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1 03:44:33

막힐 비에서 넘어옴
아닐 부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4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7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いな, いや, わる-い
-
표준 중국어
fǒu, pǐ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否는 '아닐 부' 또는 '막힐 비'라는 한자로, '아니다', '부정(否定)하다', '막히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는 U+5426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一火口(MFR)로 입력한다.

(입 구)와 (아닐 불)이 합쳐진 회의자이다.

(아닐 불)과는 뜻이 다르다. 不이 일반적인 문장에서 부정의 의미로 쓰인다면 否는 그 부정하는 행위를 2, 3자 입장에서 서술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국회 본회의에서 의안에 대한 무기명 투표 결과를 발표할 때 '가 ○○○표, 부 ○○○표, 기권 ○표로서..." 라고 언급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부'가 바로 이 글자다. 따라서 국회에서 어떤 안건에 대해 반대표를 던질 경우 한글로 '부'라고 적거나 한자로 '否'라고 적어야 한다. 그런데 국회의원들이 부결의 부 자를 ''로 잘못 알고 적어서 무효표가 나오는 경우가 있다. # #

3. 용례

3.1. 단어

3.1.1.

3.1.2.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4. 유의자

  • (아닐 불)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파리할 망)
  • (잔 배)
  • (클 비)
  • (기울 왜/외)
  • (살구 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