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에 대한 내용은 만무방(영화) 문서 참고하십시오.
1. 개요
김유정이 지은 단편소설이다. 1935년 7월 17일부터 7월 31일까지 『조선일보』에 연재되었다. 그 뒤 1938년에 간행된 단편집 『동백꽃』에 재수록되었다. 덧붙여서 만무방이라는 단어는 '염치가 없이 막돼먹은 사람'을 의미하는 강원도 방언이다.2. 줄거리
응칠은 전과자이다. 그는 송이 파적을 하며 근근히 살아간다. 산에서 닭을 보자 곧장 잡아먹기도 한다. 숲에서 나온 응칠은 성팔이를 만나 동생 응오의 벼가 도둑맞았다는 소문을 듣게 된다. 응칠이는 그 소식을 전한 성팔이를 의심하게 된다. 응칠이도 5년 전에는 착실한 농사꾼이었지만, 빚을 갚아낼 길이 없어 그만 도둑질, 도박을 일삼게 되었고, 구걸 끝에 아내와 아이들과도 헤어지게 되었다. 결국 그런 삶을 전전하다가 감옥에까지 들어가게 되고, 한 달 전에 아우가 그리워 이 마을로 돌아온 것이다.응칠은 스스로 응오의 벼를 훔쳐간 도둑을 잡고, 이 마을을 떠나기로 결심한다. 전과자인 응칠이 의심받게 될까 두려웠던 것이다. 시기상 논에 벼는 다 추수되었어야하는 시기이지만, 응오는 아픈 아내를 간호하느라 벼를 베는 것을 포기했다. 사실 이는 핑계로, 안 그래도 무거운 소작료를 내면 남는 것도 없는 판에 흉년까지 들어, 일은 일대로 하고 지주와 빚쟁이들에게 다 뜯길 판이라, 결국 시위하듯이 남들이 벼를 다 거두고 털도록 자기 논은 버려둔 것이다. 설상가상 응칠은 돕겠답시고 지주에게 소작료를 깎아주라고 호기롭게 요구하다 지주가 그깟 쌀 안 받아도 그만이지만 소작인들 버릇 나빠진다는 심보로 거절하자 뺨싸대기를 날려서 더 화나게 만들었다.
바위 굴 속에서 노름판을 발견한 응칠은 도박[1]으로 돈을 딴 후[2] 서낭당 앞 돌에 앉아 덜덜 떨며 도둑을 잡기 위해 잠복한다. 닭이 세 홰를 울때, 복면을 한 그림자가 나타나 벼를 훔치는 것을 보자, 응칠은 격투 끝에 도둑을 잡아 복면을 벗기고 절망한다. 도둑은 바로 응오였던 것이다. 즉 소작료를 떼 가는 것을 막기 위해 '자기 벼를 훔친' 것이다.[3][4]
응칠은 눈물을 흘리며 둘이 함께 황소를 훔치자고 제안하지만, 응오는 부질없다는 듯 형의 손을 뿌리치고 달아나려 한다[5]. 결국 응칠은 화가 치밀어 응오를 몽둥이질로 쓰러뜨리고는 한숨을 쉬며 응오를 등에 업은 채 고개를 내려간다.
3. 여담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에서 출제됐다.4. 관련 문서
[1] 종목은 화투인데, 응칠이 자신있는 것은 투전으로 보인다. 투전과 화투 공통의 룰로 진행할 수 있는 도박이므로 지꼬땡이나 그의 원형이 되는 도박으로 추정된다.[2] 와중에도 공산을 밑장빼기하려다 들키기도 한다. 응칠뿐만 아니라 자리에 동석한 다른 도박꾼도 속임수를 쓰다 호되게 얻어맞아 판이 파토나는 것을 보면 애시당초 정상적인 화투판이 아님을 알 수 있다.[3] 그 훔쳐가는 양은 한 손으로 가뿐하게 들 수 있는, 고작 한 말 반 정도 되는 분량이었다. 이만큼의 쌀을 위해 범죄까지 손대게 되는 당시 농민들의 처참한 환경이 드러나는 부분.[4] 자기 걸 자기가 훔치는 상황적 반어라고 할 수 있다.[5] 정확히 무엇을 하자고 말해주진 않았지만, 한밤 중에 돈버는 일이 뭘지야 뻔하다. 아예 듣지도 않는 것이 상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