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6 20:35:38

목사(관직)

1. 개요
1.1. 상세
2. 일본 고전 문학의 등장인물

1. 개요

목사(牧使)는 대한민국의 전신 중앙집권국가였던 고려, 조선의 관직. 아래의 (牧)을 관할하는 지방관이다.

1.1. 상세

목은 부-목-군-현의 순서대로 두번째로 높은 등급의 지방행정구역이고 목사의 직위는 지방관 중에서 현재의 도지사에 해당하는 '관찰사(觀察使)[1]', 를 관할하는 '부윤(府尹)[2] 다음에 위치하는 조선시대 정 3품에 해당하는 직책이다.[3]

현대 한국으로 따지면 판윤은 서울특별시장, 유수나 부윤은 인천과 같은 수도권광역시[4], 목사는 비 수도권의 광역시 또는 특례시 시장 격으로 보면 유사하다.[5]

2. 일본 고전 문학의 등장인물

일본 고전 문학에 등장하는 괴물. 모티브는 임진왜란 당시 일어난 제1차 진주성 전투에서 3800명의 관군+시민군 조합만으로 왜군 2만 명을 막은 진주 목사 김시민.

제1차 진주성 전투에서 압도적인 병력과 수준차에도 불구하고 크게 참패한 일본은 진주성과 그 지휘관에 대해 이를 갈게 된다. 왜군은 복수를 위해 상대편 지휘관이 누구인지를 알아보려고 애를 썼지만 이미 김시민은 1차 진주성 전투 중에 맞은 유탄 후유증이 악화되어 사망한 뒤였다. 결국 제대로 알아내지 못하고 그저 '목사' 라는 직위와 목사로 진급하기 전에 '판관'이었다는 것만 알아내게 되었는데 왜군에선 이걸 김시민의 이름으로 생각하고 '적의 지휘관 목사 판관을[6] 쳐부수자!' 라는 일념에 불타오르게 되었다. 이것이 나중에 일본으로 건너가 괴물로 형상화된 것. 심지어는 괴도 지라이야 민담에도 끼어들어가 김시민이 지라이야의 아버지라는 식으로 각색되었다.

사실 이는 어느 정도 의도된 바였다. 진주성의 조선군은 김시민의 죽음 이후 그의 죽음을 숨기기 위해 시신을 몰래 가매장했다가 나중에 그의 고향인 천안으로 옮겨 제대로 된 무덤을 만들어 주었다. 지휘관의 죽음을 알게 된 왜군이 다시 몰려올 것을 우려해 단행한 조치였다. 김시민에 대해 극도로 적의를 품고 있던 왜군이 제2차 진주성 전투 때 어떤 참상을 벌였는지 생각하면 결과적으로 대단히 현명한 조치인 셈.

이들의 착각은 전쟁이 1년이 지난 뒤에도 고쳐지기는 커녕 점점 더 악화되어서 제2차 진주성 전투때는 9만 명에 달하는 사실상 전병력에 지휘관도 고니시 유키나가, 가토 기요마사, 우키타 히데이에, 다테 마사무네 등 올스타급을 투입하여 조선군의 격렬한 저항을 물리치고 가까스로 성을 함락시키게 만들었다. 그리고 왜군은 김시민의 뒤를 이어 목사로 부임했던 서예원의 목을 벤 뒤 같은 '목사' 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서예원이 그 김시민인 것으로 착각, '드디어 우리의 원수 목사판관을 잡았다!' 며 희희낙락했다. 심지어 나중에 서예원의 목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까지 바쳐졌다고 한다. 그만큼 이 '목사'가 일본에서 얼마나 경계의 대상이였는지를 알 수 있는 대목.

결국 왜군은 이미 죽은 사람을 이겨보겠다고 그 난리를 친 것이다. 그리고 결국 압도적인 물량으로 진주성을 함락시켰지만 왜군 역시 상당한 피해를 받은 터라 일본은 다시 전라도 진출을 포기해야했고 이것을 마지막으로 왜군은 정유재란 전까지 전라도를 넘보지 못했다.

물론 국토가 전장이 된 조선에서도 이와 비슷한 일이 많다. 예를 들면 시마즈 요시히로를 심안돈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어서 임진왜란의 기록을 살펴보면 '여러 명의 시마즈 요시히로' 가 조선 남부를 유린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실은 한 사람이 여기저기 돌아다니고 있는 것이었지만 그의 이름을 제대로 몰랐던 탓에 각 전장의 지휘관들은 지들 꼴리는 대로 한자 이름을 장계에 써 보냈고 이를 받은 조정은 전부 다 다른 사람이라고 판단해서 생긴 오류다.

적군의 유명인을 착각하는 일은 몇백 년 후인 제2차 세계 대전은 물론 베트남 전쟁, 이라크 전쟁에서도 항상 일어나는 일이다.

임진왜란이라는 전쟁이 얼마나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는지 잘 보여 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1] '감사(監司)' 라고도 불렀다.[2] 단, 한성부의 장은 '판윤(判尹)', 강화·개성·광주·수원·춘천부의 장은 '유수(留守)' 라 했다.[3] 보통은 정 3품 당하관인 통훈대부/어모장군이 목사에 임명되었으나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제주도의 특성상 제주목에 한하여 정 3품 당상관인 통정대부/절충장군이 임명된다. 또한 제주목사는 종 2품 전라도 수군방어사나 제주진 병마수군절제사를 겸하며(때때로 겸하는 관직없이 목사로만 제수되어 부임하는 경우도 많았다.) 대정현감, 정의현감을 관리·감독하는 등(다른 지역의 수령들은 관찰사가 아닌 한 절대 불가능한 일이었다.) 전라감사의 권한을 일부 위임받았다.[4] 윤(尹)이라는 한자의 뜻 자체가 수도권에 있는 지방을 다스리는 자를 뜻한다. 삼국지에도 하남윤(河南尹)이라 하여 낙양이나 장안 등 궁궐이 있는 도시의 지방관 관직이 존재했다. 도시 이름도 하남윤, 그 도시 지방관 관직 명도 하남윤으로 동일했다.[5] 그 아래인 대도호부사는 변방이나 군사기지에 있는 도시의 시장이고 도호부사는 변방의 소도시 시장이다. 쉽게 말해 부윤은 수도권이면 인구가 많은 인천광역시, 성남시, 수원시의 시장이고 목사가 비수도권이면서 인구가 많은 대구광역시, 창원시의 시장이라면 대도호부사는 그보다 조금 적은 의정부시나 진주시의 시장, 도호부사는 인구가 더 적은 여주시, 영천시, 나주시 등의 시장이라고 보면 될 듯.[6] 이름으로 착각한 '목사' 에 관직명인 '판관' 을 붙여서 탄생한 듯하다. 일본식 발음으로는 '모쿠소 호간(木曽判官)'이라고 읽는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