는 학생 수가, 현재 교수 숫자의 두배 이상이 되면 전체 마법사들에게 디버프가 걸리기 때문에 음식이나 침대가 넉넉하더라도 한번에 너무 많이 받으면 좋지 않다.

사실상 가챠 처럼 학생을 받고 상태를 살펴본 후 맘에 들거나 뛰어난 애들만 수습생이나 교사로 전직시키고 나머지는 졸업시키는게 대부분이다. 맘에 안드는 애들은 받자마자 추방을 할 수도 있지만 이경우 남아있는 마법사들에게 각종 디버프가 생기게 되고, 이런류의 게임은 부정적 스노우볼이 구르기 시작하면 겜이 한순간에 걷잡을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추천하진 않는다.

수습생
교수만 할 수 있는 몇가지 일을 제외한 대부분의 작업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인 주 계열 마법을 4단계이상, 전투스킬은 2단계 이상 대부분 배울 수 있기 때문에 전투에서도 충분히 쓸만해진다. 따라서 교수가 넉넉하다면 수습생 상태로 데리고 있다가 레벨업이 끝나면, 스케쥴을 교육 대신 작업으로 바꾸고 그대로 써도된다. 수습생부터 본격적으로 레벨이 풀리게 되는데 레벨이 높아질수록 숨겨진 좋은 특성과 나쁜 특성이 발현한다. 무작정 스텟만 보고 투자했던 마법사가 고레벨이 되면서 생각못한 디버프를 달게 될수도 있으니 주의.

교수
교수의 수는 유령교수를 제외하고 3명을 넘어가면 만족도 디버프가 걸리기 시작한다. 따라서 무작정 교수를 늘리기도 애매하므로 결국 시작멤버를 첨부터 끝까지 데리고 가기는 힘들고, 중반쯤에 교체를 하다가 후반에 가서 최종적으로 남겨둘 각 교수를 생각하면서 플레이 하는 것이 좋다. 교수만 가능한 작업들은 대부분 중요한 것들이기 때문에 언제 어떤 마법사를 교체하고 임명할지도 전략의 일부이다.


[1] 학생의 경우 원하는 1단계 마법봉을 제작한 후, 의식을 통해 소환하는데 선택한 기본 마법(화염, 번개 등등)외에는 모든것이 랜덤이다.[2] 이 게임은 단순 경험치와 스킬레벨이 따로 존재한다. 경험치는 그냥 숫자라고 생각해도 무방하고, 실제로 필요하고 올라야하는 건 작업용스킬이나 전투스킬이다.[3] 즉 물 마법사가 물+화염(보조)로 갈수도 있고, 물+물 마법사로 갈수도있다. 이때 던전 전투에서도 보조계열 마법을 쓸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