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터 마인 Mr. Mine | |
링크 |
1. 개요
광부들을 이용해 땅을 파는 아이들 형식의 게임. 현재는 일부 웹사이트와 스팀에서 서비스가 되고 있다.역사로만 따지면 2013년부터 존재하던 연식있는 게임. dr.meth라는 일명 '마약게임'의 후원금을 받아 개발한 게임이다. 2013년 버전은 503km가 엔딩이며, 당시의 최종 업데이트는 2015년이 끝. 당시에도 중독성있는 게임으로 여러 유저들이 플레이했었다. 2020년에 판권이 playsaurus[1]로 넘어가며 수많은 업데이트가 진행되기 시작했다. 당장 몆달 전에도 시스템을 갈아엎는
한때 국산게임인 "지구를 뚫어라!" 라는 게임이 거의 완전히 표절했던 게임이다. (다만 표절한 게임은 적어도 비브라늄같은 추가적인 메커니즘을 추가하려는 노력을 하였으며, 비브라늄이라는 메커니즘은 역으로 표절로 피해를 입은
더 많은 정보는 팬덤위키에서 얻을 수 있다.
2. 디스코드 대화방
게임을 하며 공략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땐 디스코드 미스터 마인 공식 대화방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1. 백과사전처럼 공략 가이드가 나와있지는 않지만, 각종 영어 게시판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뭣보다 살아있는 백화사전(플레이어) 또는 개발자에게 공략법을 얻을 수도 있다.
2. #korean 게시판에도 한국인 유저들이 상주하며 도움을 주는 경우가 많다. 고수들이 많이 있다. 몇천 km를 판 사람이 더 많이 판 사람들에게 질문하는 걸 볼 수 있다.
3. 매달 티켓 15개 혹은 그 이상을 받을 수 있는 쿠폰 코드를 발행해준다. 티켓 15개면 게임에서 며칠동안 매일 몆시간씩 생쇼를 해야 얻어지는 분량이다! announcements 메뉴에 알림이 뜨면 확인할 수 있다. 꼬박꼬박 받아먹도록 하자.
4. 잘 모르겠으면
3. 초반부에 해놓아야 할 것들 정리와 조언
게임의 특성상, 원하는 대로 플레이하다가 나중에 그 댓가를 치르는 일이 많다. 여기서는 고수들이 뉴비들에게 항상 신신당부하는 것들을 적어놓는다.- isotope (동위원소)는 절대 판매하지 말아라!
조금만 진행해봐도 알수 있지만, 초반부터 우라늄 233을 2000개나 요구하는 저장고 업그레이드부터가 고역의 시작. 나중에 가면 별의 별 레시피에서 여러 동위원소들을 요구하며, 심지어는 동위원소가 수만~수천만개 씩으로 충분하지 않으면 진행조차 안되는 진행 필수 컨텐츠가 등장[스포일러][3]하기 때문에 절대로 판매해선 안된다. 초반부에 폴로늄3의 초고가에 환호할 수는 있으나,(무려 50,000,000$이다) 초반에 앵벌이할때만 한두개씩 팔고, 나중에 (100km쯤부터)는 굳이 팔지 말자. 레시피에 수십만개씩 들어간다.
이러한 동위원소들은 파는건 한순간이지만 수량을 복구하려면 말그대로 수십 ~ 수천시간의 플레이가 들어가므로, 후회하지말고 미리 말 듣자. - 그럼 발전소에서 소모하는 동위원소들은 어떻게 아끼거나 모으는가?
{{{#!folding 스포일러 - 권장 km가 스포일러임
{{{#!folding 1132km 이상(달 100km이상) 권장
우선 발전소까지 게임을 진행할 정도면, 지구에서 얻는 우라늄/플루토늄/폴로늄은 막 써도 된다. 단, 초록색 연료봉은 예외적으로 금물이다. 노란색과 하늘색(군청색 말고, 에너지 생산이 음수인거)도 생기는대로 만들어도 된다. 어차피 헬륨은 레시피에 영 안들어가며, 질소도 발전소 언락 이전 레시피에나 나오고, 후반에 타이탄가서 다시 수십만개의 질소를 모으라고 할때 즈음이면 이미 플레이어가 수십시간의 파밍에 익숙해질대로 익숙한 상태가 되어서(...)... 단, 아인슈타늄은 예외적으로 하늘색 폭격 셀에 들어가지만 생산도 발전소에서만 되므로, 평소에 열심히 아인슈타늄을 제련하던게 아니면 좀 아껴야 한다. 특히 아인슈타늄-3가 극도로 희귀하다!! 어쨌든, 결론적으로, 발전소를 해금한 뒤부터 발전소에서 요구하는 자원들은 아인슈타늄 빼고 연료봉 제작에 막 써도 된다. (아인슈타늄을 소모 하는 연료봉은 최고레벨 발전소에서 해금된다.)}}}}}}
- 후반부 레시피들은 결국 얻는 곳이 있다.
"아니 드릴센터에서 사는 레시피 벌써 다 끝났는데 어케 점점 느려지는 땅파기로 수백 km를 파요?" 라는 질문이 속속히 올라오는데, 게임 열심히 진행하다보면 다 방법이 나온다. 알려주는 것 자체가 재미를 반감하는 스포일러이기에, 2중 접기 문법을 사용하여 1번째에는 힌트를, 2번째에는 정확한 정보를 적도록 한다.
- 1 : (50km 이상 권장, 한번 펼칠경우 힌트)
- 50km 주변에 음산한 기분이 든다.... (한번더 펼칠경우 스포일러)
- 50km 갱도의 왼쪽쯤을 자세히 보면 틈새로 어느 눈빚이 지켜보고 있다. 해당 틈새를 누르면 새로운 드릴 레시피 해금. 예전에 드릴 레시피 구매와 제작이 따로 분리되어 있던 시절에는 해당 틈을 누를시, 뼈밖에 없는 golum이라는 생명체가 친절하게 레시피를 판매하는 창이 열렸었다.
- 2 : (200km 이상 권장, 한번 펼칠경우 힌트)
- 200km 아래의 갱도를 잘 살펴보자. 누군가 도움을 요청하는것 같다.. (한번 더 펼칠 경우 스포일러)
- 225km의 갱도를 보면 이번엔 로봇이 있다. 해당 로봇을 누르면 새로운 드릴 레시피 해금. 예전에 드릴 레시피 구매와 제작이 따로 분리되어 있던 시절에는 해당 로봇을 누를 시, 로봇이 레시피를 팔면서 대사가 하나 나오는데, 그 대사가 가관. "제발 뭐라도 구매해주세요... 저 자신을 수리할 비용이 필요해요"라고 말했었다.
- 3 : (100km 이상 권장, 한번 펼칠경우 힌트)
- 3-1 : 거래자들은 원하는걸 얻기 위해서든 무엇이든지 판매할 것이다. (한번 더 펼칠 경우 스포일러)
- 거래소에서 거래자가 종종 원래 얻어야 할 가격보다 더 저렴하게 블루프린트를 판매하곤 한다! 다만 이 값에도 랜덤값이 있으니, 이득이라고 보일때 사자. 참고로, '''위의 2번 경로로 얻는 블루프린트 이후의 블루프린트들은[스포일러][5] 이 경로로밖에 못얻는다. 제작 자원에 돈이 포함됨에 따라, 이렇게 얻은 블루프린트의 제작 가격은 해당 블루프린트의 구매 가격과 별개가 되었다. (이전에는 이 경로로 얻을 경우 '블루프린트를 구매한' 판정이라 돈을 따로 더 지불할 필요가 없었으나, 블루프린트 구매 가격이 블루프린트 내로 포함되는 업뎃 이후 이렇게 바뀌었다.)
- 3-2 : 땅이 주는 진정한 "보물" 은 "지식" 이다 (한번 더 펼칠 경우 스포일러)
- 아직 소지하지 않은 블루프린트들 중 플레이어의 진행 척도에 적절한 블루프린트[스포일러][7]는 뭣이든지 황금상자에서 확률적으로 얻을 수 있다![8] 원래는 이렇게 얻을 경우 중 다른 곳에서 얻을수 있던 블루프린트는 돈내지 않고 구매비용(자원 외에 블루프린트 자체의 가격[9]) 없이 꽁으로 얻었었으나, 업데이트로 인하여 블루프린트 "과거의 구매가격"은 곧이곧대로 지불해야 되는 꼴이 되었다. 허나 3-1 방법을 따라 구매까지 하고 제조에 돈 또쓰는 것보다는 한참 이득이란 사실은 변치 않는다.
- 4 : (900km 이상 권장 한번 펼칠경우 힌트)
- 솔직히 이때쯤 되면 예상이 될텐데 말이다. 계속 해라. 아니면 한번 더 눌러서 스포를 굳이 보던가.
- 1000km까지 파면 지구 반대편을 뚫고 나오며, 여기서 1km를 더 파면 연속으로 31km를 더 파고 내려가서 달로 가버린다.... 이때, 새로운 3단계정도의 블루프린트들이 해금된다.
- 원래 땅파는 속도는 느리다.
인내가 필요하다. 처음에는 몇초마다 깊이가 갱신되지만, 좀만 가도 1km당 1시간씩은 기본이요, 나중에는 드릴을 얼마나 강화해도 1km당 100시간 내로 파는게 빠른 편이다! 물론 중간중간에 나오는 별의별것들로 인해 지루함은 좀 덜겠지만.
- 상자깡은 생명이다.
50km쯤 파다 보면 40km 이하의 광부들이 간혹 상자를 찾는다. 80km 아래로부터는 훠얼씬 더 고급인 황금상자도 간간히 나온다. 클릭해서 수거할 수 있으며, 대략 15~60분 내로 수거하지 못하면 그냥 사라진다. 사실상 이게 게임의 심장이라고 봐도 무관할 정도로 게임 진행에 도움이 되는 것 부터 천문학적인 자원과 시간을 쓰지 않으려면 필수인 것들[스포일러][11] 까지 나오므로, 열심히 돌아다니자. 상자 탐지기를 얻기 전까지는 많이 힘들것이다....
4. 깊이에 따른 특수시설
<rowcolor=#ffffff> 깊이 | 시설 | 간단한 설명 |
<rowcolor=#ffffff> 0km | sell center | 광물을 판매해 돈을 번다 |
<rowcolor=#ffffff> hire center | 더 많은 광부를 고용하거나, 더 좋은 도구를 장착시킨다 | |
<rowcolor=#ffffff> drill center | 드릴 레시피를 구매하고, 더 빠른 드릴을 제작한다 | |
<rowcolor=#000000> 10km | special miner | 대략 2년전쯤 새로 생긴 시설. 고효율이나 특수 기능을 가진 슈퍼광부들을 고용한다 |
15km | trade post | 플래시에서 넘어오면서 생긴 시설. 여러 가지로 여러 가지를 교환한다 |
<rowcolor=#ffffff> 40km | cave | 동굴 탐사 기능을 해금한다 |
<rowcolor=#ffffff> 50km | golum | 더 좋은 드릴 레시피를 구매할 수 있다 |
<rowcolor=#ffffff> 112km | mr.mime | 까꿍!! |
<rowcolor=#ffffff> 225km | broken robot | 자신을 수리할 비용이 필요하다며 더욱 상위의 레시피를 판다 |
<rowcolor=#ffffff> 300km | underground city | 보석 제작, 석유 채굴, 무기 제작에 쓰인다 |
<rowcolor=#ffffff> 400km | Imp Underload | 보스 1. 여기서부턴 100km마다 고난도의 전투를 해야 진행할 수 있다. |
<rowcolor=#ffffff> 500km | The Unnamed | 보스 2. 방사능으로 호흡하는 괴물이다. |
<rowcolor=#ffffff> 501km | the core | 광석, 과학자, 유물을 던져 넣으면 조금 더 저가의 다른걸로 교환시켜주거나 그냥 먹튀한다(...) 상당히 복잡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으므로 문서의 후반에 후술한다. |
<rowcolor=#ffffff> 600km | Immortal Warlock | 보스 3. 이름값 하는 모습을 한 녀석이다. |
<rowcolor=#ffffff> 700km | Demon Beast | 보스 4. 용암과 암석으로 뒤덮이고 크리스탈이 돋아난 모습. 여기서부턴 보스들에게도 모션이 생긴다. |
<rowcolor=#ffffff> 800km | Ancient Wizard | 보스 5. 과거의 마법사라는데 그냥 골렘이다. 사망 직전 모션이 특이하게도 무너진채 위에 꽃이 핀 모습이다. |
<rowcolor=#000000> 900km | Radioactive Butcher | 보스 6. 왜인진 모르겠지만 900km에 투입된 인부들이 변형된 모습인듯. |
<rowcolor=#000000> 1000km | 지구 반대편 | 노인이 깜짝 놀란다. 기능은 없음 |
<rowcolor=#ffffff> 1001km ~ 1032km (0km[12]) | space | 훅 지나가진다. 10시간 간격으로 클릭시 업적을 달성할 수 있는 작은 ufo가 15분동안 지나간다. |
<rowcolor=#ffffff> 1032km (0km) | sell center | 지구의 판매센터와 동일 |
<rowcolor=#ffffff> hire center | 지구의 고용센터와 동일 | |
<rowcolor=#ffffff> drill center | 지구의 드릴센터와 동일. 여기를 해금하면 달 레시피가 해금된다. | |
<rowcolor=#ffffff> 1047km (15km) | moon trading post | 달 교환소. 지구 교환소와 같지만 레벨이 따로 책정되며, 지구 자원은 취급 안한다.[13] |
<rowcolor=#ffffff> 1089km (57km) | jeb | 까꿍 2, 누르면 공짜 황금상자가 나온다. |
<rowcolor=#000000> 1132km (100km) | The Infected | 보스 7. 거대하고 망가진채 우주복을 입은 인부의 모습이며, 정황상 보스 8에게 감염된 인부로 보인다. (보스 층 주변에 놀라서 자빠진 다른 인부들이 보인다) |
<rowcolor=#000000> 1133km (101km) ~ 1134km (102km) | reactor | 동위원소로 원자로를 만들고 전기를 생산한다. |
<rowcolor=#ffffff> 1135km (103km) | buff lab | 사실상 위의 발전소와 한몸. 전기를 버프로 변환한다. |
<rowcolor=#ffffff> 1233km (200km) | The Infector | 보스 8. 눈알 하나 주변에 촉수가 가득 돋아난 모습. 정황상 이녀석이 인부를 감염시켜 보스 7로 만든듯 하다. |
<rowcolor=#ffffff> 1257km (250km) | robot mk.2 | 레벨24~26의 새로운 레시피가 해금된다. |
5. 유물
유물에는 각각 흥미로운 효과와 고유의 희귀도가 붙어 있다. 희귀도와 실제 입수 난이도가 무조건 일치하지는 않았었으나, 현재는 어러 업데이트로 인해 꽤나 일치해졌다.이름 | 이미지 | 희귀도 | 효과 | 성능(0강) | warped(1강) 성능 | divine(2강) 성능 | 최대치 |
endless mining speed portion | 채광속도 증가[14] | 6% | 8% | 13% | |||
endless drilling speed portion | 드릴 속도 증가 | 10% | 15% | 20% | |||
sack of edurance | 버프 기간 증가 [스포일러][16] | 7% | 10% | 15% | |||
golden sovel | 모든 광물 판매값 증가[17] | scythe | |||||
copper scythe | |||||||
golden scythe | |||||||
5.1. 유물 업그레이드
스포일러로 볼수 있으나, 게임의 주요 메카닉이기에 서술한다.유물을 얻다 보면, 아무것도 안하는 book of secret이라는 유물을 얻을수 있다. 희귀도만 legendary인 예능형 유물인줄 알면 오산. 앞으로 이 유물이 나오게 되면 어떻게 해서는 얻는 것을 권장한다. 다름 아닌 유물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재료이기 때문.
먼저 유물을 업그레이드 하려면 500km까지 진행을 해서 Core(내핵)을 해금해야 한다. 이후 book of secret 유물을 넣을 경우, 코어가 오염 (corrput)되며, 이때 다른 유물을 던져 넣으면 50% 확률로 (그 외는 그냥 유물을 잃는다) ???계열의 유물을 얻을 수 있다.
허나, 이런 유물을 얻는 것은 손해이다. 진가는 내핵(Core)가 오염되었을때 book of secret을 던져넣을 경우, 100% 확률로 book of secert+ 라는 유물을 얻게 되며, 이 유물을 다시
유의사항으로, divine 상태의 코어에 book of secret을 넣으면 안된다! 만약 그러할 경우, 그저 book of secert이 그대로 돌려받아질 뿐이며, 이렇게 하면 그 고귀한 boof of secret을 2개나 날려먹는거다...
[1] cookie cliker, click heroes등의 저명한 클리커 계열의 선구자들을 모아 현재 서비스중인 회사이다![스포일러] 오른쪽의 주석은 스포일러임[3] 후반부 드릴을 얻는데도 발전소에서 쓰는 전기가 들어가고, 300km 이후 매 100km마다 나오는 보스를 처치하기 위한 스펙업도 발전소에서 만드는 전기가 들어간다. 연료는 그토록 무시하던 동위원소들. 당연히 안하면 못지나간다.[스포일러] [5] 또다른 획득 경로가 없을 경우, 3-2 방법 외에는[스포일러] [7] 단, 999km에서 달 부품 블루프린트가 나온다거나 하진 않는다. 애초에 달 도달 자체가 달 블루프린트의 황금상자 드랍 조건인데다가, 달 도달시 기본적으로 지급되는 블루프린트 다음의 블루프린트들은 게임 진행 척도 수치가 이산적이지 않고 연속적이였었더라도 한참 뒤의 것들이라서 황금상자의 범위도 아니다.[8] 다만, 맨 처음 게임을 키고 바로 현질로 황금상자부터 까고 시작한다 등의 경우에는 바로 50km~225km 간의 적정 블루프린트는 예외적으로 바로 얻을수도 있다. 물론 처음 켰을때부터 그것들을 감당할수 있느냐는 차원이 다른 문제...[9] 원래는 블루프린트 자체의 구매 가격과 블루프린트에서 요구하는 자원이 따로 나뉘어져 있었으나, 업데이트에 따라 블루프린트의 자체 구매 가격이 사라지고, 해당 가격이 블루프린트의 요구 자원에 추가되었다.[스포일러] [11] 예를 들어 225km의 로봇에게서 얻을수 있는 블루프린트를 마지막으로 999km까지 진행해버리는 등... 대충 계산해도 수천만 시간은 걸리는 미친짓이다..[12] 달 단위[13] 지구 교환소는 비교적 적지만 달 자원도 취급하긴 한다[14] 동위원소 채광은 늘리지 않는다!!![스포일러] [16] 버프랩에서의 효과 획득량도 늘어난다[17] 당연히, 드릴 깊이에 따라 늘어나는 플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