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성 (Jupiter) | |
<colbgcolor=#e69f91> 성별 | 남성 |
소속 | 태양계 - 가스형 행성(거대 가스 행성) |
또 다른 이명 | 거대한 놈 (Big guy) 가니메데 행성 살성마 (Planet Killer) 행성 X 큰 형 (Older Brother) 지구 |
위성 | 가니메데, 유로파, 칼리스토, 이오 외 91개 |
첫 등장 | What if the Sun disappeared? 만약에 태양이 사라져버린다면?[공식_한국어판_번역] |
[clearfix]
1. 개요
SolarBalls의 등장 캐릭터이다. 실제 태양계에서처럼 5번째 궤도에 속한 행성이며, 소행성대 뒷 편에 위치해 있다.[2]태양계에서 제일 똑똑한 가스행성으로, 친절하면서도 부드러운 성격을 가지고있다. 자기 주변의 암석 행성들이 워낙에 사고뭉치들이라 뭔가 위험한 짓을 하려고 하면 단호하게 막아내는 등 엄한 면모도 갖고 있긴 하다.
2. 작중 행적
2.1. 단편 에피소드
'만약에 태양이 사라져버린다면?'[공식_한국어판_번역] 에피소드에서 지구, 화성, 금성이 갑자기 태양이 사라지게 된다면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던 도중에 끼어들어 만약 그때가 된다면 어떻게든 중력을 모아 모두를 지켜내고 싶긴 하지만 그 중력이 충분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말을 전한다.'명왕성이 다시 행성이 된다고...?'[4] 에피소드에선 명왕성의 꿈 속에서 태양을 몰아내고 명왕성을 항성으로 만드는 모습으 등장한다.
'왜 금성이 실종된 걸까?'[5] 에피소드에서 금성이 어디로 갔는지 의문을 표하던 나머지 암석 행성들한테 금성은 지금 태양 반대편에 있다고 알려준다.
'금성에서 살아남기' 에피소드에서 금성에서 금성 탐사 로봇한테 쫓기던 애스트로듀드를 구하기 위해 소행성대에서 소행성들을 모으던 화성과 지구, 금성과 만난다. 이 소행성들을 모아서 금성한테 던질 것이라는 화성의 말에 처음에는 그러면 안 된다고 나무라지만 이내 애스트로듀드를 구하기 위해 그런 것이라는 말에 좋은 작전인 것 같다며 납득한다.
'금성은 변신하고 싶어!'[6] 에피소드에서 화성이랑 대화하다가 천왕성한테로 향하는 금성을 발견하곤 이내 금성의 눈을 토성의 고리의 잔해로 찌른 것 때문에 금성의 호통에 토성이 울먹이자 그를 달래주러 다가온다.
'화성에서 소리가 날까?'[7] 에피소드에서 애스트로듀드가 아내와의 결혼 기념일을 축하해주기 위한 화성에서의 피아노 연주를 다른 행성들과 같이 경청한다.
'수성은 행성이 아니라고?'[8] 에피소드에서 금성한테 놀림받고 온 수성한테 결국 행성은 크기와는 상관없이 행성으로 인정받는 조건 알려주며 그를 진정시킨다. 그리고 수성이 조금씩 작아지는 중이라는 사실을 알리려던 토성한테 그냥 저러고 즐기게 냅두자며 막아세운다.
'행성들끼리 궤도를 공유한다면?'[9] 에피소드에서 태양한테 실컷 태양 플레어를 맞은 후 기분이 잔뜩 상한 수성이 금성의 궤도를 공유하려고 하자 이를 막아세운다.
'달의 어두운 면' 에피소드에서 배경으로 잠깐 등장한다.
'소행성대에 뭔가가 숨어 있어...' 에피소드에서 소행성대에서 세레스를 발견한 화성한테 세레스를 비롯한 왜소행성들에 대해 알려준다.
'달이 정말 우리를 떠난다면?' 에피소드에서 금성을 통해 서로 간의 거리가 조금씩 멀어지고 있었다는 이유로 한바탕 싸우던 지구와 루나한테 그 이유에 대해 알려준다.
'우리의 태양을 교체할 수 있을까?' 에피소드에서 지금의 태양한테 질려 새로운 태양을 찾아보겠다는 지구의 말에 '직접 태양을 만들어내지 않는 한' 그건 불가능한 소리라며 말리려다가 오히려 직접 태양을 만들면 된다는 쪽으로 아이디어만 제공해버린 꼴이 되어버려 이에 엄청 걱정한다. 그렇게 '지구가 무엇을 짓고 있는 거지!?' 에피소드에서 태양을 만들기 위해서는 어마어마한 질량을 가진 천체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나누던 지구, 화성, 금성의 뒤로 갑툭튀하며, 잠깐 등장한다. 그러다가 '목성을 두번째 태양으로 바꿀 수 있을까?' 에피소드에서 토성이랑 대화하다가 지구, 화성, 금성이 자신을 태양으로 만들어 버리겠다는 말에 크게 화를 낸다.
'천왕성의 비밀' 에피소드에서 해왕성이 결국 천왕성한테서 엄청난 악취가 난다는 비밀을 누설해버리자 다른 행성들과 같이 잠시 벙찐다.
'모든게 다 다른 행성과 가장 가까운 행성은...' 에피소드와 '가장 무거운 행성은...!' 에피소드에서 태양이 주최한 최고의 행성 대회에 참가해 있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특히 '가장 무거운 행성은...!' 에피소드에서 본인이 가장 크고 무거우며 중력이 가장 강한 행성이라서 자신이 곧 우승자라는 사실에 기뻐하나 이내 주최자인
'태양이 블랙홀로 바뀐다면!?' 에피소드에서 천왕성이 그린 태양계 그림을 보고 해왕성처럼 천왕성이 해왕성 때문에 깜짝 놀라서 실수로 칠해버린 검은 얼룩을 블랙홀로 착각하며 태양이 블랙홀로 바뀌게 되면 발생하게 될 상황에 대해 설명해준다.
2.2. 달 혁명 시리즈
'목성의 달' 에피소드에선 타이탄을 애타게 찾고 있었던 토성을 보고 최대한 타이르듯이 달래준다.'금성 VS 화성' 에피소드에서 토성한테 금성과 화성의 경기 스타일을 설명해주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그리고 소행성 피구에서 자기한테로 날아오는 소행성을 스윙바이로 화성에게 맞춰버려 대결의 야기한다.
'위성 군대' 에피소드에서 자신이 책 읽는 것까지 방해할 정도로 타이탄을 찾아다니는 토성한테 결국 진절머리가 나서 홧김에 토성이랑 싸우고 사이가 멀어지게 된다. 이후 자신의 갈릴레이 위성들도 여태 돌아오지 않았던 것을 깨닫고 이후 타이탄에 이어 그 자의 복수일거라며 본인도 서서히 불안해하기에 이른다. 그러는 동안 자신들의 다른 위성들의 이름을 토성마냥 틀리며 없다가 갑자기 나타난 존재마냥 취급하자 자신들의 다른 위성도 달혁명에 들어가는 계기가 되고만다.
2.3. 행성 X 시리즈
행성 X의 환영을 보는 목성 |
아... 걔가 돌아온다고? 진짜 돌아온다고?
Oh, is he back? Is he really back?
그렇게 '목성이 실종되다!' 에피소드에서 행성 X의 환영을 보게되며 자신의 불안감이 더욱 극대화되어 카어퍼 벨트에 틀어박힌다. 그러는 동안 해왕성과도 만나고 해왕성이 가장 아끼는 소행성인 "기예르모(Guillermo)"랑 잠시 대화를 나누기도 하다가, 자신의 위성들이 부축하며 다시 나오게 된다.Oh, is he back? Is he really back?
'위성 클럽' 에피소드에서는 달 혁명 때부터 떠오른 복수에 대한 우려와 '목성이 실종되다!' 에피소드에서의 트라우마가 아직 가시질 못했는지 여전히 불안에 떨면서 자기 위성들만 계속 애태우게 만든다. 그러다가 다른 위성들이 모두 자기들만 멀리하는 것 같다는 가니메데와 유로파의 신세 한탄을 듣게 되면서 다른 위성들한테 무슨 원한 살 짓을 했냐면서 그 둘한테 물어본다. 아무튼 이로 인해 타이탄이 마련한 자신의 행성들한테서 느끼는 문제점을 말하는 자리에서 본인의 위성들이 직접 언급한 문제로 '편애'와 '본인한테 얽혀있는 비밀'이 언급된다.
'태양계 재판' 에피소드에서 여전히 불안에 잠겨있던 도중에 토성이랑 만나 잠시 자신의 위성들이 자신을 걱정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나누면서 조금씩 안정을 되찾아간다.[10] 이후 금성과 화성에 의해 태양의 심판 하에서 진행되는 재판에 참여한다. 그렇게 위성들에 의해 지구가 위성들을 무시하는 발언을 했었다는 걸 알게 되자 니가 어떻게 그럴 수가 있냐면서 잠시 지구를 나무란다. 그렇게 어찌저찌 재판이 잘 마무리되어가고 제법 괜찮은 판결까지 나오면서 좋아하다가 결국 태양이 달 혁명의 주동자였던 가니메데와 유로파를 추방시키자 두 위성들의 애원에도 불구하고 태양에 대한 두려움과 죄책감으로 인해 차마 이를 말리질 못한 채, 그 둘을 떠나보낸다.
'행성 X를 수색하다' 에피소드에서는 가니메데와 유로파가 결국 추방 당하자 믿을 수 없다며 자책하는데, 왜 그들을 도와주질 못했냐는 토성의 말에 과거와 똑같은 실수를 다시 저지를까봐 차마 나서질 못했다는 말을 꺼낸다. 그러곤 토성이 절대로 그런 일이 없을 거라며 다독여주자 일단 진정해보기로 한다. 그러나 이상한 낌새를 눈치 챈 화성이 무슨 일이냐며 물어보러 오자 대답하기를 잠시 망설이다가 토성에 의해 제지 당한다. 그렇게 토성한테 그 일로 목성이 본인이 괴로워하는 걸 더는 원치 않는다는 말을 듣고 더더욱 고민하다가 이로 인해 더 큰 혼란을 야기할 수도 있다는 듯한 토성의 충고를 바탕으로 이내 가니메데와 유로파를 도울 방법을 모색한다. 그러던 도중 자신의 위성들 중에 하나인 이오와 칼리스토, 그리고 해왕성의 위성인 트리톤까지 만나게 되는데, 그들이 지금 태양계에서 추방당한 가니메데와 유로파를 찾으러 가고 있다는 중이라는 것과 본인들이랑 루나, 해왕성의 어린 위성들을 제외한 위성 클럽 회원들이 가니메데와 유로파의 추방을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음을 알게 되자 이에 엄청 경악하며, 태양으로부터 크게 봉변 당할 위성들을 걱정해 토성과 함께 위성 클럽의 시위를 막아세우러 간다. 그렇게 어찌저찌 가니메데와 유로파를 제외한 행성들과 위성들이 또 다시 태양 앞으로 모이자 분노하는 태양을 상대로 열심히 추방을 반대하는 입장을 내놓는 티타니아와 타이탄 등의 위성들과 지구, 금성, 화성 등의 암석 행성들을 계속 지켜보다가 마침내 태양한테 처음으로 본인 역시 이건 아닌 것 같다며 자신의 의견을 조심스럽게 드러낸다.
'빅뱅' 에피소드에서 1부에서는 애스트로듀드의 이야기가 끝나고 바로 다음 장면에서 현재의 모습으로 짤막하게 등장한다.
과거의 목성 |
그랜드 택을 일으킨 이후 |
태양: 으아아아아악!!! 내... 내 행성들이... 어떻게 된거야?!
(행성 X: 이봐요, 태양님.)
(태양: 무슨 일인데?)
(행성 X: 목성한테 물어봐야 할 것 같은데요.)
(태양: 목성... 왜 니 궤도에 있지 않은거니?!)
목성: 제... 저...
(행성 X: 목성, 그냥 털어놔.)
목성: 저... 저는 그 행성들을 멈추려 했어요. 그 암석행성들... 걔네들이 일어나서는 자기들 궤도를 나가려고 했어요...
(행성 X: 뭐?! 야, 그건 사실이...)
목성: 몇몇은 서로 부딫혔고, 몇몇은 태양계를 이탈했어요.
(행성 X: 태양님, 거짓말이예-)
(토성: 목성이 맞아요! 목성이, 마치 롤모델 처럼, 걔네들을 막기 위해 궤도를 나갈 수 밖에 없었어요.)
(행성 X: 이봐요, 태양님.)
(태양: 무슨 일인데?)
(행성 X: 목성한테 물어봐야 할 것 같은데요.)
(태양: 목성... 왜 니 궤도에 있지 않은거니?!)
목성: 제... 저...
(행성 X: 목성, 그냥 털어놔.)
목성: 저... 저는 그 행성들을 멈추려 했어요. 그 암석행성들... 걔네들이 일어나서는 자기들 궤도를 나가려고 했어요...
(행성 X: 뭐?! 야, 그건 사실이...)
목성: 몇몇은 서로 부딫혔고, 몇몇은 태양계를 이탈했어요.
(행성 X: 태양님, 거짓말이예-)
(토성: 목성이 맞아요! 목성이, 마치 롤모델 처럼, 걔네들을 막기 위해 궤도를 나갈 수 밖에 없었어요.)
- 원문 [ 펼치기 · 접기 ]
- >(Sun: AHHHHH!!! MY-MY PLANETS!! What happened to them?!)(Planet X: Hey, Sun.)
(Sun: What is it?)
(Planet X: I think you should ask Jupiter about it.)
(Sun: Jupiter… Why are you Not in your orbit?!)
Jupiter: I-I-
(Planet X: Come on Jupiter, just say it.)
Jupiter: I- I tried to stop them. The rocky planets. They- they w-woke up and tried to leave their orbits...
(Planet X: What?! Hey that's not-)
Jupiter: Some of them crushed and some just left the Solar System.
(Planet X: Sun, he's lyin-)
(Saturn: That's right! Jupiter had to leave his orbit and chase them, like the big role model he is.)
그러다가 태양이 보지 않을 때 토성이 있는 곳으로 건너가려다 실수로 태양이 겨우겨우 지켜낸 암석 행성들을 모두 충돌시켜 박살내는 바람에 토성과 행성 X와 함께 위기를 맞이한다. 태양한테 사실대로 이를 말하고자 하는 행성 X의 주장과 태양으로부터 목성을 보호하고자 하는 토성의 입장이 서로 충돌하는 걸 옆에서 지켜만 보다가 결국 이를 눈치챈 태양 앞에서 두려움에 암석 행성들이 서로 알아서 충돌했다고 거짓말을 해버린다.
중력으로 인해 날아가는 행성 X |
'돌아온 행성 X' 에피소드에서 자신이 태양계에서 가장 큰 존재라고 호통치던 태양한테 자신도 바로 그 다음으로 큰 천체라고 말하며, 태양 역시 본인의 중력에 영향을 받아 서로가 서로를 향해서 공전 중이라는 것과 심지어 과거에 태어났을 때 들었던 태양의 말을 떠올렸는지 자신도 본래 항성이 될 수 있었던 존재이지 않았냐며 반박한다. 이러한 목성의 의외의 모습에 모든 태양계 천체들이 응원하지만 조금씩 피어오르는 부담감과 과거의 죄책감 때문에 지구한테서 "당신은 정말 최고의 행성이잖아요"라는 격려에도 불구하고 다른 태양계 천체들한테 되려 호통치며 자리를 박차고 나간다. 그렇게 과거의 잘못과 불안에서 벗어나질 못하고 계속 괴로워만 하다 결국 그 모습에 실망한 화성한테 한소리를 듣곤 무언가 결심한 듯한 표정을 짓는다. 그렇게 토성과 같이 태양한테로 가서 자신이 과거에 저질렀던 일들에 대해 털어놓으려다가 갑자기 태양한테서 또 태양계 너머로 무언가(행성 X, 가니메데, 유로파, 프로테우스)가 오고있다는 소식을 듣는고 본인도 이미 짐작이 다 되었는지 긴장한 표정을 짓는다. 그렇게 그들을 처리하려는 태양의 행동을 저지하려 했지만 역부족이였고 결국 행성 X에게 날아오는 소행성을 대신해서 맞아주며, 행성 X한테 사과를 하려고 했었지만 통하지 않았다.
태양: 네가... 초기의 암석 행성들을 파괴했고, 거짓말 하고, 행성 X를 쫓아냈고, 또 거짓말 했던거야?!
Sun: You... destroyed the early rocky planets, lied about it, then ejected Planet X, and lied about it AGAIN?!
그렇습니다. 이 모든게 사실입니다, 태양님.
Yes. All of this is true, Sun.
태양: 넌 우리가 생각했던 네가 아니였어. 이렇게 된 이상, 너를...
Sun: You are not who we thought you were. I have no choice but to-
추방시키십시오. 이해합니다.
Banish me. I understand.
결국 행성 X의 폭로와 함께 이 모든 걸 다 자백하고 겸허히 태양계 밖으로의 추방을 받아들인다.Sun: You... destroyed the early rocky planets, lied about it, then ejected Planet X, and lied about it AGAIN?!
그렇습니다. 이 모든게 사실입니다, 태양님.
Yes. All of this is true, Sun.
태양: 넌 우리가 생각했던 네가 아니였어. 이렇게 된 이상, 너를...
Sun: You are not who we thought you were. I have no choice but to-
추방시키십시오. 이해합니다.
Banish me. I understand.
추방된 이후의 목성 |
위성들에게 소리치는 목성 |
그 암석 행성들을 부순 후, 새로운 애들을 지킬 수 있는건 무엇이든 했었지... 금성, 화성, 지구, 수성, 가엾은 테이아까지...
(루나: 테이아? 테이아가 누구야?)
(타이탄: 묻지마, 나도 몰라.)
나... 나... 난 이게 모든걸 고칠 줄 알고 소행성대를 확인하고, 안정하게 하려고 내 크기와 중력을 쓰고, 날아오는 소행성들을 태양계로부터 제거하고, 아니면 소행성대에 묶어놨었지.
(유로파: 그러니까... 그동안 모두를 지킨거예요?)
하... 아무것도 달라지지는 않았지만...
(루나: 목성님, 이... 이게 진짜라면, 몇십억년 동안이나 내행성들을 지킨거잖아요! 뭐라도 말했어야죠! 그러니까, 당신 덕분에 지구가 생명을 가질 수 있었어요!)
그게 내가 한짓에 대한 변명이 되니?!
(루나: 아니요... 하지만...)
그러면 닥쳐! 태양이 내가 돌아오기를 원하지 않는 이상, 여기가 내가 지낼 곳이야, 그러니까 가버려... 나의 핵에서 나온 환상들아!
(루나: 테이아? 테이아가 누구야?)
(타이탄: 묻지마, 나도 몰라.)
나... 나... 난 이게 모든걸 고칠 줄 알고 소행성대를 확인하고, 안정하게 하려고 내 크기와 중력을 쓰고, 날아오는 소행성들을 태양계로부터 제거하고, 아니면 소행성대에 묶어놨었지.
(유로파: 그러니까... 그동안 모두를 지킨거예요?)
하... 아무것도 달라지지는 않았지만...
(루나: 목성님, 이... 이게 진짜라면, 몇십억년 동안이나 내행성들을 지킨거잖아요! 뭐라도 말했어야죠! 그러니까, 당신 덕분에 지구가 생명을 가질 수 있었어요!)
그게 내가 한짓에 대한 변명이 되니?!
(루나: 아니요... 하지만...)
그러면 닥쳐! 태양이 내가 돌아오기를 원하지 않는 이상, 여기가 내가 지낼 곳이야, 그러니까 가버려... 나의 핵에서 나온 환상들아!
- 원문 [ 펼치기 · 접기 ]
- > After I destroyed the rocky planets, I did everything I could to protect the new ones: Venus, Mars, the Earth, Mercury, even poor Theia.(Luna: Theia? Who's Theia?)
(Titan: Don't ask me.)
I... I... I kept the Asteroid Belt in check, used my size and gravity to keep it stable, ejected upcoming asteroids from the Solar System, or trapped them into the Asteroid Belt, like that would fix anything.
(Europa: So you... protected everyone for all this time?)
Pfft... It didn't fix anything, so...
(Luna: Jupiter, i-if this is true, then you've been protecting the inner planets for billions of years! You should have said something! I mean, the Earth has life because of you!)
DOES THAT EXCUSE WHAT I DID?!
(Luna: No, but...)
THEN SHUT UP! Unless the Sun wants me to come back, this is where I'll stay, so leave you... imaginary figments of my core-imagination!
행성 충돌을 일으킨 이후 자기가 남은 암석행성들을 지키기로 마음 먹었음을 털어놓는데,[15] 위성들이 이를 태양에게 고하고 추방을 면했어야한다고 말하지만, 자신은 그게 변명이 될 수 없을거라며 태양이 자기의 귀환을 바라지 않는 이상 돌아가지 않겠다고 소리치고 달아나버린다.
'행성 X의 대결' 에피소드 마지막에서 행성 X가 태양계 위성들과 대결한 후 마지막에 사실상 위성들을 죽일 기세로 압살해버린 것 때문에 사실상 모든 태양계 천체들한테 강한 질타를 받고 스스로 태양계를 떠나고 본인이 있었던 그 자리에 있는 자신을 뒤에서 바라보자 순간 놀란다.
카이퍼벨트 외부에서 서로 만난 행성 X와 목성 |
그 사건 이후로, 나는 바뀌려고 노력했어. 태양계가 너무 불안정하니, 내가 도와야 했지.
(행성 X: 도운다고? 헛소리 하지 마, 태양이 태양계를 안정하게 하는...)
태양 혼자선 할 수 없었어, 그래서 내 중력으로 소행성대를 관리했고, 암석 행성들에게 가는 소행성은 크게 줄어들었지. 그러다, 네 개의 암석행성들이 살아남았고... 한 녀석은 생명까지 길렀더군.
(행성 X: 잠깐만, 그러면... 40억년동안이나 소행성대 전체를 관리했던거야?)
X, 미안. 변명하려는건 아닌데. 나... 나는 진짜 그 일 이후로 바뀌어보려고 노력했어, 하지만 이젠 내가 한 짓에 대해 아무것으로도 용서 받을 수 없단걸 알아.
(행성 X: 아니, 어떤 것으로도 용서할 수 없어, 그러니까... 돌아가서 모두를 계속 지켜야해.)
뭐... 뭐라고?
(행성 X: 너의 작은 위성 가니메데 말이야. 걔는 처음에는 너의 어릴 적 같았는데... 리더로서의 롤모델이 어떤건지 알고 성장한 것 같아. 너처럼.
하지만 나는... 파괴를 너무 많이 일으켰는걸.
(행성 X: 목성, 모두가 너에게 의지하고 있으니까, 더이상 죄책감 갖지 말고... 돌아가, 알겠니? 그 일이 너의 기분을 편하게 한다면, 그게 너에 대한 속죄야.)
(행성 X: 도운다고? 헛소리 하지 마, 태양이 태양계를 안정하게 하는...)
태양 혼자선 할 수 없었어, 그래서 내 중력으로 소행성대를 관리했고, 암석 행성들에게 가는 소행성은 크게 줄어들었지. 그러다, 네 개의 암석행성들이 살아남았고... 한 녀석은 생명까지 길렀더군.
(행성 X: 잠깐만, 그러면... 40억년동안이나 소행성대 전체를 관리했던거야?)
X, 미안. 변명하려는건 아닌데. 나... 나는 진짜 그 일 이후로 바뀌어보려고 노력했어, 하지만 이젠 내가 한 짓에 대해 아무것으로도 용서 받을 수 없단걸 알아.
(행성 X: 아니, 어떤 것으로도 용서할 수 없어, 그러니까... 돌아가서 모두를 계속 지켜야해.)
뭐... 뭐라고?
(행성 X: 너의 작은 위성 가니메데 말이야. 걔는 처음에는 너의 어릴 적 같았는데... 리더로서의 롤모델이 어떤건지 알고 성장한 것 같아. 너처럼.
하지만 나는... 파괴를 너무 많이 일으켰는걸.
(행성 X: 목성, 모두가 너에게 의지하고 있으니까, 더이상 죄책감 갖지 말고... 돌아가, 알겠니? 그 일이 너의 기분을 편하게 한다면, 그게 너에 대한 속죄야.)
- 원문 [ 펼치기 · 접기 ]
- >After everything that happened, I tried to change. The Solar System was very unstable, so I had to help.(Planet X: Help? Come on, the Sun is the one that...)
The Sun couldn't do it alone, so I used my gravity to keep the Asteroid Belt in check, so fewer asteroids would go towards the rocky planets. In the end, four rocky planets survived and... one developed life.
(Planet X: Wait, you were... holding the entire Asteroid Belt for over 4 billion years?)
I'm sorry, X. I'm not trying to excuse myself. I... I really tried to make a difference after all that happened, but now I know nothing will make up for what I did.
(Planet X: No, nothing will make up for what you did, so... you have to go back and continue to protect everyone.)
W-what?
(Planet X: Your little moon, Ganymede. He reminded me of your younger self at first, but... I think he grew up somehow, realized what it means to be the role model, the leader of the pack. Like you.)
But I... caused so much destruction.
(Planet X: Others depend on you now, Jupiter, so stop feeling sorry for yourself and just... go back, okay? That's how you'll serve your sentence, if that makes you feel any better.)
그러곤 행성 X가 태양계에서 사라진 후 마음을 고쳐먹고 내행성들을 지키며 태양계의 균형을 위해 지금껏 힘쓰고 있었다고 밝히며, 태양계에는 여전히 자신이 필요하지만 이제 자신은 여기서 속죄하고 있다고 털어놓는다. 그렇게 행성 X의 인정을 받게되고 자신은 드디어 본래의 궤도와 위성들을 돌려받는다.
나중에 보자, 목성.(I'll see you later, Jupiter.) | 잘있어, X.(Goodbye, X.) |
X, 미안해. 너의 화와 외로움은... 나 때문이잖아.
(행성 X: 아마 그렇겠지, 하지만 그게 나를 정의하진 않을거야.)
이 놈을 가져가, 그러면... 외롭지 않을거야.
(행성 X: 나중에 보자, 목성.)
잘있어, X.
(행성 X: 아마 그렇겠지, 하지만 그게 나를 정의하진 않을거야.)
이 놈을 가져가, 그러면... 외롭지 않을거야.
(행성 X: 나중에 보자, 목성.)
잘있어, X.
- 원문 [ 펼치기 · 접기 ]
- >X, I'm sorry. All your anger, all your loneliness... it's because of me.(Planet X: Maybe, but it won't define who I am anymore.)
Take him, so you're not... truly alone.
(Planet X: I'll see you later, Jupiter.)
Goodbye, X.
행성 X가 떠나기 전 그한테 자신과 그동안 함께 해 준 기예르모를 내어주면서 드디어 행성 X와 진정으로 화해하고는 그하고의 작별을 고한다.[16]
2.4. 테이아 이야기 시리즈
이후 행성 X가 떠나고 '목성이 돌아왔다!' 에피소드에서는 행성 X가 궤도로 돌아가라고 했는데도 불구하고 이곳에 있으면 남들에게 찍히지도 않을거란 안심과 그러면서도 태양계를 지키러 가야한다는 의무 사이에서 갈등한다.태양계로 돌아가는 목성 |
(꿈 속의 토성: 그래, 현실을 봐 목성아. 우주에서 생명체는 불가능하다고!)
(Saturn in Dream: Yeah, get real, Jupes. Life is not possible in the universe!)
가능해. 그리고 지켜야해.
It is possible, and I have to protect it.
꿈을 꾸고난 이후 태양계로 돌아오면서 한 말.
그러다가 어릴적으로 돌아와서 만약 자기가 소행성대를 건너가지 않아 그랜드 택이 일어나지 않고 초기 암석행성들이 남아 있었지만 대신 여전히 태양계가 불안정하고 소행성들이 계속 충돌해 지구같은 생명체를 품은 행성은 없었을 때의 꿈을 꾸게되었고 결국 그들을 지켜야 한다는 다짐으로 태양계로 돌아간다.(Saturn in Dream: Yeah, get real, Jupes. Life is not possible in the universe!)
가능해. 그리고 지켜야해.
It is possible, and I have to protect it.
꿈을 꾸고난 이후 태양계로 돌아오면서 한 말.
태양계로 돌아온 목성 |
Hey, everyone.
오랜만이야, 얘들아.
이후 태양계로 어색한 마음은 들지만 돌아오게 되며 태양계 식구들 앞에서 모습을 보인다.오랜만이야, 얘들아.
2.5. 단편 시리즈 에피소드
작중 해왕성의 궤도에 있을때의 모습 |
2.6. SOLARCARD 홍보 영상
'솔라카드 - 공식 킥스타터 트레일러' 영상에서 또 다시 불안 증세를 보이며 토성한테 이를 내비치다가 암석 행성들이 자신의 궤도를 벗어났다는 토성의 말에 당장 암석 행성들이 있는 곳까지 가서 당장 각자의 궤도로 돌아가라고 말하려다가 이들이 '솔라카드'라고 하는 카드 게임 중임을 깨닫는다.[17] 그렇게 암석 행성들한테서 이 게임에 대한 룰을 듣게 된다. 카드를 보던 중 행성 X에 대한 카드까지 있음을 확인하곤 그게 대체 무슨 카드냐는 다른 암석 행성들의 질문을 대충 얼버무리며 저 멀리 던져버린다. 아무튼 이 게임에 흥미를 느끼고 본인도 합류해서 게임을 하려다가 갑작스런 태양의 난입으로 인해 재빨리 도망친다.3. 캐릭터 관계
- 가니메데, 유로파, 칼리스토, 이오 등의 자신의 위성들 - 두 말 할 것도 없는 자신의 소중한 위성들.
- 토성 - 최고의 가스 행성 절친.
- 지구, 화성, 금성, 수성 - 자신의 보호 속에서 살아가는 자기 남동생 같은 느낌의 암석 행성들. '우리의 목성을 교체할 수 있을까?' 에피소드에서 지구가 자신을 태양계의 큰 형이라고 칭하는 걸 통해 암석 행성들한테서 크게 존경받는 존재로 보고 있었음이 밝혀졌다.
- 루나 - 자신이 보호하던 암석 행성 중 하나인 지구의 단 하나 뿐인 위성.
- 태양 - 좀 괴팍하긴 해도 자신이랑 같이 태양계의 균형 유지에 있어 꼭 필요한 존재.
- 천왕성, 해왕성 - 자기랑 친한 거대 얼음 행성들. 다만 천왕성은 행성 X가 꼬드기는 바람에 본인을 비롯한 다른 태양계 식구들과 멀어졌다.
- 행성 X - 자신의 실수로 인해 생긴 트라우마와 같은 존재. 하지만 행성 X가 스스로 태양계를 나간 뒤 서로 이야기를 나누며 현재는 서로 화해한 사이가 되었다.
4. 평가
다소 사이코같던 모습을 보여주던 플래닛볼에 비해 전체적으로 상당히 푸근한 느낌의 신사적인 성격이라 팬들한테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캐릭터이다.달 혁명 시리즈에서 자신의 과거와 관련된 떡밥이 생기자 그의 대한 평가가 잠시 주춤하기도 했고, 과거 에피소드 전까지만 해도 팬들 사이에선 한동안 과거에 행성 X를 강제적으로 추방시킨 원흉으로 의외의 흑막 이미지가 될 것이라는 추측이 나돌았다. 거기다 달 혁명에 들어서면서 갑자기 추가된 떡밥이라 그런지 너무 갑작스럽게 캐릭터가 변한 것 같다는 여론도 존재했다.
다만 과거 빅뱅 에피소드 이후로는 오히려 자신의 과거의 실수와 돌아온 행성 X 에피소드에서는 이로 인한 행성 X의 의도적인 폭로로 인해 자신의 모든 걸 잃게 된 피해자가 되어 동정심을 크게 받게 되었다. 또한 다른 천체도 아닌 태양계에서 태양 바로 다음으로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하는 자신이였기에 본인의 추방으로 인해서 태양계에 위기가 찾아오게 되었기에 팬들 사이에선 동정을 넘어 아예 용서까지 해달라는 반응까지 나올 정도가 되었다. 심지어 행성 X의 폭로 이전에 태양과 목성이 서로 태양계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까지 한 상황이였기에 폭로 이후 목성을 바로 경계하게 된 행성들과 위성들을 나무라는 반응까지 나오기도 했다.
5. 2차 창작
상당히 신사적이고 똑똑하다는 캐릭터성 덕분에 태양계에 속한 모든 천체들한테서 '모두의 아빠'라는 느낌으로 거의 취급된다. 특히 똑똑하다는 설정 때문에 원작에서는 겨우 2번 밖에 안 쓰고 나왔던 안경을 자주 쓰고 다니는 것 마냥 표현되기도 하며, 아예 의인화 시 정장 차림까지 해서 상당히 세련된 이미지로 자주 묘사된다.자신의 절친인 토성과 커플링으로 자주 엮이고, 성격은 정반대지만 자신이랑 같이 태양계에서 가장 중요한 영향력을 담당하는 태양과도 자주 엮인다. 자신의 위성들 중에서는 갈릴레오 위성들인 가니메데, 유로파, 칼리스토, 이오와 주로 엮이는 편이고, 암석 행성들 중에서는 특히 지구랑 자주 엮이며, 아예 지구를 자신의 아들처럼 여기는 거의 단골 급의 팬설정도 들어간다. 달 혁명 이후 행성 X와 관련된 떡밥이 생긴 것 때문에 행성 X하고도 엮이며, 당시 과거 설에 대한 추측만 난무하던 당시에는 현재의 성격과는 대비되는 깡패 이미지로 그려지다가 '빅뱅' 에피소드 이후부터 공개된 과거 모습 이후부턴 해당 이미지가 사라지게 되었다.
6. 여담
보통 태양계를 소재로 한 창작물에서 나오는 목성 캐릭터들은 대체로 그 큰 덩치 때문에 힘은 쎄지만 머리가 참 나쁜 캐릭터로 나오거나 허세가 많아 자신의 덩치에 대해 잘난 척도 하는 둥의 덩치 캐릭터의 클리셰대로 주로 묘사되곤 하는데, 여기서는 태양계 내에서 최고로 똑똑한 거대 가스 행성으로 다른 행성들한테 궁금한 것이 생기면 친절하게 설명해주는 캐릭터이며 겸손하고 부드러운 성격으로 나와 기존 목성 캐릭터의 클리셰를 깨부순 사례가 되었다. 이러한 면모를 아주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가 앞서 말했듯 '만약 행성들의 순서가 크기대로 정해졌다면?' 에피소드인데, 태양에 의해 자신의 궤도가 크기 순대로 바꿔 해왕성의 궤도에서 고생을 한 와중에도 해왕성이 다시 자신의 궤도로 돌아가겠다는 말에 정말 그래도 되겠냐며 걱정부터 하는 둥 그의 성격 됨됨이에 대해 잘 알 수 있는 부분 중에 하나다.책 같은 걸 볼 때, 가끔씩 안경을 쓰는 걸로 보인다. 이는 '목성의 달' 에피소드와 '빅뱅' 에피소드에서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자기가 카이퍼 벨트에 가게되는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해왕성이 가장 아끼는 소행성인 기예르모와 엮이는 일이 잦았다. '만약 행성들의 순서가 크기대로 정해졌다면?' 에피소드에서는 아예 기예르모의 환청까지 듣기도 했다. 이후 '행성 X의 대결' 에피소드에서 행성 X한테
[공식_한국어판_번역] 공식 한국어판 번역명은 '태양이 사라진다면?'이다.[2] 행성 X 시리즈에서는 '돌아온 행성 X' 에피소드 이후엔 태양계에서 추방 당해 카이퍼 벨트 바깥 영역에서 지냈었다. 이후 개심한 행성 X가 궤도를 돌려주고 이후 목성이 돌아올거라는 스토리에 따라 자신의 원래 5번째 궤도로 돌아갈 가능성이 높다.[공식_한국어판_번역] [4] 공식 한국어판 번역명은 '명왕성이 다시 행성이 되었다..?'이다.[5] 공식 한국어판 번역명은 '금성이 어디갔을까요?'이다.[6] 공식 한국어판 번역명은 '금성은 예뻐지고 싶어요!'이다.[7] 공식 한국어판 번역명은 '화성에서 소리를 들을 수 있을까?'이다.[8] 공식 한국어판 번역명은 '수성은 과연 행성일까?'이다.[9] 공식 한국어판 번역명은 '행성들의 궤도가 겹치면 어떻게 될까?'이다.[10] 해당 묘사를 봐선 달 혁명 시리즈 때 서로 싸웠던 걸 지금은 잘 화해한 모양이다.[11] 작중에선 태양의 힘으로 탄생된 것처럼 묘사되지만 실제 목성은 태양의 힘만으로는 만들어질 수 없으며, 다른 항성들 간의 초신성 폭발의 흔적으로 태양과 함께 만들어진 행성이라고 추정되고 있다. 자세한 건 목성 항목 참조.[12] 이 때 당시의 목성은 달 혁명 시리즈 이전에서의 지구랑 상당히 유사한 모습을 보여준다. 토성이 말했던 생명체 가능성에 대해서도 비관적으로 무시하는 모습을 봐선 어쩌면 오마주일지도 모른다.[13] 이는 목성이 태양과 토성 사이의 중력의 영향을 받고 움직이면서 그 당시 암석 행성들같은 태양계 내부 천체들을 충돌시키거나 천왕성, 해왕성, 행성 X 등의 외부 천체들을 멀리 튕겨냄으로써 현재의 안정적인 태양계로 만들어냈다는 그랜드 택 가설에서 유래되었다. 애스트로듀드 역시 이 점을 명확히 한다.[14] 재업로드 전에는 'The Solar System Without Jupiter (태양계에서 퇴출된 목성)'이라는 제목이였다.[15] 이때 금성, 화성, 지구, 수성과 함께 테이아의 존재까지 언급하게 된다. 물론 그 당사자인 루나 본인은 물론 나머지 현재 위성들한테도 잘 모르는 행성일 테니 굉장히 초면인 반응은 덤.[16] 추방되어 있는동안 쌓인 다크서클이 행성 X와 대화하면서 점점 사라지는데, 이에 행성 X에 대한 불안, 죄책감과 트라우마 또한 대거 사그라들었다는 의미로 보인다.[17] 이때 목성이 또 그러냐라는 식으로 말하는 걸 보면 암석 행성들이 카드 게임 하느라 자신의 궤도에서 벗어나 있을 때마다 이를 제지하는 역할로써 자주 해온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