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바이오필리아(Biophilia)
바이오필리아는 생물학자 에드워드 오즈번 윌슨(Edward O. Wilson)이 1984년 그의 책〈바이오필리아(Biophilia)〉에서 대중화한 용어로, 자연에 대한 인간의 선천적인 애착을 의미하며, 이 개념은 인간이 자연과의 연결을 본능적으로 추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1]
바이오필리아의 이론적 기반은 인류의 진화적인 관점과 심리적 기반을 들고 있으며 다음의 세 가지 내용으로 설명된다.
2. 인류 진화적인 관점에서의 바이오필리아
1. 진화적 기초- 적응적 중요성 -
생물학자 E.O. 윌슨의 바이오필리아 가설은 인간이 자연에 대한 애착을 느끼도록 진화했다고 주장한다. 이는 우리의 조상이 생존을 위해 자연과의 연결이 필요 불가결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변 자연 환경은 음식과 물, 피난처 등을 제공하였다. 그리하여 인류는 자연에 더 잘 적응하고 자연과 인류의 관계를 해석할 수 있는 사람들이 생존하고 번식할 가능성이 높았다.
생물학자 E.O. 윌슨의 바이오필리아 가설은 인간이 자연에 대한 애착을 느끼도록 진화했다고 주장한다. 이는 우리의 조상이 생존을 위해 자연과의 연결이 필요 불가결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변 자연 환경은 음식과 물, 피난처 등을 제공하였다. 그리하여 인류는 자연에 더 잘 적응하고 자연과 인류의 관계를 해석할 수 있는 사람들이 생존하고 번식할 가능성이 높았다.
- 환경 학습 -
수 세대에 걸쳐 인간은 자원과 피난처를 제공하는 경관(예: 흩어져 있는 나무가 있는 사바나, 수원지)에 대한 선호를 발전시켰으며, 이는 현대에도 특정 유형의 자연 경관에 대한 선호에도 반영된다.
수 세대에 걸쳐 인간은 자원과 피난처를 제공하는 경관(예: 흩어져 있는 나무가 있는 사바나, 수원지)에 대한 선호를 발전시켰으며, 이는 현대에도 특정 유형의 자연 경관에 대한 선호에도 반영된다.
2. 심리적 메커니즘
- 주의 회복 이론(Attention Restoration Theory, ART) -
Rachel과 Stephen Kaplan이 제안한 ART는 자연 환경이 우리의 집중력과 주의력을 회복시킨다고 한다. 이는 자연이 도시 환경에서 필요한 지향적 주의력 대신 우리의 비자발적 주의력을 끌기 때문이다. 자연이 가지고 있는 부드러운 특성(예: 색감. 질감. 형상 등)을 통해 정신적 피로를 줄여준다.[2]
Rachel과 Stephen Kaplan이 제안한 ART는 자연 환경이 우리의 집중력과 주의력을 회복시킨다고 한다. 이는 자연이 도시 환경에서 필요한 지향적 주의력 대신 우리의 비자발적 주의력을 끌기 때문이다. 자연이 가지고 있는 부드러운 특성(예: 색감. 질감. 형상 등)을 통해 정신적 피로를 줄여준다.[2]
- 스트레스 회복 이론(Stress Recovery Theory, SRT) -
Roger Ulrich의 SRT는 자연 환경에 노출되면 스트레스가 줄어든다고 제안한다. 자연 환경은 우리의 부교감 신경계를 활성화하여 스트레스 호르몬을 감소시키고 근육의 이완과 치유 효과를 발생시킨다.[3]
Roger Ulrich의 SRT는 자연 환경에 노출되면 스트레스가 줄어든다고 제안한다. 자연 환경은 우리의 부교감 신경계를 활성화하여 스트레스 호르몬을 감소시키고 근육의 이완과 치유 효과를 발생시킨다.[3]
3. 자연에 대한 감정적 유대
- 감정적 반응 -
바이오필리아 반응은 자연과 상호작용할 때 경외감, 경이로움, 평온함과 같은 감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감정적 반응은 인간 생활에서 자연의 필수적인 역할을 깊이 인식한 것에서 비롯된다고 여겨진다.
바이오필리아 반응은 자연과 상호작용할 때 경외감, 경이로움, 평온함과 같은 감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감정적 반응은 인간 생활에서 자연의 필수적인 역할을 깊이 인식한 것에서 비롯된다고 여겨진다.
- 바이오필리아 감정 -
여기에는 자연으로부터의 기쁨(바이오필리아 기쁨), 자연적 위험에 대한 존경(바이오필리아 두려움), 생명체에 대한 연민(바이오필리아 공감)이 포함된다.
여기에는 자연으로부터의 기쁨(바이오필리아 기쁨), 자연적 위험에 대한 존경(바이오필리아 두려움), 생명체에 대한 연민(바이오필리아 공감)이 포함된다.
바이오필리아는 현대에 들어서 더욱 심화된 개념으로 여겨진다. 특히 코로나 19사태를 비롯하여 21세기의 고도화된 문명 사회에서 인류의 도시생활은 자연에 대한 갈망과 직결되어 오늘날 바이오필리아 가설이 인간의 삶과 라이프스타일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3. 오늘날의 바이오필리아
1. 현대 생활에서의 바이오필리아
- 도시화와 단절-
현대 도시 생활은 종종 자연과의 단절을 초래하여 불안과 우울증 같은 정신 건강 문제의 증가에 기여할 수 있다. "자연 결핍 장애" 개념은 특히 아이들에게 이러한 단절의 결과를 강조한다.
현대 도시 생활은 종종 자연과의 단절을 초래하여 불안과 우울증 같은 정신 건강 문제의 증가에 기여할 수 있다. "자연 결핍 장애" 개념은 특히 아이들에게 이러한 단절의 결과를 강조한다.
- 가상 자연 -
기술 발전으로 인해 가상 현실(VR)과 증강 현실(AR)은 실제 자연이 접근 불가능한 환경에서 바이오필리아 경험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탐구되어진다.
기술 발전으로 인해 가상 현실(VR)과 증강 현실(AR)은 실제 자연이 접근 불가능한 환경에서 바이오필리아 경험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탐구되어진다.
2. 문화적 맥락에서의 바이오필리아
- 문화적 해석 -
다양한 문화는 역사적, 지리적, 영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독특한 자연과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예로, 일본 문화의 "신린요쿠" (숲 목욕) 개념에서는 인간이 숲에서 시간을 보내는 행위를 통해 자연의 치료적 이점을 강조한다.
다양한 문화는 역사적, 지리적, 영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독특한 자연과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예로, 일본 문화의 "신린요쿠" (숲 목욕) 개념에서는 인간이 숲에서 시간을 보내는 행위를 통해 자연의 치료적 이점을 강조한다.
- 원주민 지식 -
원주민 문화는 종종 자연과 깊은 바이오필리아적 연결을 가지며, 인간을 자연 세계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본다. 과거의 관습과 철학은 오늘날 지속 가능한 생활과 깊은 생태 인식에 대한 고찰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원주민 문화는 종종 자연과 깊은 바이오필리아적 연결을 가지며, 인간을 자연 세계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본다. 과거의 관습과 철학은 오늘날 지속 가능한 생활과 깊은 생태 인식에 대한 고찰을 할 수 있도록 한다.
3. 심층 생태학과 바이오필리아
- 심층생태주의 -
Arne Naess의 심층 생태학은 모든 생명체의 고유한 가치를 인정하고 모든 생명체의 상호 의존성을 강조한다. 이 철학은 자연과의 존경스럽고 조화로운 관계를 촉진함으로써 바이오필리아와 일치한다.[4]
Arne Naess의 심층 생태학은 모든 생명체의 고유한 가치를 인정하고 모든 생명체의 상호 의존성을 강조한다. 이 철학은 자연과의 존경스럽고 조화로운 관계를 촉진함으로써 바이오필리아와 일치한다.[4]
- 생태철학 -
Naess의 생태철학(Ecosophy), 또는 생태 지혜는 자연 세계와 조화롭게 살기 위해 개인과 사회의 변화를 강조하며, 이는 바이오필리아 원칙과 공명한다.
Naess의 생태철학(Ecosophy), 또는 생태 지혜는 자연 세계와 조화롭게 살기 위해 개인과 사회의 변화를 강조하며, 이는 바이오필리아 원칙과 공명한다.
4. 바이오필릭 디자인
그리하여 디자인적 관점에서 바라 본 바이오필리아의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hilic Design)이라는 개념이 떠오르고 있다.
바이오필릭 디자인 개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5] [6]
1.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패턴
- 공간 속의 자연: 건축 환경 내에서 식물, 물, 자연광과 같은 자연 요소를 직접 경험하는 것.
- 자연 아날로그: 자연을 연상시키는 재료, 패턴, 색상을 사용하는 간접적인 자연 경험.
- 공간의 자연: 개방된 공간, 피난처 구역, 외부 경관을 제공하는 공간 구성.
2. 지속 가능성과의 통합
- 녹색 건축과의 시너지 -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종종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면서 인간과 자연의 연결을 강화하는 에너지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재료를 사용하는 지속 가능한 건축을 의미하기도 한다.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종종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면서 인간과 자연의 연결을 강화하는 에너지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재료를 사용하는 지속 가능한 건축을 의미하기도 한다.
- 재생 디자인 -
지속 가능성을 넘어서는 재생 디자인은 인간이 서식하는 자연 생태계를 복원하고 향상시키는 환경을 만들려고 하는 것 또한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관점에서 비롯되어 짐을 알 수 있다.
지속 가능성을 넘어서는 재생 디자인은 인간이 서식하는 자연 생태계를 복원하고 향상시키는 환경을 만들려고 하는 것 또한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관점에서 비롯되어 짐을 알 수 있다.
3. 기술 혁신
- 바이오필릭 기술 -
통합 관개 시스템이 있는 생명벽, 자연광 수준에 맞게 조정되는 스마트 유리, 자연 생체 리듬을 모방하는 생체 반응 조명 시스템과 같은 혁신.
통합 관개 시스템이 있는 생명벽, 자연광 수준에 맞게 조정되는 스마트 유리, 자연 생체 리듬을 모방하는 생체 반응 조명 시스템과 같은 혁신.
- 센서 기술 -
환경 조건(예: 공기 질, 조명 수준)을 모니터링하고 최적화하여 실내 공간의 바이오필릭 품질을 향상시키는 센서 사용.
환경 조건(예: 공기 질, 조명 수준)을 모니터링하고 최적화하여 실내 공간의 바이오필릭 품질을 향상시키는 센서 사용.
5. 시사점
바이오필리아는 단순한 자연 애호를 넘어서는 다면적인 개념이다.이는 진화 생물학, 심리학, 문화 연구, 디자인 원칙을 아우르며 인간과 자연 세계 사이의 깊은 연결을 강조한다. 이 연결을 이해하고 활용함으로써 우리는 웰빙, 지속 가능성, 자연 세계에 대한 더 깊은 감사를 증진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바이오필리아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그 적용은 더 조화롭고 지속 가능한 인간 환경을 창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자연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1] E.O. Wilson, "Biophilia" (1984)[2] Rachel and Stephen Kaplan, "The Experience of Natur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1989)[3] Roger Ulrich, "View through a Window May Influence Recovery from Surgery" (1984)[4] Arne Naess, "Deep Ecology" (1973)[5] Ken Yeang, "Bioclimatic Skyscrapers" (1994)[6] Stephen R. Kellert, Judith H. Heerwagen, and Martin L. Mador, "Biophilic Design: The Theory, Science and Practice of Bringing Buildings to Life" (2008)